•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중심 교사 교육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5초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 CQR-M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 최수미;유인화;김동일;박애실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421-442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보다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선별해낼 수 있도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충청지역에서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현재 교직에 재직 중인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주관식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의 일반교사들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구성개념이 학습 및 인지적 차원,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의 총 5개 영역과 16개 범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5개 영역 중 낮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적 차원의 응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에 이어 정서 행동적 차원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6개 하위 요인들 중 대인관계 소통 및 기술부족과 가족 구조 및 기능이 영역 내 응답비율 및 전체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인터넷 기반 논술형 수행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net-based and Essay-typed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 권보섭;김병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711-1716
    • /
    • 2008
  • 최근 교육의 경향은 7차 교육과정과 더불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은 평가에서도 요구되어 학습자의 창의성이나 문제 해결 능력 등의 고등 사고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고 수업과정에서 수시로 평가할 수 있는 논술형 수행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들은 대부분 과제해결 위주에 국한되어 있어 논술형 수행평가를 제대로 수행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논술형 수행평가특성에 맞게 학습활동의 평가가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효율적이면서 체계적으로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 논술형 수행평가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고 설문을 통해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초·중학교 수학교육 실태 분석 (A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s a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 김선희;이승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67-1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질 관리의 측면에서 의무교육 대상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수학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투입, 과정, 산출 단계의 측면에서 질 관리가 되어야 할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첫째, 투입 단계에서 초등학생들은 학습량이, 중학생은 내용 수준의 어려움이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과정 단계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들에 비하여 교육과정 상의 교수 학습 방법을 더 잘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 단계에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만족도가 초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응답 평균은 두 학교급에서 모두 높은 편이었다. 이상을 고려하여 추후 새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에 학교급별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교육과정이 개정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주의 과학교사를 만들기 위한 장기적인 현직 교육의 한 예 (One Year Long In-Service Education to Help Become a Constructivist Science Teacher)

  • 조정일;윤수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32-648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2000년 여름부터 2001년 여름까지 1년여 동안 실시된 순환학습/STS 과학교사 현직 교육을 받은 한 과학교사의 수업 지도안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 그 과정에서 구성주의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그 교사의 과학, 과학 학습, 과학 수업 관점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참여 교사는 개념에 기초한 실험 중심의 수업 지도안에서 실생활을 적극 반영한 학생 활동 중심으로 수업 내용을 바꾸어 갔다. 동기 부여 측면에서 학생들이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실생활의 소재를 활용하였고, 학생들의 오개념을 반영한 수업을 위해 간단한 실험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많이 듣고 개념 변화로서의 학습을 고려하였다. 그 교사의 이러한 구성주의적 반응은 현직 교육 기간 동안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실제 수업 지도안에 반영된 변화는 면담을 통해서 그 교사가 과학, 과학 수업, 과학 학습 등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이 학생 활동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편된 점을 감안할 때 순환학습과 STS에 기초한 수업 지도안 개발은 현장에서 더욱 요구되는 사항으로 생각된다.

초등학급경영을 위한 교사의 음악 활용 현황 및 인식 (Primary School Teachers' Use of Music for Classroom Teaching and Management)

  • 성수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6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생활 및 학습 지도 시 음악사용 현황과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현직 초등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비담임 음악전담교사 4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1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급경영 시 생활 지도 시에 비해 학습 지도 시의 음악 활용도가 높았다. 교사들은 생활 지도 시에 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동요를 가장 많이 사용한 반면, 학습 지도 시에는 동기 유발 자료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교육목적으로 제작된 음원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저학년 담임교사일수록 생활 및 학습 지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음악을 활용하였고, 고학년 담임교사의 경우 학습 지도 중심으로 음악을 사용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은 음악 효과에 있어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였고 음악선곡에 있어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이 외에도 음악 활용 방안에 대한 연수나 자료제작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수업 이외에 학생 관리와 교육의 수월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들의 음악 활용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의식과 정책적 함의: 대구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The Consciousness on Multicultual Education and Policy Impli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Elementary Schools, Daegu City)

  • 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64-477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시 초등학교 교사, 학생 그리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욱에 대한 의식 실태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은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의 언어와 문화교육에 초점을 둔 시민교육이 중심이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은 다문화교육을 거의 경험하지 못하거나, 대중매체에 의한 간접 경험의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수준과 만족도가 매우 낮고, 의식도 편협적이었다. 그러나 절대다수가 다문화 학교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기존의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향성과 과제가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학교교육은 초등학교부터 실시하되, 현재의 초등교육현장의 여건을 고려해서 범교과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문화교육의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 PDF

성취평가제로 인한 교수 실행 변화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내신 석차등급 미반영 전후를 중심으로- (Explor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Changes Due to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Focusing on the Impact of No Longer Indicating Course Ranking)

  • 전소현;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5-207
    • /
    • 2024
  • 우리나라는 학습결과를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교과목별 학업성취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평가 형태의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구현 방식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에는 고등학교 과학교사 20명이 면담에 참여하였으며, 성취평가제에 관한 인식,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취평가제 운영으로 인해 변화되거나 개선된 점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참여 교사들은 내신 석차 등급 미표기 이후 성취평가제가 기대하는 교육적 의미가 현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해 변별에서 벗어난 과학수업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성취에 주목함에 따라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결과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남으로써 과학과 교과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학 교과의 본질적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적정 성취수준을 교사 스스로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학생 활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정하는 과정의 난해함으로 인하여 성취평가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내신 석차 등급이 산출되지 않은 이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이는 의욕과 열의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 상황에서 수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중학교 기술·가정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nd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박다온;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1-109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교 2009년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내용에서 가정생활 영역에 속하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하여 인성 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 기술·가정교육과정 및 12종 교과서의 '주거와 거주환경'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목표와 내용 구성, 차시별 활동내용, 학생평가자료, 학생용 활동 자료 및 교사용 자료 등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총 8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학생 활동지, 개인학습지(형성평가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의 1차 타당도 평가를 가정교육학 전공 교수 1인과 가정 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인 현장 중등교사 2인에게 받고, 2차 타당도 평가는 현직 가정과교사 7인으로부터 검토 받아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수정하여 최종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타당도 평가 결과,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에 대한 타당도가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확보되었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이 현장 교사들 및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 중 화학영역 문항의 적절성과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the Adequacy of Question Items of the Chemist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 한효순;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05-518
    • /
    • 2003
  • 현행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화학영역 문항들이 우수한 화학교사 선발을 위해 적절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14개 대학 중 13개 대학으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개선책이 제안되었다.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현행 비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교과교육학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전문 지식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임용시험의 수준은 대학교재 중심이어야 하며 시험시간을 늘려 교과관련 전문지식을 깊이 있게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출제위원의 수를 늘리고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로 변별력이 뛰어난 교과교육학과 화학 각 분야의 평가문항을 출제해야 한다. 실생활과 접목된 화학문제 해결이나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도록 해야 하며,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된 화학 학습목표를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임용시험 문항과 관련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공개하여 적극적으로 개선책을 모색해야 한다.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연구-현행 교육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Observations-)

  • 최경희;조연순;조덕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60
    • /
    • 1998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를 위해 수행된 것이다. 기초 연구로서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제 6차 중 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방법에 나타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과학 수업 관찰, 교사면담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은 특정, 총괄목표, 하위목표 모두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이라는 용어를 명시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 중학교 과학교육에 있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과정의 성격 및 총괄 목표에만 포괄적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 실제적으로는 실시되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놨다. 또한 과학 교사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하여 대체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과진도 문제, 학급당 과다한 학생수, 지식중심의 교과 내용, 입시와 연관된 평가, 교사의 준비 부족으로 인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배양을 위한 수업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