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 CQR-M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with diverse educational need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m comprehensively and detect them early in schools. Participants were 15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filled out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open questions about their implicit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odifi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omain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as the main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Second, the most listed of the five domains was the "domain of low learning and cognition," whereas the least listed domain was the "everyday life domain." Finally, deficiencie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s and categories related to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s frequently appeared among the 16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potentials for follow-up studie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보다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선별해낼 수 있도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충청지역에서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현재 교직에 재직 중인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주관식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의 일반교사들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구성개념이 학습 및 인지적 차원,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의 총 5개 영역과 16개 범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5개 영역 중 낮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적 차원의 응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에 이어 정서 행동적 차원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6개 하위 요인들 중 대인관계 소통 및 기술부족과 가족 구조 및 기능이 영역 내 응답비율 및 전체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