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the Adequacy of Question Items of the Chemist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 중 화학영역 문항의 적절성과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 Hyosoon Ha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Jong-Yun Par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한효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 박종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3.10.20

Abstract

A survey has been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the chemist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professors of the fourteen departments of chemistry education all over the nation and th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 thirteen departments. From the analyses of the responses, the problems were pointed out and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the examination to recruit excellent chemistry teachers. Re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o subject contents, adjustment of format and number of questions, maintaining of proper degree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items, reconsideration of relevancy to practical education, raising the number of committee for the examination, the reflection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opening to the public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were discussed.

현행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화학영역 문항들이 우수한 화학교사 선발을 위해 적절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14개 대학 중 13개 대학으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개선책이 제안되었다.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현행 비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교과교육학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전문 지식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임용시험의 수준은 대학교재 중심이어야 하며 시험시간을 늘려 교과관련 전문지식을 깊이 있게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출제위원의 수를 늘리고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로 변별력이 뛰어난 교과교육학과 화학 각 분야의 평가문항을 출제해야 한다. 실생활과 접목된 화학문제 해결이나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도록 해야 하며,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된 화학 학습목표를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임용시험 문항과 관련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공개하여 적극적으로 개선책을 모색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ombs, A.; Wass, H.; Jourard, S. (이원필 역) 교사의 전문성; 배영사: 서울, 1979. p 56.
  2. 성일제; 김양분; 백순근; 채선희 신규교원 공개 전형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수탁연구 CR 96-20. 한국교육개발원, 1996. p 34.
  3. 서울특별시 교육청 http://www.sen.go.kr
  4. 박도순; 변영계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서울, 1998. p 137.
  5. 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회 자료집, 1997, 86-96.
  6. 박종윤 교과교육 연구모임 자료, 한국교과교육학회, 1998, 136-143.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
  8. 한효순 화학교육 2001, 28(2), 4-15.
  9. 조희영; 최경희 과학교육총론; 교육과학사: 서울, 2001. p 123.
  10. 조희영; 최경희 과학교육총론; 교육과학사: 서울, 2001. p 194.
  11. 조희영; 최경희 과학교육총론; 교육과학사: 서울, 2001. p 129.
  12. Atkins, P.; de Paula, J. Atkins' Physical Chemistry, 7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2.
  13. Huheey, J. E.; Keiter, E. A.; Keiter, R. L. Inorganic Chemistry: Principles of Structure and Reactivity, 4th ed.; Harper Collins College Pub.: New York, 1993.
  14. Douglas, B. E.; McDaniel, D. H.; Alexander, J. J. Concepts and models of Inorganic Chemistry, 3rd ed.; John Wiley: New York, 1994.
  15. Harris, D. C.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5th ed.; Freeman: New York, 1998.
  16.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17. 이화국 제6회 충북대학 과학교육연구소 학술회의 발표집, 1994, 47-62.

Cited by

  1.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Examination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s vol.44, pp.1, 2003,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