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s a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초·중학교 수학교육 실태 분석

  • Received : 2017.01.05
  • Accepted : 2017.03.13
  • Published : 2017.05.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s a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the input, process and output phase in the school curriculum to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middle schools are relevant in the input phase. Second, the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have more concern on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s than those in the middle school in the process phase. Third, students and parents' satisfaction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higher than that in the middle school in the output phas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result has to be affected to make ways to apply the new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ion system has to be established to revise the curriculum as an important method of quality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질 관리의 측면에서 의무교육 대상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수학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투입, 과정, 산출 단계의 측면에서 질 관리가 되어야 할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첫째, 투입 단계에서 초등학생들은 학습량이, 중학생은 내용 수준의 어려움이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과정 단계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들에 비하여 교육과정 상의 교수 학습 방법을 더 잘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 단계에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만족도가 초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응답 평균은 두 학교급에서 모두 높은 편이었다. 이상을 고려하여 추후 새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에 학교급별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교육과정이 개정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화.김태은.노원경 (2015). 초 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학교수학, 17(1), 135-156. (Ko, J. W., Kim, T. E., Roh, W. K(2015). 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bout the conn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School Mathematics, 17(1), 135-156.)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1997). Curriculum of mathematics depart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1997-15.)
  3. 교육부 (1997).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1997-15.)
  4. 교육부 (2013).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제 2013-7호.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3). General guidelines of the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2013-7.)
  5.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제 2015-80호.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General guidelines of the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2015-80.)
  6.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 중 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Kim, S. H. (2013). Many-sided analysis on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al learning. School Mathematics, 15(1), 61-75.)
  7. 김태은.노원경.안태연.고정화 (2014).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방안 탐색(연구보고 RRI 2014-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m, T. E., Roh, W. K., Ahn, T. Y., Ko, J. W. (2015). Assisting student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Investigation of current situati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A Report of Research RRI 2014-3).)
  8. 남상엽 (1999). 수학적 신념 및 태도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Nam, S. Y.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nd attitude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mathematic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박경미 외 (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Park, K. M. et al (2015). A policy research of 2015 revised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draft development. KOFAC.)
  10. 박선화.상경아 (2011).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Park, S. W., Sang, K. A. (2011). Characteristics of and factors affect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3(4), 697-716.)
  11. 박지현.김윤민.최승현 (2014).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2), 145-164. (Park, J. H., Kim, Y. M., Choi, S. H.(2014). A study about confidence with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4(2). 145-164.)
  12. 배호순 (1999). 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Bae, H. S.(1999). Program evaluation. Seoul : Wonmisa.)
  13. 양명희 (2003). 수학에 대한 태도의 발달경향성 및 학습자 유형 분석. 교육심리학연구, 17(3), 149-163. (Yang. M. H.(2003). The developmental pattern and profile analysis on the attitude toward math.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49-163.)
  14. 윤나은 (2006). 중등학교 학생들의 수학학습에서 정의적 영역의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Youn, N. E. (2006) An investigati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domai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bout mathematic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5. 윤홍분 (1999).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성적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 145-156. (Youn, H. B. (1997).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record.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2(1), 145-156.)
  16. 이승미.김경희.정은주.김선희.옥현진.오수정 (2015).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초중학교 교과 교육의 질 관리 방안 - 국어, 수학, 영어과를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15-1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Lee, S. M., Kim, K. H., Jung, E. J., Kim, S. H., Ok, H. J., Oh, S., J.(2015).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of subject education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 focused o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A Report of Research RRC 2015-13).)
  17. 이승미.홍후조 (2006).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편성 영역 및 관련 집단 참여 실태 분석 연구. 교육과학연구, 37(2), 211-238. (Lee, S. M., Hong, H. J. (2006).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rea of school curriculum and the interest group's participation in the SBCD at the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7(2), 211-238.)
  18. 정진국 (2000). 교육 개선을 위한 CIPP 평가모형의 특징과 적용방법. 교육학논총, 21(2), 103-121. (Jung, J. K. (2000). Clarification and Implemenation of CIPP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1(2), 103-121.)
  19. Stufflebeam, D., L. (1971).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5, 19-25.
  20. Stufflebeam, D., L. & Shinkfield, A. J.(1985). Systematic evaluation : a self-instructional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Boston: Kluwer-Nijh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