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분쟁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haracteristics and Strategic Implications of China's Naval Strategy during the Xi Jinping Era (시진핑(習近平) 시기 중국의 해군전략 특징 및 전략적 함의)

  • Ahn, Seul-Ki
    • Maritime Security
    • /
    • v.1 no.1
    • /
    • pp.61-92
    • /
    • 2020
  •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s in China's naval strategy and to analyze the goal, range, and method of each strategy during the Xi Jinping's era. Since the founding of New China, the People's Liberation of Army Navy(PLAN) has made four changes in the naval strategy. Under Xi Jinping's administration, China's naval strategy is far seas operation combined with near seas active defense. Now, China's naval strateg y is shifting from a defensive to an aggressive one,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offensive weapon systems and the number of state-of-the-art warships, and the scope of the naval strategy has been specified in the second island chain including the Indian Ocean. With the changes of naval strategy, the PLAN will set a new strategic goal to secure maritime dominance and implement an assertive strategy to actively respond to the intervention and intrusion of external forces. Moreover, the PLAN will also improve its sea-based deterrence force and the maneuver force to block other countries in the long-distance maritime conflict zones. The operation method of China's future naval strateg y will gradually shift from 'interdiction' to 'rapid-response.'

  • PDF

An Analysis and Assessment on China's Maritime Security Strategy (중국 해양안보전략에 관한 분석 및 평가 - 아더 라이케의 전략 분석틀을 중심으로 -)

  • Kim, Hyun-Seung;Shin, Jin
    • Strategy21
    • /
    • s.45
    • /
    • pp.33-59
    • /
    • 2019
  • There have many research papers to see China's evolution of maritime strategy and naval modernization in terms of its naval mind-set.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assessing how China uses its all sorts of maritime strength to achieve 'a building maritime great power.'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introduce a new perspective to this debate by analysing China's diversified ma maritime capabilities and a new way of implementation in maritime security strategy.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developing not only unpredictable maritime military capabilities but also maritime supporting forces - Coast Guard and Maritime Militia. And recently China adopted up-to-date operational concept aimed at gaining military superiority in Asia-Pacific waters. By taking salami slicing strategy, gray zone strategy and cabbage strategy, China has been trying to exercise surpassing influences in regional maritime area, also in western Pacific region. This article provides a stepping stone to comprehend the aspect of China's recent maritime strategic actions, especially in Yellow Sea.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for countering China's coercive maritime strategy. First, Korea should make sure a strategic concept of maritime security, instead of land warfare focused strategic concept. Second, it is needed to set up suitable naval forces for actively responding to neighbor nation's offensive actions.

Study on the Chinese Declarations to the London Protocol at the Time of Its Accession (런던의정서 가입 시 중국이 제출한 통지(선언)에 대한 검토)

  • Choi, Ji-Young;Hong, Gi-Hoon;Shin, Cha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2
    • /
    • pp.126-135
    • /
    • 2012
  • Republic of Korea designates a waste disposal site within the fishing zone administered jointly with Chin in the Yellow Sea. The issue of waste disposal at sea is subject to the 1996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s and Other Matter commonly called London Protocol. China, one of the contracting parties declared that if China becomes a party to a dispute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tocol, the Arbitral procedure of the Protocol shall only be applied with written consent of the Government of China according to the Article 16.5 of the Protocol at the time of its accession. The Article allows any State may declare that, when it is a party to dispute about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precautionary approach or polluter pay principle, its consent will be required before the dispute may be settled by means of the Arbitral procedure of the Protocol. This paper analyzes the legal basis of Chinese declaration and its implication to parties that may be in dispute with China using international precedents of similar nature and a game theory.

A Comparison of the Algorithm between Korea and Japan i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해양경계획선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Byung-Guk;Jin Hai-Ming;Kim Hyu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2
    • /
    • pp.211-217
    • /
    • 2005
  • The general rule of boundary delimitation is the principle of equidistance. The principle of equidistance is a method that determine boundary delimitation from the fixed distant of baseline or basepoint. But there is no artificial and natural object in the sea to determine boundary. And the principle of equidistant can't be applied in every cases, because of the local characteristic of ground. In this paper, we suggest Three-Point Algorithm which is effective algorithm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n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et capability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echnique.

Understanding Contemporary Interstate Rivalries: Consensus Rivalries and Rivalry Termination (숙적관계 국가들에 대한 연구 - 숙적관계 종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중심으로 -)

  • Oh, Soon-Kun
    • Strategy21
    • /
    • s.32
    • /
    • pp.222-270
    • /
    • 2013
  • 서구 근대 국제관계학의 태동은 "전쟁의 원인"을 밝혀내려고 했던 유럽 지식인들의 학문적 도전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2차 세계대전의 잔혹함을 겪으면서 이들은 전쟁(특히 전쟁의 원인)에 대한 좀 더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어떻게 하면 국가들 간의 전쟁을 예방할 수 있을까에 집중해 왔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을 반영한 것이 잘 알려진 미국 미시간 대학의 "전쟁 상관성 연구 프로젝트(Correlates of War Project)"이다. 이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비엔나체제가 시작된 1815년 이후 국가들 간 발생한 모든 전쟁 관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국제관계학자들이 전쟁(Interstate War)이나 군사분쟁(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을 정량 또는 정성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Paul F. Diehl, William R. Thompson과 같은 학자들은 전쟁을 분석단위로 하는 전쟁의 원인(Causes of War)을 연구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국가들 간의 분쟁과 전쟁을 연구하기 위해 숙적관계(Rivalry)라는 새로운 분석의 단위를 제시하였다. 숙적관계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분쟁 또는 전쟁을 일으키는, 즉 무력분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두 국가를 일컫는다. 국가들 간의 숙적관계는 학자들에 따라 Interstate Rivalry, Enduring Rivalry, Strategic Rivalry 등 다양한 정의와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국가들의 사례로는 2차대전 이전까지 프랑스-독일 관계, 2차대전 이후 중동지역 이스라엘과 아랍국가들 간의 관계, 냉전기 미소관계, 인도-파키스탄 및 남북한 관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널리 알려진 숙적관계 외에도 남미의 칠레-아르헨티나, 에콰도르-페루와 아프리카의 소말리아-에티오피아 등 학자들에 따라 1815년 이후 약 200개의 숙적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숙적관계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전쟁의 원인 중심이었던 정량적 국제분쟁 연구에 두 국가의 분쟁역사를 포함시키는 정성적 연구를 접합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945년 이후 숙적관계 국가들의 관계종식과 관련하여, 거시론적이고 전체론적 접근방법(Macro - level Holistic Approach)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1945년 이후 발생한 국가들 간의 숙적관계 종식(Rivalry Termination)을 이해하기 위해, 거시적 관점에서 숙적관계를 발생시키게 된 역사적 원인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1945년 이후 숙적관계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들 중에서 전쟁, 영토분쟁, 그리고 근대국가 형성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명제(proposition)를 제시한다. 첫째, 1945년 이후의 숙적관계 형성과 지속에는 2차대전 이후 독립국가 형성, 헌팅턴이 주장한 제3의 물결(민주화), 그리고 냉전기 미소경쟁 등의 역사적 배경이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더하여 1945년 이후 숙적관계는 전쟁에 의해 시작된 숙적관계와 전쟁 없이 시작된 숙적관계 등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전쟁에 의해 시작되고 영토분쟁과 근대국가 형성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숙적관계가 그렇지 않은 숙적관계에 비해 오랫동안 지속되며 관계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다. 앞서 제시된 2가지 명제들과 관련하여 본문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한 숙적관계 정의들에 일치하는 23개의 숙적관계(Consensus Rivalries)를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비교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들 사례들을 1945년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숙적관계 형성과 종식에 있어 핵심요소인 국가들 간 힘의 차이(Power Relations), 분쟁의 주요 원인(Primary Conflict Issue), 숙적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들과의 연계성(Rivalry Linkage), 전쟁의 횟수와 시기 등을 통해 비교하였다. 숙적관계의 종식과 관련하여 약소국 간의 숙적관계(Minor Dyad)가 오래 지속되고, 영토분쟁(Territorial Disputes)이 숙적관계를 지속시키는 주요인이며, 다른 숙적관계와의 연계성이 적은 숙적들이 오래 지속된다는 비교분석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전쟁의 횟수는 숙적관계 종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전쟁으로 인해 시작된 숙적관계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욱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2차대전 이전의 숙적관계는 대부분 전쟁을 통해 종식되었지만, 1945년 이후에는 전쟁 없이도 숙적관계가 종식된 경우가 많았음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1945년 이후 형성된 숙적관계를 어떻게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인가?"라는 규범적 논제를 통해, 23개의 주요 숙적관계를 발굴하여 거시적, 역사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함에 있다. 이는 특히 우리나라가 처한 현실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남북관계가 갖는 특수성보다는 1945년 이후 국제정치 역사속에서 발생한 숙적관계 현상이라는 일반성의 틀에서 남북관계를 이해하고자 했다. 남북관계를 베트남, 예멘, 독일 등 분단국가의 사례들과만 비교 연구하는 제한된 시각에서 벗어나, 인도-파키스탄, 그리스-터키, 에콰도르-페루 등 유사한 숙적들 간의 관계들과 비교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앞으로 숙적관계 종식에 대한 더욱 다양화된 사례연구를 통해 한반도 분쟁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2차대전 이후 발생한 국경을 접하고 있는 비강대국들의 평화적인 숙적관계 종식에 대한 사례연구는 남북한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특정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보다는 숙적관계와 관련된 하나의 거시적 이론를 제시하고, 주요 숙적관계 국가들에 대한 비교설명을 통해 현존하는 숙적관계 해결을 위한 하나의 분석의 틀을 제시하는 것으로 국제분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in Korea (우리나라 해상경계 획정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 Choi, Yun-Soo;Kim, Jae-Myeong;Kim, Hyun-Soo;Park, Byung-Mo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2
    • /
    • pp.45-57
    • /
    • 2012
  • Rec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promoting the rapid development of marine for delineating jurisdictional sea area. The importance of a maritime boundary has being emphasized, as jurisdictional sea area disputes among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creasing. The absence of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has become a source of contention between neighborhood local governments. So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in Korea will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cientific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by analyzing "A hydrographic survey guideline for confirmation of maritime bound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the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Secondly, we set the boundary, factors and processes of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through classifying them in detail. Lastly, we suggested the makeup of a conflict adjustment committee for preventing jurisdictional sea area disputes among local governments.

Quantifying Naval Power and Its Implications (해군력의 정량화와 함의)

  • Bae, Hack-Young
    • Strategy21
    • /
    • s.34
    • /
    • pp.207-235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해군력 개량화를 소개하고 그 활용에 대하여 제안함에 있다. 어떻게 하면 여러 국가 간의 다양한 분쟁에 대한 해군력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혹은, 어떻게 하면 다양한 해군력의 나라별, 시간별 변화를 이해를 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해군력의 변화와 그 변화에 따른 해군력이 분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중의 한 방법이 정성적인 방법이나 아직 정량적인 시도는 매우 적다. 이 글은 해군력을 정량화하는 방법과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기존 이론을 검증하고 여러 다른 연구주제를 연구하는데 어떻게 이용이 될 것인지를 소개를 하는 글이다. 본 논문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화적 접근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 해 본다. 계량화란 무엇이며 정성적인 방법과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통해 정량화의 이용 가치에 대해 논의해 본다. 둘째, 해군력의 정량화이다. 해군력의 정량화를 위해 어떠한 기준들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함정들을 코딩하고 톤수를 세는 과정을 설명한다. 셋째, 정량화된 해군력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해군력 변화를 서술적으로 분석한다. 이제 주어진 해군력 데이터(주요 함정의 톤수)를 가지고 각 동북아 국가별 시간별로 어떠한 변화를 거처 왔고, 각 분쟁들 (1,2차 세계대전 등)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단순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알아본다. 넷째, 해군력의 변화가 경쟁국가 간의 전쟁 발발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해 본다. 묘사적인 방법은 다른 요소들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 지지 않아, 정확히 해군력과 경쟁국가 간의 전쟁에 대한 인과적인 관계를 증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른 경쟁적 이론들을 (예를 들어 민주평화론 등) 통제하여 해군력이 숙적국가 간의 전쟁 발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상호 해군력의 증가는 경쟁국가 간에는 전쟁을 덜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는 해군력이 경쟁국가 간에는 억제력이 있다고 추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해군력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접근은 기존 연구의 검증, 미래 예측, 국가의 정책결정자들에게 보다 신뢰가 가는 자료를 제공하는 장점들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해군력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분쟁분야에 있어서 학술적이나 실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of Sea Power and Maritime Conflicts of the Korean Peninsula (해양력 변화와 한반도 해양분쟁 발생의 상관관계 연구 - 해양국력과 동맹전이이론의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

  • Kim, Young-Sik
    • Strategy21
    • /
    • s.36
    • /
    • pp.180-214
    • /
    • 2015
  • The Republic of Korea navy challenged from the unexpected surprise attacks by the North Korea navy, albeit, the developments of up-to-date naval forces' technology, and the ceaseless efforts for war preparedness. My stud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ative methods used for literature review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lated to the war onset and for investigating events occurred on the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 seas from 1968 to 2007. Quantitative method used such as the analyses of national power index of the two Kore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uses of equation model to calculate power index of alliance, COPDAB(Conflict and Peace Data Bank) index analysis. Like Choi's study on East Asia maritime conflict, as a conclusion, considering both AT theory and maritime national power as a tool for predicting maritime conflict in the Peninsula proved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ROK navy need to prepare for the maritime conflict because the results showed North Korea would initiate maritime disputes sooner or later using fatal asymmetric forces and methods. As a policy suggestion, we are required to maintain a concrete ROK-US alliance ties and to construct naval forces due to the deterring functions of maritime national power.

Developmental Direction for East Asia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동아시아 해양안보협력 발전방안)

  • Park, Eu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8
    • /
    • pp.1596-1606
    • /
    • 2016
  • Today the ocean is a treasure trove of the resources that prosperous country and the passage of the trade to lead the world econom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activities are increasingly expanding into the ocean from land. Modern east Asian countries have also recognized the value of the ocean and competitively pursue their own interests at sea. For this reason, the conflict between the East Asian countries is rising. On the other hand, the mea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ritime security to resolve these issues are very limi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reexamine the scope and agenda of the maritime security issues, and re-evalu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various security cooperation which have been implemented. If we solve these problems successfully, the troubled Asian waters will be changed to 'sea of peace and prosperity'.

뉴스의 인물 - UN대륙붕한계 위원 '박용안 박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6 s.337
    • /
    • pp.32-34
    • /
    • 1997
  • "대륙붕한계위원회는 앞으로 대륙붕 200마일 바깥 한계에 대한 연안국 주장을 과학적 근거와 자료를 바탕으로 심사 평가하게 될 것입니다." 지난 3월 UN대륙붕한계위원회에 위원으로 당선된 서울대 해양학과 박용안 교수의 설명이다. 우리나라의 대륙붕은 국토면적의 2.8~3.5배로 앞으로 인접국과의 관할권분쟁이 일어날 경우 박위원의 역할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