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교실

Search Result 1,14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ior Visual Environment of Classrooms in the Existing School Buildings (초.중 고등학교 교실의 빛환경 실측 연구)

  • Lim, Sang-Hoon;Chun, Won-Gee;Auh, Chung-Moo;Lee, Nam-Ho
    • Solar Energy
    • /
    • v.12 no.1
    • /
    • pp.3-14
    • /
    • 1992
  • The conventional school building design, which locates the hallway on the north side of the classroom, has proven to be very ineffective for indoor light control. Especially, glares and dark spots on the work plane as well as nonuniform illuminance on the chalkboard were causing undesirable visual effects for the students.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various problems with the classroom in the existing elementary and(junior) high school buildings from the point of indoor visual environment, and made some suggesions for possible solutions.

  • PDF

Educational Role and Direction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room in Information Education (정보교육 관점에서 방과후 학교 컴퓨터교실의 교육적 역할과 방향 탐구)

  • Kim, Young-Gi;Han, Seon-Kwan;Han, Hee-Seo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1 no.4
    • /
    • pp.417-424
    • /
    • 2007
  • During the last decade, the private sector computer classroom contributes toward the ICT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T infrastructure for school. The matter of after school that goes into effect beginning for the next year however, is increased more and more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to discuss on the after school. Some people confuse the role of After-school Computer Classroom with computer science education of school. We should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the private sector computer classroom and find out the necessity due to the results. And we should explore the direction for solution on problems pedagogically.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models that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of private sector computer classroom according to the pedagogical role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after school.

  • PDF

Course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hifting of Figures and Learning on Domains Based on The Web (웹을 기반으로 한 도형이동과 영역학습을 위한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 문애리;김하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63-865
    • /
    • 2003
  • 교육정보화의 실현이라는 과제가 현재의 학교현장에 필요한 만큼 제7차 교육과정의 시작과 더불어 학습자의 지식과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미리 계획된 WBI(Web based Instruction)를 기반으로 한 교수 모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WBI의 교육적 기능을 충분히 반영하여 교실에서 교사가 사용하기 쉽고 효율적인 학습자료를 구현하여 웹 환경이 조성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웹 환경에서 실행하는데 무리가 없고 소용량으로 에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Flash MX를 사용하였고, 고등학교 ‘수학10-나’의 내용 중 교과서와 칠판만을 사용하여 수업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과정인 ‘도형의 이동과 부등식의 영역’을 주로 개발하였다. 학습자들은 학교에서 수업한 내용을 웹 환경을 이용하여 개별학습 및 반복학습을 할 수 있고, 교사들은 교실이나 멀티미디어실에서 웹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구현한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 학교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a Night Illuminance Distribution in School Buildings (학교 건축물의 야간 조도분포 분석)

  • 박동화;성낙진;신재화;이병기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6
    • /
    • pp.48-53
    • /
    • 1996
  • In this paper, the illuminance of elementar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in Inchon was measur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night illuminating circumstances(classrooms, science rooms, and laboratories). More than four schoo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years elapsed(l0, 20, and 30 years, etc) since the opening of the schools. It was shown that the average illuminance for the classroom and that for science room and laboratory have been improved significantly such that the former was 235.6[lx] (260[lx] for senior high school, 208[lx] for junior high school, 203[lx])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latter was 233.7[lx](248.8[lx] for senior high school, 216.4[lx] for junior high school, 207.8[lx] for elementary school). The uniformity of the illuminance was exceedingly worse than the recommended one(the average value for the classroom and that for sciense room and laboratory were 0.95 and 1.08,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to minimum illuminance ratio with respect to illumination derivative(7.9 for classroom, 6.8 for scienceroom or laboratory) was very high for most school buildings and was much higher for the old ones. From the measured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illuminance for the school buildings needs to be improved with regard to quality.

  • PDF

A Research of the Width of Passage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s in Northen Gyeonggi Province -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 Yoon, Hee-Cheol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26-34
    • /
    • 2018
  • This research is a pre-research to find out profit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I research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othern Kyeonggi-do. I found the conclusions as follows. 1st, the area of 1 student's unit is $650(W){\times}950(D)$ 2nd, most of classrooms' students table placements are one-way types(77%). U-types are 13%. group study-types are 7% 3rd, The width between blackboard and front student's table is 2.08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back seat and backboard is 1.12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side wall and near student's table is 0.89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window and near student's table is 0.74m. The width of vertical passage(A) between student's tables is 0.68m. The width of vertical passage(B) between student's tables is 0.7m. 4th, The area of teachers' is $2.1m{\sim}2.25m{\times}2.1m=4.41{\sim}4.73m^2$

미국 NCTM의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에 나타난 수학과 교수 ${\cdot}$ 학습의 이론

  • Choe, Yeong-Han;Kim, Mi-W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51-764
    • /
    • 2002
  • 미국의 “전국 수학 교사 협의회”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는 1989년부터<학교 수학의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 (1989), <수학 가르침(교수)의 전문성 규준> (1991), <학교 수학의 평가(시험) 규준> (NCTM, 1995), <학교 수학의 원리와 규준> (2000)을 출판하여 미국의 수학 교육의 전망(목표, 나아갈 길)과 규준(실행 지침)을 제시하였다. 수학 교사들로 구성된 미국의 NCTM은 학생, 학부모, 학교 행정가 등 많은 사람들과 힘을 합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수학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환경, 기회)을 조성하는 데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한편 많은 관련 단체들은 여러 배경과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전문성을 지닌 교사(특수 교사를 일컫는 말이 아니다. 수학 교과를 이해하고 수학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가르칠 수 있는 일반 교사를 일컫는 말이다.)로부터 미래를 대비해 평등하고, 진취적이며,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공학 도구(IT)가 잘 갖춰진 환경에서 중요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이해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수학 교실(미국에서는 우리나라처럼 수학 교사가 수학 시간에 학생의 방(교실: Homeroom)에 찾아가지 않고 학생들이 선생의 방(수학 교실: Classroom)을 찾아온다. 전형적인 수학 교실의 사진은 2쪽에 나와 있다.)을 만들기 위해 함께 힘썼다. NCTM에서 출간한 여러 규준들은 우리나라의 제 6 차와 제 7 차 교육과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서는 NCTM (2000)에서 제시한 학습 원리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이를 중심으로 현재 미국 수학교육의 교수 ${\cdot}$ 학습 이론의 동향을 살펴본다.

  • PDF

Comparison of Speech Intelligibility depending on the Sound Source Location in the Classrooms of Middle and High Schools (음원의 위치에 따른 중${\cdot}$고등학교 교실의 음성명료도 비교)

  • Lee Hwan-Hee;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87-490
    • /
    • 2002
  • 학교 교육의 특성상 많은 부분이 교실에서의 음성정보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청취환경의 개선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중${\cdot}$ 고등학교의 수학능력시험의 국어, 영어 듣기평가 및 다양한 어학 시험이 시청각 시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교실의 음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음환경을 좌우하는 음원의 위치에 따라 명료 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 명료도가 높고, 교실 전체에 균등한 분포를 보이는 음원의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교실 내의 음원의 위치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lumn(벽면 노출형)과 ceiling(천정 매입형) 위치와 임의의 음원 cluster(전면 중앙)를 선정하여 음장 파라메터를 측정한 결과 RASTI 는 세 타입 모두 $0.54\~0.55$로 값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잔향시간은 ceiling>cluster>column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잔향과 명료도와의 관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험 결과 잔향시간이 1.33초로 가장 긴 column 스피커의 경우 D50 값이 약 $47\%$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olumn형 스피커의 경우 음원과 각 학생의 위치에 대한 평균 직접음선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the Social Norms of Mathematics Classroom on Mathematical Beliefs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이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 Han, Kyung-Hwa;Kang, Soon-Ja;Jung, In-Chul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8 no.3
    • /
    • pp.343-35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whether mathematical beliefs have changed when new social norms are formed in math classroom through research using survey papers about mathematical beliefs and math class video photographing. In addition, it would search for social norms of mathematical classroom which affects to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by analyzing culture of mathematical classroom. The result was that the class focusing only general social norms wasn't enough to change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And as we have examined sociomathematical norms of math classroom through analyzing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it has affected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PDF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 Gwon, Mi-Yeon;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89-207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알아보고, 그러한 신념을 형성하는 요인들을 수학 교실의 상호작용에서 찾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질문지로 조사하였으며 각급 학교의 수학 교실에서 벌어지는 교수-학습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각 교실의 사회적 규범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학생들은 수학은 이미 만들어진 규칙과 용어들로 이루어졌고 그 규칙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풀어 답을 구하는 것이 수학적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신념은 각급 교실에 형성된 사회수학적 규범과 일치했으며, 특히 개념설명과 새로운 전략 및 오류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사회수학적 규범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그들의 신념을 결정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