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력가정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8초

일반청소년과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Anxiety on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Adolescents)

  • 오종은;이재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63-17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anxiety on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14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178 general youths were selec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that are manifested in the path of violent act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are ver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both groups, the same path of violent behavior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was followed: youths repress anger when they have higher anxiety, and when too much anger is repressed, anger-out increases, which results in more violent behaviors. Second, the level of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has direct effect on the responsive violent behaviors while the level of anxiety of general youths does not have direct effect on violent behaviors. Third, although the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may increase violent behaviors through the paths of acting-in and acting-out, violent behaviors can be reduced by reducing anger-out. Therefore, to reduce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intervention is needed for those who repress their anger due to anxiety; professional education is also required for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o help them control their anger.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예측요인 탐색을 위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Meta-analysis for Exploring Predictor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Youth in South Korea)

  • 김신아;방은혜;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8-33
    • /
    • 2017
  • 학교폭력의 연장선상에서 상시적으로 괴롭힘이 이루어지는 '사이버불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이버불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개인, 가정, 또래, 학교, 사이버환경, 폭력경험 등과 관련된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국내학술논문 검색사이트(RISS)를 이용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학술지게제 논문 및 석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사이버불링', '사이버따돌림', '사이버폭력', '사이버괴롭힘', '온라인 및 SNS 또래괴롭힘' 이란 검색어로 선정된 총 4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폭력경험 변인이 중간크기의 효과(0.28~0.29)를 나타냈고 또래, 가정, 사이버환경, 학교변수 순으로 작은 크기의 효과(0.08~0.13)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 사이버불링에 대한 교육적, 사회정책적 대응방안 마련과 직접적인 예방 및 개입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기혼 직장인들의 직무만족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폭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pillover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 Focusing Mediating Effect of Partner Abuse)

  • 김소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3호
    • /
    • pp.61-86
    • /
    • 2018
  • 이 연구는 직무만족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낮은 직무만족도가 부부폭력을 증가시켜 결혼만족도 저하에 미치는 간접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7년도 복지 패널 자료 중 20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들 중 기혼상태이면서 임금근로 중인 남녀 직장인들 2,610명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가 포함된 통합모형에서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는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직무만족도는 부부폭력의 증가를 통해 결혼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간접효과를 보였다. 둘째, 기혼직장 여성의 결혼만족도는 기혼직장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직무만족도가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 비중 역시 성별 간 큰 차이를 보였는데 기혼직장 여성의 결혼만족도는 기혼 직장 남성보다 두 배 이상 직무만족도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래의 결혼생활의 질이 직장생활의 질에 좌우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더욱 그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근로자 가정생활에 대한 기업과 사회의 책임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기혼직장 여성의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지원할 사회정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외설만큼 무서운 중독 - 우리 아니 TV 폭력에서 구출하기

  • 부모넷
    • 가정의 벗
    • /
    • 제37권7호통권431호
    • /
    • pp.20-21
    • /
    • 2004
  • 혹시 우리 아이가 친구들과 놀 때 싸움놀이를 하거나 만화 영화에서 본 로봇 흉내를 내며 금방이라도 싸울 듯한 태도를 보이며 영상물만 보는 재미에 빠져 있다면 무엇보다 부모가 텔레비전을 함께 시청하면서 적절히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부부폭력 개입 프로그램의 과정평가와 추후평가 (Procedure Evaluation and Follow-up Evaluation on the Conjuga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 이정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47-658
    • /
    • 2003
  •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evaluating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conjugal violence. It was based on family system perspectives because the conjugal violence wa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dysfunctional interactions between spouses. Especially, a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by the telephone interview one year later after the program ended. There were some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violent behaviors never reoccurred, but the verbal ones still continued. Second, this program had an effect on decreasing the recurrence of conjugal violence.

  • PDF

부부폭력에 대한 가정관리학적인 접근 (A System Approach of Family Life Management for Spouse Violence)

  • 김정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40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family violence affects family relationships. To asses these effects, th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impact of wife abuse on marital satisfaction in a system approach of family life management. 184 married wives anonymously completed questionairs that included the following scales : conflict tactics scale, family strengths and marital satisfaction. Results indic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marital satisfaction as husbands used physical violence against wives.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assumption that violence has a negative impact on family relationships.

  • PDF

가정폭력 가해자 개입 프로그램 실태분석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s)

  • 김경신;김정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17-13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s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intervention programs for domestic violence batterer in foreign countries were reviewed. Second, bitterer programs in South Korea were explored. In order to expand these bitterer programs in South Korea, culturally appropriate intervention, more innovative research on comparison analysis of diverse intervention approaches, program impact, type of curriculum, and intervention protocol, evaluation criteria, requirements pertaining to program facilitators, political assistance, and coordinated community response and community service are strongly needed.

  • PDF

가정폭력과 아동학대의 중복발생과 관련된 국내 사회복지 현장 실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따로 또 같이" - (A Qualitative Study on Social Workers' Experiences with the Co-occur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in Korea - "Alone and Together" -)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83-108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아동학대의 중복발생과 관련된 국내 사회복지현실을 탐색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두 현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에서 접하게 되는 중복문제 사례들을 통해 실무자들은 그 두 문제가 '따로 또 같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있었지만 그 문제에 초점을 둔 의도적 사정과 개입을 수행하고 있지는 않았다. 두 현장 실무자들은 중복문제를 감지하더라도 그들의 서비스 우선순위 대상인 여성 혹은 아동의 욕구에 초점을 두고 '따로' 분리된 대응을 해왔지만, 피해 여성과 아동의 욕구 및 문제해결 방법이 상호의존적 차원으로 교차하는 현실을 직시할 때 '또 같이' 협력하고 연계할 수 있는 대안을 기대하였다. 중복문제에 관한 다차원적 조사와 사정도구의 개발, 관련 실무자 의무교육과 보수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 PDF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on the Career Identiy of teenager using local child center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Adapting to School Life)

  • 조옥선;방해순;석말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52-16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경험의 하위요인인 부모방임 및 학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1기 6차년도 패널 자료에서 419명을 추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의 하위요인인 부모방임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부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대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은 방임과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와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도출하였다.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 제고 (Enhancement of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 남중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68-377
    • /
    • 2012
  • 최근에 발표된 정부의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는 체육수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청소년들의 체력과 건강이 저하되는 교육현실에도 오히려 학교체육은 소외되는 역설적 사회가 지속된 지 오래이다. 과도한 입시경쟁에서 저평가된 체육교과는 학교교과로서의 핵심적 목적을 전인교육에 두고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공식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접근으로써 체육의 역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이 고착화된 이유는 개인적, 가정적, 학교, 지역사회 등의 요인 등과 더불어 압축적 근대성장에 의한 성장제일주의, 경제적 효율성에 기반을 둔 신자유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된 결과이다. 그만큼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은 고착화된 가치체계와 신념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심각한 학교폭력의 수준에 불구하고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어 교육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체육의 가치를 통해 체육이 학교폭력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정당성 논리가 재발견되는 만큼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은 학교체육의 정상화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대안은 학교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와 함께 학교폭력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체육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 등이 동반될 때 보다 근본적인 실천적 대안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