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hancement of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 제고

  • Received : 2012.06.26
  • Accepted : 2012.07.09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recently announced by the government include some content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education has long been ignored in school paradoxically in spite of the deteriorating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of adolescents.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undervalued in the middle of overly excessive competitions for college entrance exams finds its core goal in whole person education and officially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spects, which means that physical education claims important significance by providing diverse approaches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enhance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Korean society, school violence has taken deep root due to the combined results of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the growth-first policy driven by compressed modern growth, and neoliberalism based on economic efficiency. School violence possesses such fixed value systems and convictions in Korean society. Education has failed to achieve some effectiveness because of the serious level of school violence, which calls for assessment of ideology having big impacts on educational environments. Given that it has been rediscovered that physical education has legitimacy of alleviating 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through its value, an alternative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should start with physical education normalization in school. Specific alternatives including the activation of sports clubs in school will be established as more fundamental practical alternatives when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related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최근에 발표된 정부의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는 체육수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청소년들의 체력과 건강이 저하되는 교육현실에도 오히려 학교체육은 소외되는 역설적 사회가 지속된 지 오래이다. 과도한 입시경쟁에서 저평가된 체육교과는 학교교과로서의 핵심적 목적을 전인교육에 두고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공식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접근으로써 체육의 역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이 고착화된 이유는 개인적, 가정적, 학교, 지역사회 등의 요인 등과 더불어 압축적 근대성장에 의한 성장제일주의, 경제적 효율성에 기반을 둔 신자유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된 결과이다. 그만큼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은 고착화된 가치체계와 신념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심각한 학교폭력의 수준에 불구하고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어 교육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체육의 가치를 통해 체육이 학교폭력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정당성 논리가 재발견되는 만큼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은 학교체육의 정상화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대안은 학교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와 함께 학교폭력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체육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 등이 동반될 때 보다 근본적인 실천적 대안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나경, 변해심, "저소득층 유.청소년의 스포츠바우처 참가와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인과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6권, pp.881-898, 2011.
  2. 고완태, 교구의 현직교육 평가 모형 연구, 미간행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 권은주, 아동학대의 원인 및 대책에 관한 고찰-신체적 학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78.
  4. 김기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을 어떻게 대할까, 월간 초등우리교육. 서울: 우리교육, 1998.
  5. 김동규, 구강본, "신자유주의 학교체육의 전개양상과 대응과제",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3호, pp.33-43, 2003.
  6. 김선애, "가정, 학교, 친구관련 변인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1호, pp.101-126, 2007.
  7. 김영갑, 구강본, "건강제일주의 이해를 위한 선행 변수들: 압축적 근대성장, 가족이념, 매스미디어", 한국체육철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15-225, 2006.
  8. 김영갑, 김기홍, "한국 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 학교체육", 한국체육철학회지, 제18권, 제1호, pp.241-252, 2010.
  9. 김용석, "학교 폭력 예방에 있어 여가 레크리에이션의 역할",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p.77-82, 2012.
  10. 김준호, "한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 피해와 가해를 중심으로", 청소년폭력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pp.9-29, 1997.
  11. 김지영, 정정숙, "중학생들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재발방지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8호, pp.141-159, 2011.
  12. 김창군, 임계령,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법학연구, 제38권, pp.173-198, 2010.
  13. 도기봉, "학교폭력 경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2권, 제2호, pp.127-147, 2006.
  14. 박명기, "학교체육의 현주소와 정책 과제", 스포츠과학, 제106호, pp.2-10, 2009.
  15. 박소영, 이근모, "체육교사의 폭력적 언행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체육교과 태도 및 체육수업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4호, pp.755-770, 2008.
  16. 신유림,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위축성과 친구관계", 아동학회지, 제28권, 제5호, pp.193-207, 2007.
  17. 신종순,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1.
  18. 안용성, "학교폭력 청소년상담 3년새 2배 늘었다", 세계일보, 10면, 2012, 6. 15.
  19. 양야기, 이정숙,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369-378, 2009.
  20. 유광욱, 원유병, "생활체육참여 정도 관련변인과 학교폭력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97-113, 2008.
  21. 유성렬, "학교폭력에 대한 단상", 청소년문화포럼, 제30호, pp.165-169, 2012.
  22. 유정애, 체육수업비평, 서울: 무지개사, 2003.
  23. 유평수, "중학생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2권, 제2호, pp.51-76, 2005.
  24. 윤정욱, 문용, 주성택, "저소득가정의 아동.청소년의 스포츠바우처 참가와 셀프리더십간에 자아존중감 및 자아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6호, pp.75-89, 2011.
  25. 이건순, 저소득층 청소년의 문화바우처 이용체험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미간행석사학위 논문, 2010.
  26. 이석훈,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청소년 여가의 뉴 프레임; 학교스포츠클럽",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p.31-38, 2012.
  27. 이은해, 고윤주, "또래괴롭힘에 관련된 아동의 친구관계와 자아지각", 아동학회지, 제24권, 제4호, pp.1-16, 2004.
  28. 이춘화, 청소년 폭력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1995.
  29.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미간행박사학위논문, 2007.
  30. 정주연, 복권기금 문화나눔 사업 운영실태에 대한 연구; 문화바우처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11.
  31. 정하은, 전종설,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의 위험 요인",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1호, pp.195-212, 2012.
  32. 조남기, "올바른 스포츠 문화의 부재, 학교폭력의 방관입니다", 한국체육철학회, 2012년 한국체육철학회 하계학술대회, 체육.무용의 사회철학적 탐색(pp.17-29), 서울: 한국체육철학회, 2012.
  33. 조동근, "신자유주의가 양극화의 주범이라고?", 월간 경영계, 제394호, pp.50-51, 2012.
  34. 최성훈, "학교폭력예방에 있어서 여가레크리에이션의 역할",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p.17-27, 2012.
  35. 최의창, "체육교사교육에서의 인성교육 탐색-현황, 동향,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23, 2007.
  36. 허승희, 최태진,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 가해 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175-197, 2008.
  37. 허승희, 최태진, 박성미,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 피해 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제30권, 제1 호, pp.149-163, 2009.
  38. C. Geertz, "Deep play: Notes on the balinese cockfight," Daedelus, pp.1-35, 1972.
  39. R. Lipsky, "Toward political theory of American sports symbolism,"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21, No.3, pp.345-360, 1978. https://doi.org/10.1177/000276427802100304
  40. M. D. Luke and G. D. Sinclair,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Vol.11, pp.31-46, 1991.
  41. C. Mulrine, "Survey course on the effect of violence in educational settings," Montana University Press, 1996.
  42. D. Olweus, "Bull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Blackwell Publishers: Oxford, 1993.
  43. S. S. Horn, "Adolescents' reasoning about exclusion from social group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9, No.1, pp.71-84, 2003. https://doi.org/10.1037/0012-1649.39.1.71

Cited by

  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hort-term Activity Program during Vacation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