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학교

검색결과 1,069건 처리시간 0.024초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의무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ementary·Middle integrated school -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ese Integrated Schools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32
    • /
    • 2019
  • 본 연구는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일본의 초·중 통합학교 형태인 의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 배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중학교 발달단계별 학급교실의 공간 구성과 배치 특성을 도출하였고, 초·중 통합 활용전용 공간과 공동 활용 교과교실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중학교 급별 학년별 교과교실 연계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과교실 배치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초·중 통합학교 공간 배치 구성 방향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공공 통합형 도서관 운영사례 -강남구립 학교전자도서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of Gangnam-gu)

  • 한윤옥;이승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2
    • /
    • 2003
  • 서울의 강남구청에서는 2001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15개 초등학교에 학교전자도서관을 설치하여 학생은 물론 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빈교실만 제공하고, 운영인력과 운영비는 모두 강남구청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일종의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이며, 이와 같은 통합형도서관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양 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 강남구청에서 자체예산으로 설립한 학교전자도서관의 운영 상태와 이용만족도를 조사, 평가함으로써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모델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 -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The Case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actices in Schools -What are the ways to facilitat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안정용;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3-777
    • /
    • 2013
  • 본 연구는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두 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차원의 통합 과학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통합은 어떤 형태인지 그리고 일반 학교와 구별되는 그 학교의 상황 요소는 무엇인지를 수업 참관, 교사 면담, 학교교육계획서 수집, 수업 동영상 분석, 학생 결과물 수집과 같은 다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는 통합의 유형, 수준, 교사의 역할, 학생 활동에서 차이를 드러냈으며 이러한 차이가 다른 모습의 통합 과학교육 사례를 보여주었다. 둘째, 두 학교가 통합을 실천할 수 있게 한 학교 상황 요소가 있었다. 통합교육을 실천한 학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리더십', '교사 팀의 협력활동', '교육계획을 위한 시간확보', '유동적인 시간운영', '지역사회와 연계'와 같은 유사한 학교 상황요소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사례에서는 통합을 기존의 안정적 성격의 교육적 시도가 아닌 보수적인 교사 문화를 극복하여 학교 교육의 혁신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수적 문화극복/혁신 추구'를 새로운 학교 상황 요소로 제안하였다. 또한 두 학교는 안정적인 교사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선행 연구에 비해 단기간에 대규모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소규모의 안정적인 학습 환경' 대신 '협력적 친밀한 관계'로 요소를 수정하였다.

통합체육 배구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ntinuation of Exercis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Volleyball Activities.)

  • 배광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09-114
    • /
    • 2019
  • 본 연구는 통합체육 배구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고 분석한 결과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은 학교생활 만족에 운동실력을 습득하며 협동심을 통해 교우관계가 친밀하게 유지되었으며, 지적장애학생 참여자들은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을 체험하면 할수록 운동실력의 향상으로 몸이 유연해졌으며, 협동심을 통해 교우관계 친밀 유지, 학교의 소속감, 운동의 공감대, 운동실력 습득의 성취감, 운동 준비과정에서 자신감과 자립심 등이 함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한계와 불만족을 극복하고 통합교육에서 추구하는 통합을 이룰 수 있다.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Activation Strategy of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7-116
    • /
    • 2007
  • 학교도서관 교육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도구교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학교도서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학교도서관 통합 교육과정은 학교도서관 교육의 사고전략과 교과교육 과정의 학습주제를 통합한 것이다. 학교도서관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강화하고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와 협동 전략으로써 범교과 학습주제를 기반으로 10학년을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서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5
    • /
    • 2012
  • 통합교육 이념이 법제화되어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자 비중이 확대되었으나 이러한 변화가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 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이 그 역할을 다하고 학교도서관에 의한 교육적 지원이 학교전체의 특수교육서비스시스템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교사가 특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능력을 갖추어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에서 장애 관련 교과목은 거의 배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의 의의, 통합교육환경에서의 학교도서관의 역할 및 사서교사 교육의 필요성 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사서교사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사서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대학에서 교육하여야 할 내용을 추출하여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 박지훈;이은정;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활동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요소와 더불어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은 대전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 시간에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중재는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총 25회를 제공하였다. 감각통합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고, 작업수행요소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SS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BOTMP)를 사용하였으며, 작업수행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을 적용한 결과 대상아동들은 작업수행요소인 단축감각력(SSP), BOTM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의 수치상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SFA)의 점수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대상의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등학교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에서의 통합학습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Robot Programming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 서영민;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41-244
    • /
    • 2011
  •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과학의 원리를 가르치기 위하여 EPL, 로봇프로그래밍, Unplugged Project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로봇을 활용한 경진대회, 창의 대회 등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에서도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로봇, 공학 경진대회는 특정 로봇의 기능 및 사용법, 흥미 위주의 획일적인 내용을 벗어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통합적 접근을 했던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여러 학문의 융합,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통합은 초등 학습자의 학습으로의 보다 본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폭넓은 학습 활동 측면에서 프로그래밍(로봇)의 통합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제는 프로그래밍(로봇) 학습이 왜 통합 학습으로 교육과정 상에 녹아 들어가야 하는지에 관한 본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의 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째, 초등학교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했던 기존의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며, 둘째,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통합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고찰해 볼 것이다.

  • PDF

통합운영학교의 운영 실태 및 성과에 관한 연구 -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Operation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Integrated Operation School -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

  • 이지유;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50-59
    • /
    • 2020
  • 통합운영학교는 1998년 8개교를 운영함으로써 국내에 도입되어 현재 106개교로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통합운영학교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 각자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으나 오늘날에도 이러한 지적사항들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의 개념, 배경, 최근현황, 유형 등을 전반적으로 정리한 후, 문헌조사를 통하여 통합운영학교의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측면, 교원관리의 측면, 학생관리의 측면, 교육시설 운영 및 관리의 측면, 법률 및 정책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통합운영학교의 우려되었던 점과 실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비교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