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서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 강숙희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2.02.25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In recent years,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in mainstream schools has been a major stream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Korea has not been responsive to these trends. A few of departmen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niversities offer courses that include information about special needs students. This study addressed the implic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 roles of school library and the training needs of teacher librarians for service to special needs students. And it analyzed tendency and current state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 on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departmen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n universities offer more courses concerning educational support for special needs students in their curriculum and include of special modules in their most of courses offered to enhance the skill of future teacher librarians to cater for special educational needs.

통합교육 이념이 법제화되어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자 비중이 확대되었으나 이러한 변화가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 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이 그 역할을 다하고 학교도서관에 의한 교육적 지원이 학교전체의 특수교육서비스시스템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교사가 특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능력을 갖추어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에서 장애 관련 교과목은 거의 배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의 의의, 통합교육환경에서의 학교도서관의 역할 및 사서교사 교육의 필요성 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사서교사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사서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대학에서 교육하여야 할 내용을 추출하여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천대학교

References

  1. 권현수,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조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제4호(2007. 12), p.477.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특수교육통계, [인용 2011. 11. 16].
  3. 김종성, "학교도서관 영역 교과목 운용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2호 (2004. 6), pp.371-392.
  4. 김종성,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1호(2006), pp.135-159.
  5.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8. 3), pp.51-72.
  6. 함명식,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 42권, 제3호(2008), pp.169-188.
  7. 김성준,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2호(2010), pp.97-116.
  8. 강봉숙, 손정표, "사서교사의 직무연수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요구분석," 社會科學(경북대학교), 第17輯(2005), pp.295-332.
  9. 김성준,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9. 9), pp.249-269.
  10. 이미숙, 송기호,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현황 및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2 권, 3호(2011. 9), pp.507-534.
  11. 김선호,"장애 이슈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교육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 (2010. 12), pp.295-312.
  12. Anne M. Galler, "The inclusion of library service to disadvantaged persons in library school curricula: a study," IFLA Journal, Vol.23, No.5/6(1997), pp.365-370.
  13. Beatrice Christensen Sköld, "National policies for library service to visually impaired and other print handicapped children," 65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Proceedings(Aug. 1999), [인용 2011. 11. 20].
  14. Janet Murray, "Enhancing the skills of school library staff to cater for individual student needs," 65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Proceedings(Aug. 1999), [인 용 2011. 11. 20].
  15. Julie Klaube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library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1, No.2(Fall 1990), pp.153-156. https://doi.org/10.2307/40323400
  16. S.D. Lithgow, "New roles, new skill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to disadvantaged users," 62th IFLA General Conference Proceedings(Aug. 1996), [cited 2011. 11. 20].
  17. Janet Murray. "An inclusive school library for the 21st century: fostering independence," 65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Proceedings(Bankok. Thailand. Aug. 1999). [인용 2011. 11. 20].
  18. L.L. Walling, "Educating students to serve information seek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5, No.2(Spring 2004), pp.137-148. https://doi.org/10.2307/40323900
  19. Deborah J. Carlos, Instruction in Disability Services and Adaptive Technology in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Survey of the Curriculum(Master Thesis, The Schoo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05).
  20. 松戶宏予, "イギリスの特別なニーズ敎育と學校圖書館の關わリ: 社會背景と學校圖書館調査事例をもとに," 圖書館情報メディア硏究, 第3卷, 第1号(2005), pp.89-120.
  21. 松戶宏予, "特別な敎育的支援を必要とする兒童生徒に對のすゐ學校司書の意識と對應," 日本圖書館情報學會誌, Vol.52,No. 4(2006. 12), pp.221-243.
  22. 이숙향,"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3호(2010.9), pp.339-340.
  23. 김영숙.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1호 (2005. 3), p.198.
  24. 이효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가져다주는 변화와 과제," 교육정책포럼, 통권 179호(2008. 9), pp.4-5, [인용 2011. 11. 30].
  25.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 l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nes. revised Sept. 1993. [cited 2011. 12. 27]
  26. IFLA UNESCO. IFLAI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 The School Library In Teaching and Learning for All. 1999. [cited 2011. 12. 27]
  27. Janet Murray. "How school librarians can contribute to the personal growth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ana: Journal of School and Children's Librarianship. Vol.36. No.2 (Jul. 2000). pp.5-11.
  28. 松戶宏予, "イギリスの特別なニーズ敎育と學校圖書館の關わリ: 社會背景と學校圖書館調査事例をもとに," 圖書館情報メディア硏究, 第3卷, 第1号(2005)pp.105-107.
  29. 윤광보, 우정한. 김영숙,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활동에 필요한 지식기반에 대한 조사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9권, 제1호 (2008.3), p.485
  30. 김선호, "장애 이슈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교육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10. 12), p.300.
  31. 교육과학기술부. 2010 특수교육연차보고서(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p.12.
  32.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통계 주요지표. [인용 2011. 12. 17]
  33.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p.24.
  34. 김성준, 서진원, "우리나라 사서교사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p.162.
  35. 교육과학기술부, 2011학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pp.323-324.
  36. 김성준,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2호(2010), p.110.
  37. 나사렛대학 점자문헌정보학과 홈페이지.
  3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및 초등.중등.특수학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9 - 29호).
  39. 우정한 등,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콘벤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7권, 제2호(2006. 6). p.148.
  40. UNESCO, ISC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lfication of Education, 1997), [cited 2011. 12. 28].
  41. 김영숙,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1호(2005. 3), p.201.
  42.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ience, "The librarian's standing." (In: Better Libraries: Good practice in school(London :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1989). p.20). (松戶宏予. 2005, op, cit., p.95에서 재인용).
  43. 松戶宏予, "イギリスの特別なニーズ敎育と學校圖書館の關わリ: 社會背景と學校圖書館調査事例をもとに," 圖書館情報メディア硏究, 第3卷, 第1号(2005),pp.93-96.
  44. 松戶宏予, "イギリスの特別なニーズ敎育と學校圖書館の關わリ: 社會背景と學校圖書館調査事例をもとに," 圖書館情報メディア硏究, 第3卷, 第1号(2005), p.90.
  45. 松戶宏予, "特別な敎育的支援を必要とする兒童生徒に對のすゐ學校司書の意識と對應," 日本圖書館情報學會誌, Vol.52, No. 4(2006. 12), p.235
  46. [cited 2011. 12. 21].
  47. Merrillyn Gibson, "Preparing librarians to serve handicapped individual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Vol.18, No.2(Fall 1977). p.125.(L.L. Walling. op, cit., p.144에서 재인용).
  48. Anne M. Galler, "The inclusion of library service to disadvantaged persons in library school curricula: a study," IFLA Journal, Vol.23, No.5/6(1997), pp.365-366.
  49. Anne M. Galler, "The inclusion of library service to disadvantaged persons in library school curricula: a study," IFLA Journal, Vol.23, No.5/6(1997), p.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