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본식물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stribution of $C_4$Type Grasses in Korea (한국의 $C_4$형 식물의 분포 조사)

  • 장남기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7 no.2_3
    • /
    • pp.103-112
    • /
    • 1993
  • 한국에서의 $C_3$$C_4$CAM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알아보았다. 한국 전체에서 258 군데의 지역에서 모든 초본식물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식물들의 중요값을 통해 우점종을 결정하였으며 이들 식물의 분류에는 크란츠 해부구조의 존재 관찰을 비롯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_4$형 초본식물은 총 7개과 92종이었으며 $C_4$식물의 대부분은 화본과 식물이었다. 대한민국에서의 $C_3$$C_4$형 초본식물의 분포는 초본식물의 서식지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야외 및 해변의 건조지역에서는 $C_4$형 초본과 조건적 CAM 식물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반면, 습윤 지역에서는 주로 $C_3$형 초본식물이 많이 나타났다. 조사된 총 258개 지역 중에서 잔디가 우점종인 지역은 6개 지역이었다.

  • PDF

The Effects of Mircro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rbaceous Species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의 공간 이질성이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 Lee, Kyu-Song;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3
    • /
    • pp.255-266
    • /
    • 2000
  •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점봉산의 온대낙엽수림(참나무 성숙림)에서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를 정량화하고, 이들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미소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임상초본식물들은 영구 방형구내 미소지소간에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임상초본식물중 공간의존도가 높은 식물은 현호색, 애기나리 및 노랑제비꽃이었고, 가을에 출현하는 임상초본식물중 공간의존도가 높은 식물은 벌깨덩굴, 쌀새 및 도라지모시대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홀아비바람꽃과 얼레지 그리고 가을에 출현하는 도라지모시대와 쌀새의 공간의존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노랑제비꽃, 애기나리 및 얼레지는 관목이 적고, 낙엽층이 얇으며,토심이 깊고,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염기성양이온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육지를 선호하였고, 애기앉은부채 와 현호색은 관목이 밀집하고, 낙엽층이 두꺼우며, 토심이 얇고, 유기물함량, 토양수분함량 및 영양염류함량이 높은 생육지를 선호하였다. 오리방풀은 빛조건이 좋고, 낙엽층이 두꺼우며, 토양수분함량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생육지를 선호하였고, 단풍취, 대사초, 개별꽃, 참취, 쌀새 및 도라지모시대는 토심이 깊고, 낙엽층이 얇으며, 토양수분함량과 영양염류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육지를 선호하였다. 본 참나무 성숙림에서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영양염류함량은 바람, 미소지형 및 관목의 밀집정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재배치되는 낙엽층 두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초봄과 가을에 관찰되는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는 낙엽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Hydrophytes Flora of Seven Swamp Inland in Korea (우리나라 7개 내륙습지의 수생식물 분포상)

  • Kim, Yoo Su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7 no.1
    • /
    • pp.52-6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loras and circumstances of Korean swamp inland. The floras of 7 swamp inland were 32 families, 49 genus and 69 species. They are accounted for 23% with 16 species of Cyteraceae, one group of annual herbaceous plants, and 6 groups of perennial herbaceous plants (Scirpus tabernaemontani, Phra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vergiicsiebold, Typha latifolia, Juncus krameri, and Juncus effusus). The plants of Scirpus tabernaemontani, Phra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vergiicsiebold, Typha latifolia, Juncus krameri, and Potagometon distinctus turnes out a dominant species.

Analysis of Functional Traits of Non-woody Native and Naturalized Plant Species Living in a Riparian Park Area near the Hapcheon-Changyeong Weir in Nakdong River (낙동강 합천창녕보 주변 습지공원지역에 서식하는 자생 초본식물과 귀화 초본식물의 기능 형질 분석)

  • Son, Min-Jeong;Nam, Ki-J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4 no.4
    • /
    • pp.327-333
    • /
    • 2021
  • The two main hypotheses that explain why invasive alien plants successfully colonize new environments are: 1) invasive alien plants are functionally different from native plants in a community, and 2) the plants can adapt well to new environments because they are functionally similar to native plan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functional traits of naturalized alien herbaceous plants and their native neighbors in a riparian park area near the Hapcheon-Changyeong weir along the Nakdong River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hypotheses applied to the study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leaf functional traits, such as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leaf thickness, leaf dry matter content, leaf nitrogen content, and leaf carbon content differed between naturalized alien and native plants,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higher leaf nitrogen contents in naturalized alien plants than in native plants. The high leaf nitrogen contents are associated with high photosynthetic rates, which lead to effective resource use and rapid growth; therefore, naturalized alien plants growing in the study area were considered to have such functional trai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invasive alien plants is attributed to the functional trait differences between invasive and native plants.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gchang-gun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 -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

  • Kim, Gab-T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4
    • /
    • pp.493-499
    • /
    • 2010
  •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cultiva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under the trees,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corrrlations between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were studied on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chang-gun. 136 native herb species were distributed in studied area, and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was proved the highest, 10.8%. The other major herb species were the following oders, Meehania urticifolia, Corydalis remota, Pimpinella brachycarpa, Carex siderosticta, Pseudostellaria palibiniana, Erythronium japonicum, Ligularia fischeri,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Hylomecon vernalis and Astilbe rubra var. rubra.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Hepatica asiatica and Ainsliaea acerifolia, Pimpinella brachycarpa and Aconitum jaluense subsp. jaluense, Aconitum jaluense subsp. jaluense and Smilacina japonica var. japonica, Meehania urticifolia and Pseudostellaria palibiniana. Seven groups of native herb species were divided by cluster analysis. Preferring site factors for each native herb species were determined. Ligularia fischeri, Ainsliaea acerifolia, Parasenecio auriculata var. matsumurana, Erythronium japonicum and Pimpinella brachycarpa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higher sites, Ligularia fischeri were ditributed more frequently in deep soil sites. These results might be useful measures in the conservation and cultivation of native edible and medicinal herb species on the forest floor in the natual broadleaved forest, Pyeungchang-gun.

Natural Grassland in Korea (한국의 자연초지)

  • 이성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48-55
    • /
    • 1992
  • 자연초원(natural grassland)은 연간 강수량이 $250\sim1000mm$, 기온이 $0\sim26^{\circ}C$인 지역에서 형성되는 기후극상의 식생으로써 초본식물, 특히 벼과식물이 우점되어 있다. 이 자연초원은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온대초원 열대초원, steppe, prairie, pampa등으로, 식물의 초고에 따라 장초형 초원 단초형초원으로 분류한다. 한국에는 연간 강수량이 많고 연평균기온이 높아서 기후 극상의 자연초원은 성립되지 못하고 식생천이의 도중상으로 소규모의 초본식물군락이 나타난다. 이들은 주로 방치된 경작지나 경작지주변의 인간간섭이 많은곳, 해수나 강물의 영향으로 나무가 생장할 수 없는 곳에 식생천이의 도중상으로 나타나거나, 산림이 산불이나 벌목으로 파괴된 곳에서 제2차천이의 과정으로 초본식물군락이 출현하는데 이것을 야초지(native grassland)라고 한다. 특히 야초지에 가축을 사육할 목적으로 목초를 재배하여 이용할 때는 초지라고 한다. 한국의 야초지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우점초종은 억새, 새, 솔새, 잔디, 갈대, 쑥 등이며 건조하고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C-4형 식물이, 수분이 많고 서늘한 봄과 가을에는 C-3형 식물이 높은 생산성을 나타낸다. 야초지는 지표면을 피복하여 바람이나 빗물에 의한 토양침식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초식동물의 먹이를 생산하고 자연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주는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으나 공장부지 주택지 농업용지등으로 개발되어 없어지고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황폐화 되고 있다. 야초지를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생장이 빠르고 생산성이 높은 우수한 목초를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방법으로는 겉뿌림초지조성법, 제경법, 시비법이 이용된다.

  • PDF

Taxonomic reality of the Plants in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3.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法華經) (대승경전에 수록된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3. 법화경 (法華經))

  • MIN, Tae-Young;KO, 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3-53
    • /
    • 2018
  • 본 연구는 대승 경전에 나타난 식물의 수록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연구의 세 번째 과정이다. 법화경은 천태종(天台宗)의 소의 경전(所依慶典)으로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경전 가운데 최다 간행된 경전이며 화엄경과 함께 한국 교학의 중심이 된 경전이다. 연구 대상은 현존하는 법화경의 판본 가운데 구마라집(鳩摩羅什) 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이하 법화경, 7권으로 구성)에 수록된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분류학적 실체는 물론 이 경의 중심 논지와 연관성이 큰 천화(天華, 하늘의 꽃)의 실체를 별도로 구명하여 식물수록의 특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구명하고자 하였다. 1. 법화경에 나타난 식물의 수록 횟수와 식물의 종 수는 다음과 같았다. 법화경에는 총 27종의 식물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이 가운데 목본은 16종(59.3%)이고 초본은 11종(40.7%)이었다. 식물수록 양상에 있어 특이점은 목본이 초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사상의 전달방식에 있어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대승 경전과 차이가 있다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실제로 비교 대상인 화엄경의 목본과 초본 비율은 각각 17종(48.6%)과 18종(51.4%)이었고 열반경은 각각 36종(45.6%)과 43종(54.4%)으로 목본과 초본의 수록 비율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2. 법화경에 나타난 식물 27종은 총 20개 과에 분포되어 있었다. 수련과 3종, 콩과 3종, 물푸레나무과 2종, 뽕나무과 2종, 벼과 2종의 순이었다. 다수 과에 분포된 식물은 대부분 중심사상 전달의 매개체인 천화(하늘의 꽃)에 속하는 식물이었다. 3. '하늘의 꽃' 이라고 신성시되면서 이 경의 내용 전개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천화(天華)'는 연꽃과 수련 종류를 지칭하는 식물이 중심이 되었으며 유용한 관상 및 조경, 향료 자원 및 목재 자원 식물이었다.

  • PDF

Relative importance of climatic and habitat factors on plant richness along elevation gradients on the Mt. Baekhwa, South Korea (백화산 고도별 식물 종풍부도에 대한 기후 및 서식지 인자의 상대적 중요성)

  • Lee, Chang-Bae;Chun, Jung-Hwa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3
    • /
    • pp.233-242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the richness patterns of vascular plant specie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climatic and habitat variables on the observed patterns along elevational gradients on the Mt. Baekhwa, South Korea. Plant data were recorded from 70 plots and a total of 187 plant species with 78 woody and 109 herbaceous species were recorded along two study transects, the Banyasa and Bohyunsa transects, on the Mt. Baekhwa. A total of 154 plant species with 66 woody and 88 herbaceous species and 131 plant species with 58 woody and 73 herbaceous species were recorded along the Banyasa and Bohyunsa transects, respectively. We used simpl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 multi-model inference and variation partitioning to analyz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climatic and habitat variables on the elevational richness patterns. Species richness pattern for vascular plants along the Banyasa transect monotonically decreased with elevation, whereas plant species richness showed reversed hump-shaped pattern along the Bohyunsa transect. Although the elevational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for vascular plan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both transects, habitat variables are more important predictors than climatic variables for the elevation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long our study transects on the Mt. Baekhw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levational diversity patterns of vascular plants may be different even between nearby elevational transects in a mountain ecosystem but the diversity patterns may be controlled by same drivers.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at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in 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 지대의 식물 분포)

  • 추갑철;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3
    • /
    • pp.181-186
    • /
    • 2003
  •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monitoring and the conservation of native plant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Jongseogdae in Jirisan (Mt.).40 plots(5m${\times}$5m) set up by random sampling method and the distribution of native shrub and herb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was surveyed. Leading shrub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were Tripterygium regelii with IP value of 23.45% : followed by Lespedeza maximowiczii,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Lespedeza tomentella. Dominant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were Lysimachia clethroides,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Synurus deltoides,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Hemerocallis fulva and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Rhododendron tschonoskii recorded from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list of the Korea Forest Service distributed among the rocks on the top of Jongseogdae. The long-term sustainable habitat monitoring might be required to conserve this subalpine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