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채점 기준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Design of Grouping and Evaluation Supporting System for Collaborative Learning (협동학습을 위한 모둠구성.평가 지원 시스템 설계)

  • Im, Gi-Bo;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28-23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의 사전평가, 모둠구성, 사후평가, 점수결과처리의 단계에서 교사의 업무 부담을 혁신적으로 덜어 주고 높은 교육적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협동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첫째, 협동학습에서 사전 사후평가의 채점 및 점수산출과정과 모둠구성단계를 자동화함으로서, 수업준비와 결과처리의 부담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둘째, 다양한 종류의 협동학습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학습자의 성별, 성향, 성적 등의 포괄적인 모둠구성 기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사전평가, 과정평가, 형성평가, 자기평가, 모둠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방법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

기술사 상호승인(Mutual Accreditation)을 위한 각국의 기술사 제도실태(제1부)

  • Huh, Ginn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30 no.1
    • /
    • pp.63-83
    • /
    • 1997
  • 나라마다 기술사 자격을 인정하는 제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미국은 주로 각주 기술사회에서 기술사 자격시험을 관장하나 출제문제 및 채점은 국가기술 및 측량시험 평의회 NCEES (National Council of Examiners for Engineering and Surveying)의 소관이다. 물론 면허등록은 주정부가 관장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Singapore, Malaysia, 태국은 정부가 자격인과 등록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Australia는 호주 공학회 연합 IE Aust(The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가 독자기준에 따라 기술사의 자격인 및 면허등록도 해주고 있다. 공학회 연합이 인정한 기술자격은 정부도 인정하고 필요한 Engineering Service는 정부의 사업에 채택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유무역 촉진을 위해서는 기술자격, 인 제도 등의 정합화가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하며 이는 인재개발과 육성의 관점에서도 Program화 되어야 하는 단계이다. 앞으로 기술사의 해외 업무확대를 원활히 전개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기술사 제도의 실태조사를 통해서 우리 나라의 기술사 자격의 국제 정합화와 상호인 추진의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있다. 제일부를 환태 평양국가, 제2부를 구주편으로 양분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nalyzing Beaver Challenge Questions as a Computing Computing Assessment Tool :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로써 비버 챌린지 문항 분석: 문항반응이론을 기반으로)

  • Kim, Eun-Ji;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107-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평가도구로써 비버 챌린지 문항을 활용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비버 챌린지 문항을 분석하고, 비버 챌린지에서 기존에 제시하는 난이도와 문항반응이론을 통한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버 챌린지는 쉽고 변별력이 높은 검사로 나타났으나, 비버 챌린지에서 제시하는 난이도와 문항반응이론을 통한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난이도에 따라 가점과 감점이 이루어지는 비버 챌린지 채점 기준을 고려할 때 정확한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위해서는 난이도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 PDF

Image Processing Analysts for Handwriting Legibility Assessment (글씨쓰기 명료도 평가의 영상처리 분석)

  • Kim, Eun-Bin;Lee, Cho-Hee;Lee, Ji-Won;Kim, Eun-Young;Lee, 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482-483
    • /
    • 2018
  • 명료하게 글씨를 쓰는 능력은 글을 통한 의사소통에 필수적이다. 한글쓰기의 기존 평가들은 수기에 의한 채점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주관적인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의 오프라인 필기체 문자를 영상처리를 통해 글자의 크기와 비율, 위치를 데이터화하고 정량화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쓰기 수행을 평가하고 기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필기체 문자 영상처리 분석 결과, 높이가 폭에 비해 약 1.2배 크며 글자가 왼쪽 아래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글의 필기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An Automated Essay Scoring Pipeline Model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Reflecting Argumentation Structure Information (논증 구조 정보를 반영한 심층 신경망 기반 에세이 자동 평가 파이프라인 모델)

  • Yejin Lee;Youngjin Jang;Tae-il Kim;Sung-Won Choi;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54-359
    • /
    • 2022
  • 에세이 자동 평가는 주어진 에세이를 읽고 자동으로 평가하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에세이 자동 평가 모델을 위해 Argument Mining 작업을 사용하여 에세이의 논증 구조가 반영된 에세이 표현을 만들고, 에세이의 평가 항목별 표현을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에세이 표현이 사전 학습 언어 모델로 얻은 표현보다 우수함을 입증했으며, 에세이 평가를 위해 평가 항목별로 다른 표현을 학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보였다. 최종 제안 모델의 성능은 QWK 기준으로 0.543에서 0.627까지 향상되어 사람의 평가와 상당히 일치한다.

  • PDF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Kim Dong-Yeong;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3-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스스로 느끼는 평가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바람직한 평가 전문성 신장 방향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자기반성적 관점에서 과학교사 스스로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와 이를 이용하여 얻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평가 전문성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학생 평가 전문성 등급 평정 척도와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안내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바람직한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의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요소를 추출하여 범주별로 정리한 다음 학생 평가 전문성 요소별로 구체적인 수준과 상태를 제시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마련된 기준을 근거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더불어 수차례의 과학교육전문가 검토 및 협의, 학교 현장 교사들의 검토 및 협의를 거치면서 수정${\cdot}$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에는 진단 내용에 과학교사의 평가에 관한 지식과 더불어 실무적인 능력과 실제로 행하고 있는 평가의 실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교사 스스로 자신의 평가 전문성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전형적인 응답 유형과 채점 기준, 해설 및 평가 전문성 등급 평정 척도를 제시했고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전문성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신장시킬 수 있도록 간략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처방과 평가 지향에 따른 교사의 전형적인 유형을 제시하여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교사가 전문성 개선 방향과 방법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본 연구는 과학교사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환심을 높이고, 이를 진단하고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려는 데에도 좋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 프로그램에 제시된 전문성 평정 기준을 좀 더 객관화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많은 교사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진단 운항을 제작하는 데 있어 지구과학 내용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 제시된 진단 문항 제작에 관한 해설을 참고하여 다른 과학교과 내용을 소재로 한 진단 문항 제작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n Analysis of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for Students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분석)

  • Hong, Jun-Euy;Lee, In-Ho;Jhun, Young-Seo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6 no.3
    • /
    • pp.267-2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for students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56 sixth grad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itially, a question 'How does the dust effect on human health?' was posed to students. Then, an assessment framework for analysis of the inquiry report was developed. It is composed of 5 domains: data collection, prediction, the inquiry process, results, conclusion and present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students achieved high scores in the domain of 'data collection' and followed by prediction, inquiry process, results, conclusion and presentation.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n spite of high scores obtained in basic inquiries such as data collection, students needed to improve their skills in prediction, the inquiry process, results, conclusion and presentation. Second, the reason why students were outstanding in data collection is that they have improved their ability to handle data in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ird, even though students were good at citing and applying some information, they didn'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data and exhibited weaknesses in arguing their own opinions.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Student Development (학생성장을 위한 초등수학 수행평가모델의 개발 및 적용)

  • Choi-Koh, Sang Sook;Park, Mangoo;Kang, Kyung Eun;Kim, Hye You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4
    • /
    • pp.625-64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feedback-enhanced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through a variety of assessment strategie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achievements of the sixth grade curriculum standards and set the central achievement standards in core competencies. We then established an evaluation plan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methods and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process-based evaluation during lessons. We applied this assessment model to 6th grade students whil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he classroom. The result of apply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show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Also, some students who was not achieved at the level of 'N' could develop to the level of 'N + 1'. A long term research using various assessment strategies should be continued for effective help of students' mathematical developmen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ybrid-typed Education Model for PO6 and PO7 Estimation (복합학제적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융합교육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Eun-Joo;Cho, Young-Im;Do, Seung-Lee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6
    • /
    • pp.132-1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ssessment method for PO6(teamwork) and PO7(communication skill),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items in engineering accreditation. In this paper, we used the assessment criteria of Rubric, to empirically measure the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 (PO6, PO7) are the most critical social competences in modern society. Numerous studies on education showed that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 can be enhanced through learning. We, therefore, need to investigate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 in terms of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the assessment method o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based on educational view is scarce.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assessment criteria of Rubric for PO6 and PO7 with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We also tried to apply the developed criteria to the related subjects.

  • PDF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ed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 Kim, Bok Nam;Kim, Soon 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20 no.2
    • /
    • pp.154-166
    • /
    • 2014
  • Purpose: The core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graduates through a CQI system based on outcomes. For program outcomes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assessment, objective and curriculum. Method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program outcomes and the assessment. First measures for improving the general problems of program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assessment system were stated. Detailed measure for practicing program outcomes,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assessment tool using Rubrics were discussed. Results: Detailed measure were established for practicing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tool, which makes use of rubrics, program outcome No 3 of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nclus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allow universities to conduct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