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 훈련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1초

우선선정직종훈련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Priority Job Training Program)

  • 유길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20-125
    • /
    • 2010
  • 우선선정직종훈련제도는 우리나라 전체 직업훈련 재정투자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핵심사업 중의 하나이다. 우선선정직종훈련제도는 2010년 5월 31일의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의 개정에 따라 "국가 기간 전략산업직종"의 훈련제도로 그 성격은 명확해졌으나 여전히 우선선정직종훈련제도의 훈련직종의 선정과정이 산업수요를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민간위탁훈련기관의 선정 및 관리방식에 많은 문제점을 안 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선선정직종훈련제도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국가기간 전략산업직종의 핵심인력을 양성하는 제도로서 발전해나가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가기간 전략산업직종에 대한 훈련수요 파악 및 직종 선정을 지역의 훈련기관과 산업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며, 민간위탁훈련기관의 선정, 계약, 관리 등을 개선해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광주지역의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이수자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 NCS 수준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Completers' Satisfaction of Job Training Programs and Training Performance in Gwangju Area: The Moderating Role of NCS Level)

  • 문연희;홍성우;신우진;최지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21-40
    • /
    • 2017
  • 본 연구는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과 같은 객관적인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또한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 간의 관계가 조절되는 경계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NCS 수준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의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HRD-Net에서 제공하는 2016년도 광주지역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중에서 취업률 정보가 제공되어 있는 513개의 훈련 프로그램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모형에 포함된 주요 변인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훈련 프로그램의 총합 만족도 점수는 4.46을 보여주고 있다. 훈련 프로그램의 NCS 수준은 2~6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3수준과 4수준이 각각 45.4%와 36.4% 순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은 3.32로 나타났다. 둘째,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취업률 측정 시점에 관계없이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는 NCS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이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미치는 주효과(main effect)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NCS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에 기초한 훈련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만족도 활용의 정교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만족도가 취업률 향상과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네팔의 공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쟁점 및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Technic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TEVT) in Nepal)

  • 쿨 바스넷;은태욱;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9-395
    • /
    • 2009
  • 네팔 국민의 30% 이상은 빈곤 수준 이하로 살고 있다. 15-24살 젊은이의 실직과 불완전고용 비율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국민들은 진로를 위한 기능 습득을 단념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빈곤자, 여성, 불우한 사람들은 기능 훈련의 접근이 제한적이며, 기능 훈련의 질은 가변적이며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좀 더 관련 있고 시장 중심의 훈련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업교육과 직업훈련 영역의 강화가 필수적이다. 공업 분야의 기능화된 인력과 실직 문제의 국가적인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는 지난 20여 년 동안 공업교육과 직업훈련을 제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해 왔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초기에 TEVT 영역의 잘못된 조직과 관리, 훈련 프로그램과 노동 시장 요구의 적절한 연계성 부족, 적합한 기자재와 수업 자료의 부족 및 불충분하게 훈련된 교사들 때문에 대부분 혼란스런 결과를 낳았다. 네팔의 TEVT 영역의 선도적인 기관으로서 공업교육훈련원(CTEVT)이 사회적으로 무시되고 제한된 서민 수준에서의 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사회 기반의 직업 훈련에 집중해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CTEVT와 TEVT 전문가들을 위한 기회일 뿐만 아니라 커다란 도전이다.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취업률과 고용유지율에 관한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 on 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Retention Rate of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 정선정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6호
    • /
    • pp.39-6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자가 훈련프로그램을 수료한 이후에 실업자의 실제적인 취업률과 고용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2012년 훈련서비스 품질 등에 관한 설문조사에 응답한 국가기간 전략산업직종(이하 '기간전략') 훈련생(889명) 중에서 최종적으로 수료한 훈련생(840명)의 훈련과정 종료 후 2년 이상의 고용보험 가입여부 및 가입기간 등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생명표 분석, Cox 회귀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수료 후 취업률이 가장 높은(36.8%) 시기는 3개월 이내이고, 전체 훈련생의 50% 이상이 취업한 시기는 6개월 이내로 나타났다. 수료 후 1년과 2년이 경과된 시점까지도 지속적으로 취업이 발생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취업률은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료 후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훈련서비스 품질 중 교수역량(-)과 고용가능성(+)으로, 교수역량을 낮게 인식할수록,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취업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취업 후 고용상실률이 가장 높은(각 22.0%, 22.3%) 시기는 3개월 이내와 3~6개월 이내이고, 전체 훈련생의 50% 이상이 고용보험을 상실한 시기는 8.8개월 이내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 후 고용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훈련서비스 품질 중 교사-학생관계(+), 학우관계(+), 훈련만족도(+)로, 교사-학생관계와 학우관계의 품질을 높게 인식할수록, 훈련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취업 후 고용유지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System on the Job Satisfaction in Private Secur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 전용태;신소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163-189
    • /
    • 2014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임교육훈련이 직업의식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민간경비원의 전문성 함양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경호 경비업체와 그 지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1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훈련은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육훈련은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은 매개효과로써 교육훈련과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선과 민간경비원의 직업의식 함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민간경비업체의 효과적인 관리행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경제적 성과 측정 모형 (Economic Model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강봉준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03-109
    • /
    • 2011
  •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는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지원은 그 효익이 직접적이고 단기적으로 발생되게 되어서 수원국에 큰 효익을 안겨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경제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이 없어서 단편적인 성과 측정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적용가능한 경제적 성과측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재무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ROI모형을 설정하고 여기에 비재무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BSC를 접목하였다. 직업훈련학교는 그 효익의 대상이 명확하고 효익이 교육생의 졸업과 동시에 발생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비재무정보 보다는 재무정보 중심으로 모형을 구셩하는 것이 보다 목적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이러닝산업 진흥을 위한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 법제도 개선 제언 (Improvement Alternatives of the Legal System o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e-Learning Industry Promotion)

  • 노규성;박상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63-168
    • /
    • 2013
  • 본 연구는 2009년 근로자 직업능력개발 훈련 지원에 대한 제도 개편이 한국의 이러닝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어려움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진단해보았다. 분석 결과, 엄격해진 원격훈련 지원 심사 기준으로 인해 원격훈련 기관이 상당수 줄어들게 되었고, 이는 나아가 이러닝 시장의 전반적인 위축이라는 문제점 등이 초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스마트 러닝, 창의적 융합인력 양성 등의 내용이 포함된 근로자직업능력 개발 관련 법제도의 개선 방안들을 제시함으로 창조 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추진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기업의 직무체계에 기초한 실업자 직업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for Vocational Training Courses for the Unemployed Based on Entrepreneurial Skill System)

  • 주인중;박종성;김상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38-6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직무체계에 기초한 실업자 직업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 연구에 있다. 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은 우선 직무체계 정립을 통하여 직무관련 개념정의와 직무체계를 검토하였으며, 직무능력체제 및 훈련과정 모형 개발 방향 및 방법을 수립하여, 직무능력체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직무영역, 핵심능력 및 수행내용, 능력단위 및 수준, 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체제에 따른 훈련과정 구성 및 구조 설계 정립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훈련과정 개발모형, 훈련과정 구조설계, 훈련과정별 훈련교과 모형이 도출된 훈련과정 모형이 개발되었다.

사업주 직업훈련지원제도가 교육훈련투자 성과를 촉진하는가? -기업규모 간 비교를 중심으로- (Do Training Subsidies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Training?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Large Sized Enterprises and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

  • 반가운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2호
    • /
    • pp.95-1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사업주 직업훈련지원제도가 교육훈련투자를 촉진하고, 촉진된 교육훈련투자가 생산향상으로 이어지는지를 기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이 기업의 교육훈련투자를 촉진하는 효과가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에서는 분명히 관찰되고 있지 않다. 또 정부지원을 통한 교육훈련투자 증가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보다 분명히 생산성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교육훈련투자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정부지원을 통한 교육훈련투자의 성과향상 효과가 훼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교육훈련투자를 하고 있는 대기업에 대한 정책 효과가 중소기업에 비해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 PDF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의 역량평가사로서의 훈련요구분석 (Training Needs Analysis for Skill Assessor's Competency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 박용호;이진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47-15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의 역량평가사로서 필요한 역량에 대한 훈련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Russ-Eft의 평가자 역량모델을 기초로 역량평가사로서의 역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국의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자격증을 가진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 본 설문에 최종적으로 응답한 인원은 총 234명이었고, 158명(67.5%)은 남성, 73명(31.2%)은 여성이었다. 분석 결과는 전문가 신뢰도(요구도 2.51), 평가관리계획 수립(요구도 2.11), 관리계획(요구도 2.08), 그리고 효과적 협업(요구도 2.07) 등의 순으로 개발의 요구가 파악되었다. 반면, 다양한 의도인식(요구도 1.01), 윤리기준 준수(요구도 1.24), 대인관계(요구도 1.76) 등은 상대적으로 개발의 요구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