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 만족도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3초

전세 거주 청년 부부가구의 지역 간 거주환경과 주거비 차이 (Geographical Discrepancies in Residential Outcomes and Housing Expenditure of Young Married Couples in Chonsei Housing)

  • 이현정;남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3호
    • /
    • pp.17-36
    • /
    • 2023
  • 본 연구는 전세로 거주 중인 청년(19-34세) 부부가구의 거주환경과 주거비를 네 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고 그 영향 변인을 분석한다. 2020년 주거실태조사를 횡단면 분석한 결과, 청년 부부가구는 31-32살의 대졸 이상 임금근로자인 남성 가구주가 있는 혼인 2-3년차 내외의 신혼부부였다. 맞벌이 비율이 높은 수도권 중 서울에서 무자녀의 맞벌이 2인 가구, 비수도권에서 유자녀의 외벌이 3인 가구가 두드러졌다. 수도권 가구의 자산, 전세 보증금, 부채, 소득이 비수도권보다 더 컸고, 특히 가장 큰 서울과 가장 적은 비수도권 지역 간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또한 전체적으로 60m2 이상의 침실 3개를 갖춘 아파트에 1년 이상 거주 중이었고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는 주택에 주거복지서비스 중 전세자금대출을 주로 이용 중이었다. 주택 및 전체적인 주거환경의 만족도는 특·광역시와 서울 가구에서 높은 편이었으나, 경인 가구는 모두 불만족하였고 비특·광역시 가구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처럼 연령, 혼인상태, 주택점유형태의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택시장과 복수 소득원 여부는 가계재무 구조와 거주 질의 지역 간 차이를 키웠고, 이러한 격차는 가족 및 주거생활주기와 생애주기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자산시장의 변동성으로 심화되리라 예상된다. 한편, 주택 및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의 공통된 영향 변수는 (경인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를 제외하고) 근린환경 만족도였고, 주거비의 결정 변인은 지역별로 달라 서울의 주택규모, 경인의 생활편의시설 만족도, 비특·광역시의 여성 가구주 가구로 혼재된 영향력을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주거 수준의 지역간 차이가 장기적으로 주거불균등, 나아가 지역 불균형으로 발전될 개연성이 크므로 이를 완화시킬 선제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아파트 시설물 유지관리가 입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artment Facility Maintenance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idents)

  • 김명희;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75-183
    • /
    • 2020
  • 이 연구는 아파트 시설물 유지관리 및 화재안전시설관리가 입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물 유지관리는 주거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설물의 고장이 많을수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관리주체 직원들은 반복적인 업무이기 때문에 입주자 민원 요청에 소홀할 때 주거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주체에서 결코 가볍게 지나치면 안 되는 사항으로 관리교육지원과 시설물 유지관리를 높여 입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높여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화재안전시설은 주거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재안전시설에 대한 작동불량이 많을수록, 소방용품의 교체가 많을수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아파트 단지 내에는 안전문화인식 수준이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력이 취약할수록 화재안전시설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안전을 중요함을 보여주어 관리주체에서는 화재안전시설에 대한 피해를 저감시켜 입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입주자의 화재안전의식 강화방안으로 소방계획서에 의한 화재진압과 피난 대처요령에 관한 입주자의 교육과 훈련을 반복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도심거주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천안시를 사례로 (Analysis of Content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the Downtown Residents, the Aged: Taking Cheonan City for example)

  • 임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4-122
    • /
    • 2015
  • 본 연구는 천안시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충남사회지표 자료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군집분석 등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고, 향후 도심을 고령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주거환경 항목을 우선적으로 정비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의 주거이동 의향은 전체 응답자의 6.9%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거이동 의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심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는 6.09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아 도심을 고령자 친화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과 고졸이상, 100만원 이상의 소득자, 1세대 가족형태를 가진 사람의 도심주거환경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주거환경 요소 중 문화와 교육요인, 근린 간의 교류와 신뢰, 교통사고 등의 만족도가 낮아 이를 개선하여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이웃 간의 신뢰와 교류가 확대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도심주거환경에 불만족하고 있는 여성들을 도심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서는 교통사고와 범죄 등 일상생활 속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여야 한다.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자 시각만족의 경험적 모형 (Residents' Satisfaction with Visual Appearance of the Housing Environment in Korean Multi-Family Housing)

  • 진양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27
    • /
    • 1994
  • 주거환경에서 거주자의 '시각만족(residents' satisfaction with visual appearance)은 더 큰 추상적 개념인 '주거만족'(residents' housing satisfaction)과의 밀접한 인과적 관련(Francescato et. al., 1979) 때문뿐만 아니라 인간 기본 욕구 중의 하나인 미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Chin, 1991)에서도 중요시 되어야 할 이론적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시각만족을 종속지표로 보고, 다양한 영향 가설변수들과의 인과 적 관련도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검증하고 있으며, 어떤 변수 가 어떤 이유(경로)로 또는 얼마만한 크기로 거주자의 시각만족에 영향을 주는 가가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주거단지로부터 다단 계표집 방법과 설문면담 방법을 통해 646명의 응답이 수거되었다. 분석의 첫 단계로써, 다수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의 가설 변수로 집약하기 위한 요 인분석(factor analysis)이 사용되었고, 요인 분석으로부터 추출된 변수들간 의 인과적 관련도를 검증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볼 때, 본 연구의 가설 변수 대부분이 최종 종속변 수인 거주자의 '시각만족'에 유의한 인과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구체적으로 '시각적 무질서'(visual disorder), '시각적 단조로움'(visual monotony), '단지 과밀감'(development crowding) 등이 부정적 영향을, '시 각적 매력'(visual attractiveness)과 '인근 자연녹지의 존재'(presence of nearby natural environment)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그 외에도 '옥외공간이용 편리'(outdoor or recreation convenience)와 ' 이웃만족'(satisfaction with neighbors), 그리고 '주거환경 유형'(building type, building arrangement type)등도 유의한 인과적 관련을 보이므로써, 기존 문헌들이 제시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변수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거주자 시각만족의 영향인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 변수의 하나인 '길찾기의 난이 정도'(difficulty of way-finding)와 종 속변수간에 유의한 관련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길찾기 변수가 '시각만 족'보다는 거주자의 '안전만족'(safety)과 관련된 변수일 가능성도 아울러 지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주거 계획 및 설계분야 그리고 추후 관 련 연구 분야를 위한 여러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 PDF

노인이 지각하는 개인-환경 적합성, 주거만족도,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ndividual-environmental Suitability Perceived by the Elderly, Residential Satisfaction,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ive Euphori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 최병소;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20-536
    • /
    • 2021
  • 선진국들은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정책판단의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민의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운용 중에 있다. 생활밀착형 SOC가 그 중 하나로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 중 주관적 행복감을 중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노인은 국가정책의 상대적 소외계층으로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질과 주거만족도, 행복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들이 지각하는 개인-환경 적합성이 주거만족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이 있는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주거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도시계획 수립 및 관련 정책 입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개인-환경 적합성의 편의성, 쾌적성, 공공복지는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주관적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치며, 주거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적성, 공공복지와 주관적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주거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소형주택 주거만족 요인 연구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고객특성그룹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of Small Sized Housing, by Demographic Customer Group)

  • 정연택;김재태;김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88-499
    • /
    • 2017
  • 본 연구는 소형주택의 주거만족요인을 인구통계특성 그룹별로 세분화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그룹은 전체 그룹과 그리고 남녀 성별로(2그룹), 연령대별로(3그룹), 기혼과 미혼이라는 혼인별로(2그룹)하여 총 8개 그룹으로 세분화하였고 주거만족요인은 사회적특성, 경제적특성, 접근성, 외부쾌적성, 물리적특성, 생활편리성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소형주택의 경제적특성 요인이 대부분의 그룹에서 주거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생활편리성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물리적 특성은 전체그룹에서 낮은 영향력을 보이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기타 주거만족요인들은 각각의 그룹별로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과 주거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 이은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97-2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 마을주민 480명을 대상으로 대면을 통한 1:1 설문 조사한 결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총 46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5.0으로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활용해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 의식은 삶의 질과 주거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만족도는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만족도는 공동체 의식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거만족도가 미치는 효과의 중요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장년층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임선미;이보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1호
    • /
    • pp.49-63
    • /
    • 2016
  • 삶의 질적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21세기에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삶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주거의 질에 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삶의 만족도는 주거만족이라고 하는 기본적 욕구가 충족된 생활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욕구의 충족으로 삶의 질은 높아질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사회관계를 맺으며 생활하고, 사회관계는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중장년층의 주거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실태를 알아보고 주거환경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료 수집을 위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500부를 배포하여 490부를 수거한 후 결측값이 없는 484부를 SPSS Win Ver. 21.0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장년층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층의 주거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에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중장년층의 보다 만족스러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과 우리나라 주거정책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Focusing on MZ Generation in the COVID-19 Period)

  • 황윤희;정재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MZ세대의 주거환경특성,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20년 한국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다. 주거환경특성 14개 항목을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MZ세대의 주거환경에서 14개 항목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의 Varimax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14개 항목 중 주차시설 항목은 유효성을 저해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그 결과 KMO는 0.925, Bartlett의 검사결과는 0.01 미만의 유의한 확률을 보여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특성의 잠재변수인 주변환경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접근용이성, 이용편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MZ세대와 같은 젊은 세대일수록 소비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상업시설 접근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거보유의식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MZ세대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주거이동에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주거보유의식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산업화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와 다른 주거환경특성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그 요인은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특성 항목들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개선하고 보완해야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양극화를 줄이기 위하여 세대의 환경과 특성에 맞는 주택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간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차이가 나타나는지 주거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n elderly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physical activity)

  • 구본미;채철균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781-800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주거환경만족도가 노년기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노인을 둘러싼 환경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본인이 직접 설문에 응답하고,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10,059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만족도와 우울의 관련성에 대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Baron & Kenny 접근법을 적용하여, 세 단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을 경험할 확률이 감소하였다. 둘째,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노인들이 집 밖에서 신체활동에 참여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주거환경만족도와 우울 간의 관계를 신체활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노인들의 신체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노인의 우울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와 신체활동이 노년기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설명하고,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개입 전략과 Aging In Place를 실행하기 위한 실천적 관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