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효과

검색결과 6,024건 처리시간 0.034초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기능적 갈등, 계층적 갈등이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Sociodemographic Functional Conflict, Hierarchic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 Care Centers)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9-227
    • /
    • 2012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기능적 갈등, 계층적 갈등과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은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26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조직갈등 질문지와 조직효과성 질문지가 척도로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신뢰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학력, 경력, 결혼여부 등의 변인이 조직갈등에 영향을 주었고, 계층적 갈등 변인이 기능적 갈등 변인보다 조직효과성에 더 부정적인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이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nager's Negative Feedback Rejection Inclination)

  • 송은정;김미정;고명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69-3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공정성이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20명이다. 본 연구결과 절차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체념적 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고, 상호작용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친사회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절차공정성이 체념적 침묵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와 상호작용공정성이 친사회적 침묵, 체념적 침묵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하였다. 따라서 조직공정성이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령화와 조직 혁신: 비선형성과 연령 다양성의 조절효과 (Aging Workforce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Curvilinear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Diversity)

  • 박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40-446
    • /
    • 2018
  • 본 논문은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효과와 연령 다양성이 이러한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지식경영 기반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 특유적 지식과 조직 내외부 사회적 연결망 측면에서 고령인력이 일정 정도 조직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반면, 고령인력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면 새로운 지식 창출관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조직 혁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효과가 보다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더하여,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적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연령 다양성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연령 다양성이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측한대로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은 역 U자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령 다양성은 이러한 역 U자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결과는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들을 보다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연구자율성 구성요인에 따른 조직효과성 연구 :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search Autonomy's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Researcher of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김종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61-1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연구자율성 구성요소를 새로운 관점에서 정의함과 동시에 그러한 구성요소들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해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에게 보장되어야 할 연구자율성 요소는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정책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연구자율성 수준을 구성 형태에 따라 개인 및 조직 수준으로, 연구자율성 유형을 본질적 및 비본질적 자율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질적 자율성이 비본질적 자율성에 비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자의 연구수행을 위한 간접적인 지원환경도 중요하지만 연구과제 선정, 자유로운 의견 교환, 연구방법론 선택, 연구결과 활용 등 연구 본연의 활동에 있어서 연구자들의 의사결정 및 재량권이 월등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 및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mployee's Innovative Performance: Climate for Creativity as a Mediator and Innovative Tendency as a Moderator)

  • 김영명;안효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2호
    • /
    • pp.247-285
    • /
    • 2014
  •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f Organization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or Collaboration)

  • 김성윤;이명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98-5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부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과에 미치는 관계 및 온라인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보교환과 대인관계는 정보공유에, 정보교환, 의사소통, 대인관계는 협업문화 및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협업성과요인은 모두 직무만족에, 업무성과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보교환과 대인관계는 모든 협업성과 요인을 통해, 의사소통은 협업문화, 업무성과 요인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보교환, 의사소통, 대인관계는 협업문화와 업무성과를 통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온라인협업도구는 대인관계와 정보공유, 상호협력과 협업문화, 정보교환과 업무성과, 업무성과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내내부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을 고려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를 구축 및 활용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군 간부들의 학습된 무력감, 우울, 조직몰입 및 직무열의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소명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of Learned Helplessness, Depress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ngagement: Focusing on Depression as a Mediator and Calling as a Moderator)

  • 유치성;박인조;손영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3호
    • /
    • pp.431-453
    • /
    • 2016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군 간부들의 학습된 무력감이 부정정서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우울이 군 간부들의 직무태도 변인인 조직몰입 및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목적은 우울과 조직몰입 관계 및 우울과 직무열의 관계에서의 소명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공군 비행단에서 근무하는 직업군인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습된 무력감은 우울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조직몰입과 직무열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우울은 조직몰입과 직무열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학습된 무력감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된 무력감과 직무열의 사이에서도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조직몰입 및 직무열의 사이에서 소명감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조직몰입과 직무열의 모두 우울과 소명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와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 -일 가치감 효과에 대한 결합 분석-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irness,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Cynic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bined Examination on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 강철희;주명관;이상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31-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은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주장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냉소주의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경쟁적으로 설정하여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가 과연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는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직무특수성의 핵심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일가치 감이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검증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사회복지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중 해당기관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을 통해 구축하였는데, 총 56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가설1지지), 일가치감과 조직몰입의 관계 역시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가설 2지지). 그러나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가 하나의 쟁점으로 부상하는 영리영역과 달리 사회복지기관은 조직공정성 그 자체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지니는 일가치감에 주도적으로 영향을 받는 독특한 관계구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융합시대를 위한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연구: 다문화역량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for Convergence Period: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Capabilities)

  • 김영옥;신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0-138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역량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목적으로 서울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보육교사 327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20.0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차별성과 다문화지식간의 관계, 국민정체성, 다문화차별성, 세계시민행동의지와 다문화인식간의 관계, 다문화지식과 조직적응성간의 관계, 다문화인식과 조직적응성, 조직생산성간의 관계, 국민정체성과 조직생산성간의 관계, 다문화차별성과 조직생산성간의 관계, 세계시민행동의지와의 관계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이중적평가간의 관계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인식만 조직적응성과 조직생산성에 영향을 미침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융합시대에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조직적응성, 조직생산성과 연계하여 다문화인식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보육교사들에게 필요하다.

혁신적 조직문화와 참여가 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novative Culture and Participation on Firm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 김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51-56
    • /
    • 2018
  • 본 논문은 조직의 혁신적 조직문화가 종업원 참여와 이직의도에 대해 미치는 효과와 최종적으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패널에 대한 6차년도(2015년) 조사로 수집된 411개 기업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의 분석에는 구조방정식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혁신문화는 조직 내 종업원의 참여를 높이고 이직의도는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문화는 조직성과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업원 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종업원의 이직의도는 줄어들며, 이직의도가 높아지면 조직차원의 성과에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