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활 의료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7초

등뼈가동운동과 결합한 트레드밀 보행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대조 예비연구 (Effect of the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the Thoracic Mobility Exercise on Gait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 염민우;박상영;김태우;최경욱;차용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3-10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combined with a thoracic mobility exercise on gait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In this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comparative study, a total of 20 patients at a rehabilitation hospital who had suffered a hemiplegic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readmill gait training combined with a thoracic mobility exercise, n = 11) or control group (treadmill gait training without the thoracic mobility exercise, n = 9).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herapy (5 × /week for 4 weeks).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20 min of treadmill gait training combined with 10 min of a thoracic mobility exercise (3 × / week for 4 weeks)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the former but not the latter. Gait and bala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4-week training.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10-m walking test (10 MWT), timed up-and-go (TUG) test, center of pressure (COP) velocity, and COP length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5). This group also showed a larger decrease in the 10 MWT and COP velocity than the control group (10 MWT, -3.02 sec vs. -1.68 sec, p < .05; COP velocity, -.07 mm/sec vs. .08 mm/sec, p < .05). CONCLUSION: Treadmill gait training, combined with the thoracic mobility exercise,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ait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It could als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walking speed and static balance than the treadmill gait training alone.

휠체어 동력 보조장치 개발 국제 동향 (International Trends in Wheelchair Power Assist Add-ons Development )

  • 이석민;최기원;문인혁;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43-150
    • /
    • 2023
  •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여가 활동에 참여가 장려되고있다. 그러나 여가활동 참여를 위해서는 여가가 행해지는 장소까지의 이동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위한 이동수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동 및 전동 휠체어는 여가활동을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수동 휠체어에 전동 휠체어의 기능을 접합하는 휠체어 동력보조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동력보조 장치 제품들의 FDA 승인 과정을 조사하고, 세계 각국에서 생산하는 측면부착형, 전방부착형, 하방부착형, 후방부착형 휠체어 동력보조 장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정보들은 국내 장애인 및 보조인들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제품을 선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장애인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동력 보조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많은 사용적합성 시험과 임상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노인 코호트 DB를 이용한 정신과 질환 동반 노인의 생활 습관과 의료비 지출 크기의 연관성 분석 연구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Medical Expenses of Older Adults With Mental Illness: Using Korea Older Adults' Cohort Database)

  • 정지인;배수영;유은영;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1호
    • /
    • pp.51-6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정신과 질환을 가진 노인의 생활 습관 행태와 의료비 지출 크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생활 습관의 긍정적 영향 및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관련한 중재의 근거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4, 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체 변수 중 생활 습관 행태와 연간 의료비 지출 크기를 추출하였다. 각각의 생활 습관 행태와 연간 의료비 지출 크기 사이의 연관성은 일반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기준에 따라 추출된 총 32,853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12,617명(38.40%)의 남성과 20,236명(61.60%)의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활 습관과 의료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흡연자의 경우 흡연자보다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낮았으며(estimate = -218,255원, p = .037), 일주일 중 30분 이상 걷는 일수가 증가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estimate = -58,843원, p < .0001). 반면, 일주일 중 술을 마시는 일수가 감소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estimate = 692,289원, p < .0001). 결론 : 본 연구는 정신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 생활 습관의 행태에 따른 의료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흡연과 운동은 의료비 지출과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걷기 운동을 많이 할수록, 흡연을 하지 않을수록 의료비 지출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 건강한 생활 습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정신과 질환을 가진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생활 습관 관리 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지역사회 노인의 욕구 및 인식차이 조사 : 울산광역시 중심으로 (The Need and Perception about Volunteer of Student from Department of Health Care for the Old in the Community : Focus on Ulsan City)

  • 홍은경;김경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1-80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 보건의료관련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그룹과 경험이 없는 노인 그룹에서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8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79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보통의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을 알아본 결과, 재활의학과, 순환기내과, 앓고 있는 질환이 없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노인의 인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이전에 보건의료관련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경험이 없는 그룹 모두에서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이전에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경험이 없는 그룹 사이에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에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노인이 참여하고 싶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은 재활의학과 서비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내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노인에게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봉사활동이 필요하다.

  • PDF

중년여성의 수중재활운동이 신체적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Underwater Rehabilitation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in Middle Aged Women)

  • 백순기;김도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60-267
    • /
    • 2019
  • 본 연구는 10주간의 수중재활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적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은 10주간 주 3 회 실시하였고,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정리운동, 본 운동을 포함하여 60분간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는 운동 전 검사를 통해 심박수를 기준으로 60-70%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측정 항목에 대한 기술 통계를 제시하고 그룹 간에 상호 작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way RGRM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적성(유연성,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및 혈중지질(TG, TC, HLD-C, LDL-C)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의 10주간의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성 수준은 높이고 혈중지질은 감소 및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내,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위험을 낮추는 효과적이며 융합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커뮤니티케어 제도 내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제안 : 작업과 활동 중심으로 (Proposed Application Design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Access in Community Care System: Occupation and Activity Based)

  • 배성환;장연식;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25-335
    • /
    • 2021
  • 최근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만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보건 및 재활 서비스의 광범위한 수요와 의료비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을 발전 및 강화하여 2019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클라이언트의 접근성 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의 일환으로써 작업과 활동 중심의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 서비스 접근성 확보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고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작업과 활동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고안하고 범주화를 위해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ICF)와 알렌진단모듈(ADM-2)이 사용되었으며,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OTPF, ICF와 ADM-2를 링킹하였다. 도출된 콘텐츠는 문헌고찰과 활동분석을 통해 영상으로 제작하였으며, YouTube API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직접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고,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Android Studio 3.5.2 for Windows 64-bit를 사용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고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 서비스 제공자의 의견과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실용성에 대해 입증하고 이를 보완한다면, 지역사회 내 작업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클라이언트들의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할 것이다.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ion Tool for Mental Disorders)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4호
    • /
    • pp.41-5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평가도구를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개발연도, 평가방식, 문항 수, 척도,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평가 항목을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각 평가도구의 평가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다. 결과 : 검색어를 통한 Pubmed 검색 시 161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 방법에 따라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u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의 7개 평가도구가 선별되었다. 모든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직무와 관련된 기능평가를 포함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목적에 따라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업 기술은 신체, 인지, 사회기술, 대처능력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ICT 융합 평가도구의 개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여부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Medicaid Elderly)

  • 정운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46-6755
    • /
    • 2014
  • 본 논문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장기요양 1등급 판정을 받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5,8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2007-2009년 총 진료비 변화량을 설명하는 $R^2$은 22.6%이었으며,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8,297,329원 증가하였다(${\beta}=.29$, p< .001). 입원일 변화량의 $R^2$은 22.4%이었으며,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119.013일 증가하였다(${\beta}=.33$, p< .001). 총 진료비와 입원일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 수발자 여부, 2009년 일상생활수행능력, 간호처치, 재활기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 서비스 미이용자의 의료 이용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미이용자에 대한 적정 의료와 요양서비스 이용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로 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신진영;박혜윤;이정권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2호
    • /
    • pp.81-92
    • /
    • 2017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비가역적, 점진적 기도 폐쇄가 특징인 주요 사망 원인중의 하나이다. 말기 폐쇄성 폐질환 환자는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적 문제로 인해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완화의료의 목적은 증상 조절, 운동 능력 및 삶의 질 향상이며, 아울러 급성 악화 빈도를 줄이고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진행 과정 때문에 말기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다. 호흡곤란 정도, 폐기능, 혈액학적 임상 지표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적용시점을 논의해야 한다. 질환의 특성상 진단 후 초기에는 완치 목적의 치료가 중심이 되어 완화의료가 이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적용되다가, 완치 목적의 치료를 위해 입 퇴원을 반복하거나 치료의 반응이 낮고 나쁜 예후가 예상될 때 완화의료 비중이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호흡재활을 적용하고, 환자의 의사결정을 존중하여 증상 악화 이전에 미리 대책을 마련하고 앞으로의 치료 목표를 논의하기 위한 완화의료 팀을 구성하고, 국내 현실에 맞는 진료 연계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도가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일차 의료 및 암환자 대상의 완화의료 전문 팀과의 협업이 중요하며,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이용실태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ti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 Rural Area)

  • 최경진;김건엽;이덕희;한창현;최세묵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4호
    • /
    • pp.227-237
    • /
    • 2011
  •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일개 농촌지역 재가장애인(3-6급 뇌 병변 지체장애) 101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여자가 65.3%였고, 70세 이상이 53.5%로 가장 많았고, 초등졸 이하가 72.3%이었다. 주관적 경제상태는 보통이상이 56.4%, 의료보장형태는 94.1%가 건강보험이었다. 대상자의 장애 및 건강관련 특성으로는 지체장애가 81.2%, 장애등급별은 3-4급이 41.6%로 가장 많았고,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가 74.3%였다.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장애정도가 '심각하다'고 한 경우가 69.3%였다. 재가장애인의 70.3%는 퇴원 후 현재 재활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치료의 효과성과 주변 서비스 기관의 부재, 경제적인 측면 등을 이유로 들었다. 재활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기관은 병의원, 재활의학과 병의원, 한의원 보건소 순으로 많았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재활서비스 내용에 대해 19.7%가 만족한다고 하였고, 불만족의 이유로는 거리가 멀어서가 가장 많았다. 현재 재활서비스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는 성별, 직업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장애발생 원인이었다. 즉, 여자인 경우, 직업을 가진 경우, 경제상태가 좋은 경우, 장애발생이 후천적인 경우 재활서비스 이용이 높았다.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70.3%가 현재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포괄성, 접근성, 지속성, 만족도 등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가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을 위한 양적 및 질적으로 충분한 재활서비스 제공이 요구되며, 미이용 집단 및 미충족 집단을 우선 사업대상자로 선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