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주노인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1초

김천지역 노인들의 음주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s drinking in Gimcheon)

  • 이예종;이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90-392
    • /
    • 2009
  • 본 논문은 김천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남녀 노인의 음주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남자 노인이 여자 노인보다 음주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 노인은 10대부터 음주 경험이 있는 초기시작음주유형인 반면, 여자 노인은 나이가 들면서 음주를 경험하게 되는 후기시작음주 유형으로 나타났다. 음주를 하는 노인 중 40.6%는 정상음주를 하고 있었으며, 24.7%는 상습적 과음자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 노인은 '인간관계 유지'를 위해 음주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때 '기분이 좋아지거나 어려운 일이 해결 된 것 같다'라고 응답하였다. 여자 노인은 남자 노인과 다르게 '기분전환이나 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로 음주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때 '우울해지거나 하소연하고 싶어진다'는 또 다른 문제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Activity on Drinking in Older Adults)

  • 임진섭;김다빈;유정호;정호영;박재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105-117
    • /
    • 2024
  • 본 연구는 65세 이상 음주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활동과 음주량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사회활동이 음주노인의 음주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지나면서 음주노인의 사회활동과 음주량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활동과 음주량의 변화율에 대한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개인차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가를 이후 조건적 모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조건적 모형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회활동의 경우 초기 사회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여자보다는 남자노인이 초기 음주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주량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여자노인보다는 남자노인이,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가, 장애가 있는 노인보다는 없는 노인이 이후 음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주노인의 사회활동을 촉진하고 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 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 및 비빈곤노인 집단에 대한 잠재평균분석의 적용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f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A Latent Means Analysis Application between Poor and Non-poor Elderly)

  • 권현수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21-1538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문제음주와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빈곤노인집단과 비빈곤노인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다집단분석 및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2007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 조사자료 중 만 65세이상 노인 3,5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빈곤노인은 2,471명, 비빈곤노인은 1,118명이었다. 잠재평균분석결과, 빈곤노인이 비빈곤노인에 비해 문제음주성향과 우울감이 더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집단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을 통해 각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집단 차이를 통해 살펴보니 문제음주와 우울의 정적인 관계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나타났고, 우울과 삶의 만족도간의 부적인 관계는 빈곤노인에게서만, 문제음주와 자존감과의 부적인 관계는 비빈곤노인에게서만 나타났다. 노인의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빈곤노인집단에게서만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평균검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던 노인의 문제음주 변인이 오차오류를 통제한 잠재평균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문제음주 경향이 더 높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한 문제음주 대책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 문제음주에 대한 접근에서도 예방과 치료에 있어 우울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심리정서적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노인의 음주 및 흡연 행태와 치주질환의 융합적 관련성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and periodontal disease in elderly Koreans)

  • 강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95-301
    • /
    • 2019
  • 본 연구는 2013-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한국노인의 음주 및 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비음주, 비흡연군에 비해 음주, 흡연군(odds ratio[OR] 1.50; 95% confidence interval[CI], 1.00-2.24)에서 치주질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치주질환 교차비는 음주와 흡연을 전혀 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음주 및 흡연은 치주질환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유지를 위해 절주와 금연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의 음주문제 발달궤적의 예측요인 : 다수준 성장곡선 모형의 적용 (Trajectories of Drinking problems of the elderly: A Longitudinal Multi-level Growth Curve Model for Change)

  • 안준희;장수미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89-411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음주문제 발달궤적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 조사에서 3차 조사까지에 해당하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에서 노인 연령에 해당하는 만 65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다수준 성장곡선 모델을 적용하여, 음주문제의 발달 궤적과 음주문제의 초기 값(intercept) 및 변화율(slope)의 예측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적 다수준 성장곡선 모델을 수행한 결과, 노인의 음주문제는 첫 번째 측정시기인 2006년에서 세 번째 측정시기인 2008년까지 평균적으로 매년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건형 다수준 성장곡선 모델을 수행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일수록, 결혼한 상태일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빈곤층일수록, 스스로를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사회적 관계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음주문제의 초기 값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적 관계 만족도는 음주문제 변화율에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따라 노인의 음주문제 변화추이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지역사회의 광범위한 사회복지현장에서 2차 예방차원으로 노인의 음주문제를 다룰 필요성이 있으며, 심리 사회적 위험요인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 문제음주자의 회복을 위해서 건강한 사회적 지지망의 유지 및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개입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노년기 음주자의 치아발거 필요와 관련된 요인 (The Factors Accociated with Needs of Tooth Extraction in Elderly Drinkers)

  • 이지연;강은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는 2013-2015년도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발거가 필요한 치아를 보유한 음주노인 1,865명을 대상으로 했다. 치아발거필요 관련요인을 결과변수로 한 분석결과, 음주노인의 남성에서, 소득이 더 낮을수록, 흡연자에서, 본인인지구강건강상태 나쁨에서, 구강위생용품 사용안함에서 치아를 발거해야 할 위험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주노인의 치아발거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여 치아상실을 조기에 예방하고 잔존치아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서는 음주문화를 개선하고 현재가 아닌 이전 생애주기에서 음주자의 구강건강관리 전략을 모색하고, 국가차원의 통합적 구강보건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우울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derly drinker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n the change in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 박규희;허원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09-519
    • /
    • 2016
  • 본 연구는 음주노인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주관적 건강인식의 변화가 우울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2006), 2차(2008), 3차(2010), 4차(2012) 자료를 모두 통합하여 균형패널를 구축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자는 네 시점 모두에서 응답한 음주노인 총 5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인식의 초기값이 우울수준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이 부적(-)인 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한 주관적 건강인식 초기값이 우울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주관적 건강인식이 높은 음주노인은 우울 수준 변화율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주관적 건강인식 변화율이 우울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주관적 건강인식 변화율이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건강인식의 증가속도가 빨라지면 음주노인의 우울은 증가속도가 느려진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을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노인의 음주예방과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울증과 자살을 예방하는 실효성 있는 정책과 시행이 요구된다.

노인의 우울과 가족관계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연구 (Impact of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on Problem Drinking among Older Adults)

  • 윤숙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17
    • /
    • 2016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음주문제의 정도와 우울과 가족관계 요인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의 2015년에 발표된 2014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는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와 제주도를 비롯한 9개도의 가구를 대상으로 연 1회 실시하는 전국적인 자료이다. 연구대상의 음주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의 AUDIT(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음주문제의 차이를 교차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은 음주문제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면, 나이가 어릴수록 음주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가족관계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우울이 가족관계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건강한 노후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은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으로 노인의 건강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예방 차원의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노인의 문제음주 DB 정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lderly problem drinking DB Information on suicidal though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 이선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97-1204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8차 데이타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문제음주 수준이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문제음주 수준은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은 문제음주수준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음주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회귀계수의 부호를 통하여 문제음주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부(-)적 관계의 가능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문제음주에 대한 대책 마련과 함께 노인자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일부 60~64세 농촌노인에서 음주양상과 혈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Blood Pressure in Some Rural Elderly Aged 60~64)

  • 이무식;배장호;박기락;이충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1-17
    • /
    • 2001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대구광역시 달성군 보건소와 협동을 수행한 달성군 노인추적 조사(Dalsung Elderly Follow-up Study)의 일부 결과로 달성군내 거주하는 반 60~64세 남자노인 416명(44.1%), 여자노인 528명(55.9%)으로 총 944명을 대상으로 농촌 사회의 노인에서의 음주 양상과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고혈압을 비롯한 심혈관계질환의 선행요인이 되는 음주의 건강 유해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하는 것으로 알콜소비양상과 혈압과의 관련성에서 음주의 양상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한 것이다. 조사는 보건진료소의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 자격취득 공무원이 직접 면담으로 일대일 면담형식으로 1996년 4월부터 9월 사이에 조사되었다. 분석결과를 식사 전 공복에 해장술을 먹는 사람의 분포, 일일 평균 음주량, 월 음주빈도, 1회 음주시 음주량, 선호하는 술의 종류, 음주기간 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연령별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의 평균치를 살펴보면, 성별로 혈압의 차이는 없었다. 각 연령대별로 성별로 혈압을 64세에서, 확장기 혈압은 60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64세에서, 확장기 혈압은 60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같은 성에서 연령군별로 비료를 하였을 때, 남자에서는 수축기 혈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에서는 수축기 혈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음주자에서 음주양상에 따른 일평균 음주량 분포를 살펴보면 먼저 아침식사전 음주자 즉, 공복시 해장술 유무와 월 음주빈도, 일회음주량의 분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선호하는 술의 종류, 음주기간 간에 일평균 음주량 분포도 유익한 차이가 있었다. 음주 행태에 따른 수축기 혈압 및 다른 공변수를 통제한 조정된 수축기 혈압을 비교하면 공변수 조정 선에서는 음주유무, 아침식사전 음주유무, 선호하는 음주의 종류,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공변수 조정후에는 음주유무, 아침식사전 음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음주 행태에 따른 공변수 조정전후 확장기 혈압을 살펴보면 조정전에서는 선호하는 음주 종류에서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p<0.05), 공변수를 조정한 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 수축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유의한 변수로 선택된 것은 연령, 교육수준 및 순환기계질환을 의미하는 과거 병력 등이었으며, 확장기 혈압에서는 교육수준, 체질량지수, 과거병력 등이었다. 모형 2에서 수축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하였을때 과거병력이 유의한 기여변수로 선택되었고, 확장기 혈압에서는 체질량지수와 과거병력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어 음주양상 변수는 선택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일일 음주량과 혈압과의 정의 관련성이 본 연구에서는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지금까지 연구된 음주와 고혈압의 보건 및 임상적 관련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결과를 보임으로 음주양상이 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를 더욱 모호하게 한다. 따라서 추후 이러한 소견은 재검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음주로 인한 혈압의 변화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고, 음주양상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들을 도입한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