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 과학교육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3초

게이미피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수업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mification-based Classes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 김경미;조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37-4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기반으로 한 수업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D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가 지원한 교수학습공동체 활동의 일환으로 2개 학과, 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수업은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수업은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수업의 적용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살펴본 결과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수업은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학습몰입 향상에 적합한 교수학습법으로 적용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업부진 전문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rogram for Underachieving Junior College Students)

  • 조채영;김경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95-40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부진 전문대학생을 위한 집중 지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자기학습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D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가 학사경고자 및 성적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원한 JUMP-UP 프로그램에 참여한 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JUMP-UP 프로그램은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JUMP-UP 프로그램은 전문대학생의 자기학습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JUMP-UP 프로그램 참여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살펴본 결과 JUMP-UP 프로그램은 참여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학습효능감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JUMP-UP 프로그램과 같은 집중 지원 프로그램은 학업부진을 겪는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학습효능감 향상에 적합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품질을 통한 무용교육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Dance Education through the Qua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

  • 이숙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1-62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품질이 무용교육의 서비스 가치와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재이용의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층화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여 총 350부를 회수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3단계의 매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과 감정적 가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시설 및 환경서비스가 제일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과 기능적 가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시설 및 환경서비스가 제일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과 사회적 가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시설 및 환경서비스가 제일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가치의 관계에서 재이용의도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에서 내용 및 강사서비스와 서비스가치의 관계에서 재이용의도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 및 환경서비스와 서비스 가치의 관계에서 재이용의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서비스 품질을 기반으로 무용교육이 지역과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유아교육, 청소년 교육, 사회복지, 특수교육 분야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방법론 제공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평생교육 등에 활용 가능하도록 문화정책에서의 문화예술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 서로 연계성을 가지는 지원정책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직무교육실태에 관한 단면적 조사연구 (A Cross-Sectional Study on Job Training Course of the Dental Hygienists at the Public Health (sub)Centers)

  • 김승희;김순복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3-89
    • /
    • 2009
  • 본 연구는 구강보건관련 직무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직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4년 4월부터 5월까지 전국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1,255명의 치과위생사 중 층화무작위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380명의 대상자들에게 2003년도 구강보건사업관련 직무교육실태 및 교육과정내용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보건(지)소의 치과위생사 집단의 일반적 특성에서 보건지소 근무치과위생사가 61.1%이었고, 보건소 근무 치과위생사가 35.3%이었으며, 연령은 36~40세가 6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경력은 11~15년이 48.4%, 16년 이상이 35.7%, 10년 이하가 15.9%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높은 직급은 의료기사 7급이 85.5%로 나타났다. 2. 2003년 구강보건관련 직무교육 수료자율은 28.9%, 미수료자율은 71.1%이었고 '직무교육이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었다'가 65.6%, '보통이다'가 34.4%, '도움이 되지 않았다'가 0%로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의견이 높았다. 또한 교육받지 않은 이유로는 '행정상 시간상 이유로 신청하지 않았다'가 44.6%, '신청을 하여도 선정이 안 되었다'가 29.3%순이었으며, 치과위생사업무가 아닌 타업무에 종사하여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도 13.4%로 나타났다. 3. 직무교육의 교육과정내용별 필요에 대한 인식도는 초등학교 예방진료가 4.42, 구강보건교육이 4.41, 유아구강보건사업과 노인구강보건사업이 4.04, 장애인구강보건사업이 3.92, 구강보건기획 평가가 3.85, 구강보건진단이 3.69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무기간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 > 0.05), 근무지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는 구강보건 기획 평가와 구강보건진단에서 보건소와 보건지소 근무치과위생사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p < 0.001). 4. 직무교육의 적당한 시기로는 전반기가 39.8%, 연중 무관하다가 34.4%, 중반기가 12.2% 로 나타났고, 전문치위생사 양성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79.2%로 나타났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선택동기, 교육신념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관련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 유귀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3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he sample included 308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odified Orientation to Teach Survey (MOTS), Teaching-belief type scal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onveys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hile nature of work had the weakest. For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aturationism and interactionism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hile behaviorism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Behavioris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for challenge,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2) Analysis of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belief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dicate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had a strong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uccessful performa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not only requires receiving institutionalized education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while work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전국 도서관 사서들이 밝히는 이용자의 동서경향

  • 김연수
    • 출판저널
    • /
    • 통권244호
    • /
    • pp.14-15
    • /
    • 1998
  • 도서관을 찾는 사람은 늘고 있으나, 읽는 책은 베스트셀러에 한정됐다. <출판저널>이 '독서의 달'을 맞아 전국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독서경향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교육환경의 개선과 IMF여파로 이용자 수는 증가했으나, 도서구입예산과 독서 프로그램 부족으로 도서관에서 이뤄지는 독서는 문학 등 특정 분야에 편중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학생들의 대출 건수는 꾸준히 늘어 강화군립도서관만 하더라도 전체 대출의 55%가 학생이다. 다른 도서관도 사정은 같아 학생들이 하교하는 오후 시간대에 가장 이용률이 높다. 최근에는 실직인구가 늘면서 성인 남자의 이용률도 높아졌다. 오미순 사서(해운대도서관)는 "IMF 여파로 취업.창업 관련서의 이용률이 늘고 있으며 그 이용자 대부분은 성인"이라고 밝혔고 성은정 사서(부여도서관) 역시 "IMF사태 이후, 성인 남자들의 이용률이 높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문제는 도서관이 보유한 책이 베스트셀러에 국한돼 다양한 독서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 조사결과, 이용자들은 <아리랑>, <하늘이여 땅이여>, <남자의 향기>, <토지> 등을 많이 찾는 것으로 집계됐다. 심지어는 로맨스소설이나 무협소설이 청소년들의 읽을거리로 제공되는 실정. 사정은 특수도서관도 마찬가지다. 어린이도서관의 경우, 어린이.성인 모두 문학류를 많이 찾고 점자도서관의 경우, 전체대출 중 80%가 소설류다. 구본일 사서(강화도서관)는 "예산이 부족해 이용자들이 많이 찾는 베스트셀러를 중심으로 구입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고 "다양한 책을 갖출 수 있도록 도서구입비 확충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 알맞은 독서 프로그램이 없는 점도 이용자들의 베스트셀러 편중현상에 한몫을 담당했다. 진재호 사서(광주도서관)는 "과거보다 독서생활화가 고조됐지만, 양서를 읽는 독서문화의 부족"을, 김선연 사서(어린이도서관)는 "유아시절부터 성인까지 자연스레 고전을 읽게 하는 제도적 장치의 확충"을 지적했다. 한편 월평균 대출권수는 대도시 지역의 경우 11,000-45,000권, 그 외 지역은 1,600-6,000권, 특수도서관은 어린이도서관이 55,000권, 전화나 우편으로 대출하는 점자도서관이 650권이다. 관내열람만 허용되는 사회과학도서관은 월평균 이용자가 7,676명으로 대학생.대학원생.교수 등이 전체의 68%를 차지한다.

  • PDF

저소득.일반가정 유아의 학습관련 기술과 초기학습능력: 어머니 교육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Learning-related Skills and Academic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Mothers' Involvement)

  • 김영희;박지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5-15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kills and the maternal involvement on academic abilities. The sample consisted of 310 children from 7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teachers and the mothers of surveyed children. The instrument included the Korean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 for 4 to 6-year olds and Preschool Learning Behavior Scale(McDermott et al 2000) and the questionnaire on mother's involvement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family income level, verbal comprehension and numerical abilit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learning-related skills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learning-related skills and the mothers' involvement on verbal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in the low-income families was observed.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 was seen in terms of learning-related skills and the maternal involvement on verbal comprehension and numer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in the high-income famil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earning-related skills and their mothers' involvement during the preschool period for the low-income family in improving the early academic achievement.

멘토의 자격요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in Early-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of Mentor Qualifications for Mentoring)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7-187
    • /
    • 2012
  • The research aimed at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affect their awareness on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program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By fulfill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roper qualifications for a mentor of outstanding abilities, which would be desired by teachers in infa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while preliminary data on the mentor teacher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a mentor is expected to be provid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319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as a recognized survey on how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survey consisted of 22 questions. The researcher personally designed the survey based on results generated from preliminary research.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selected data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layout dispersion. In addition, a post-analysis on the one-way layout dispersion was conducted via the Scheffe posteriori te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were differently recognized by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bot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가정환경 변인과 학업성취에 관한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사교육 실태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Focused on Home Environment Factors and Maternal Belief abou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 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9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ribut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home environmental factors(finan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nd maternal belief abou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child's effort, child's ability, teacher's instruction, and maternal teaching). One hundred and seventy three mothers whose preschool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Kinlaw et al.(2001)'s Importance of Effort/Abilit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belief about th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Stipek et al.(1992)'s Activities Sub-scales was revised to measure a social capital, that is the mother's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providing to their preschool child. Educational level was utilized as human capital and monthly income was considered as financial capital. Also, using open ended questions,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numbers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their child was presently attending, and when he or she began to atte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general, the mothers provided informal activities to their preschool child more than formal activities. Also, they believed the teacher's instruc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hild's ability the least important in their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predicted by mothers' formal activities and their belief on their child's ability. The age of star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explained by mothers' formal activities and their educational level.

부모 인식을 통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 및 수학 관련 놀잇감 활용 실태 조사 연구 (A Survey Study of Parents' Perceptions on Status of Parent-Child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at home)

  • 이현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45-75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atus of mathematical interactions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at hom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he framework of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 domains. 276 parents(4-5 year old children) in J Provinc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home income, the mother's work conditions and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etween parent and child mathematical interaction at home showed a 2.84 score in average and frequency of mathematical interaction expressed in the domains of 'Understanding of regularity', 'Measurement', 'Growing number sense', 'Space and shapes', 'Organizing data and showing results'. The domains of 'Growing number sense', 'space and shapes', and 'measur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y mother's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the more frequent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Second, the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showed an average score of 1.18, which means mathematical materials were practically not used at home. Also, the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showed a slight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measures against the levels of home income and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child mathematical interactions, and the possession and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when measures against by level of home income and the mother's work condit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 interaction to apply at home and mathematics curriculum to be connected early i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home should be developed for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