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어민 영어수업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on the Definition Factors of the Learner)

  • 이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72-583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교육환경에서 가장 이상적이고 적합한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 모형과 효과적인 협동수업을 구성하기 위한 정의적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총 1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한달 간 설문조사와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t/F검증 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 인식 중 수업관련 기술, 과제지 향성, 교수-학습전략, 학습동기유발 순으로 정의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수업형태에 따라,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과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라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원하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성별/수업형태에 따라,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현재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 정의적 요인은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원하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른 학자 정의적 요인의 차이도 발생하지 않았다.

설계기반연구방법에 기반한 초등학교 원어민 원격화상수업 설계 원리 (Design Principles for Videoconferencing Using an English Native Speaker Based on Design-Based Research)

  • 오영범;이상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85-19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 영어수업 설계 원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설계기반연구(Design-Based Research)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3개월 동안, 수업동영상을 촬영하였고 수업이 끝난 후에는 한국교사와 원어민 교사로부터 성찰 일지를 수집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원어민 활용 원격화상 영어수업의 과정을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수업이 진행되는 패턴, 오류 빈도, 상호작용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실의 한국 교사와 학습자, 원격지의 원어민 교사를 화상 시스템으로 이어주는 수업은 복잡하기 때문에 수업을 설계할 때 많은 부분들을 고려해야 하다.

  • PDF

한국에 근무하는 영어 원어민 교사에 대한 국내 영어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The Perceptions of Korean English Teachers toward Native English Teachers)

  • 강문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615-623
    • /
    • 2013
  • 세계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의 일환으로 공교육에서의 원어민 교사 수업의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질 높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 원어민 수업으로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이 논문에서는 영어교육에서의 원어민영어교사 활용 종합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 연구에서 한국인 협력교사들의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인식은 영어 원어민 교사의 투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원격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English Class Using Videoconferencing)

  • 오영범;이창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317-3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 원격화상 영어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학년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체 제작한 수업만족도 검사도구와 김강식(2003)의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를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수업만족도는 3학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6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분석 결과, 사전 사후 비교 결과는 전체적으로 사후 검사가 낮게 나타났는데, 3학년의 경우에는 사후 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학년별 비교에서는 3학년이 가장 높았고, 6학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격화상시스템과 원어민을 새롭게 접하는 3학년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대학 신입생의 영어 학습 감정에 대한 융합적 연구: 수준별, 팀티칭, 의사소통활동유형에 따른 차이 (A Convergency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towards English: Difference depending on level, team-teaching & communicative activities)

  • 박옥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69-3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들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 감정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수준별로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의 팀티칭으로 진행되는 의사소통 활동 위주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신입생들의 학습감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은 B대학 신입생 327명을 대상으로 학습감정검사지(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 AEQ)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영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상급반 학생이 초급반과 중급반 학생들보다 걱정과 지루함을 더 많이 느꼈다(P < .05). 둘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원어민 교수의 수업이 한국인 교수의 수업 보다 더 재미있고, 더 만족스럽고, 덜 지루하다는 결과를 보였다(P < .001). 셋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의사소통 활동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게임이 제일 재미있고 만족스러운 반면, 발표하기는 제일 걱정되고 지루하다는 결과를 보였다(P < .001).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 개선을 위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ESTs' and NNESTs' Class Management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of an English Camp)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2-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진행한 영어캠프에서의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차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대학교 캠프에 참가한 남 녀 대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캠프 만족도, 두 교수들에 대한 일반적 교수 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 등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진행한 캠프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캠프에 참가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한 캠프에 대해 만족하였지만,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교수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먼저,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수업을 흥미롭게 진행했다고 인식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체계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즉흥적으로 수업을 진행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교재에 의존하며 더 많은 부교재를 제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비원어민 교수들이 원어민 교수에 비해 스피킹과 문법에 더 초점을 맞추어서 수업을 진행하였고, 과제, 시험,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고,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더 원활하게 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육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원어민화상수업 유형과 학습자 인지양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deo-conference Classes by Native Speaking Teachers and Cognitive Style on Self-efficacy)

  • 정민수;부재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291-303
    • /
    • 2011
  • 본 연구는 원어민화상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라 전통적 원어민협력수업에 비해 자기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보았다. 먼저, 개별학습형 원어민화상수업과 교실학습형 원어민화상수업은 전통학습형 원어민협력수업에 비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향상은 인지양식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원어민화상수업 유형별 효과는 학습자 인지양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중립형 학습자에게는 개별학습형 원어민화상수업 방법이, 장의존형 학습자에게는 교실학습형 원어민화상수업 방법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원어민화상수업에 있어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지양식에 따른 수업방법을 다르게 적용해야 효과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멀티미디어 응용을 통한 비원어민 영어 교사의 수업 개선 (Non-Native Teachers' English Language Teaching Improvement through Multimedia Applications)

  • 이일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1-168
    • /
    • 2010
  • 과거에는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 언어 학습자들이 문법구조에 대한 지식을 익히는데 학습 초점을 두었다. 문법구조 설명에 학습 초점을 맞춘 EFL (외국어 학습 교실) 수업 속 훈련된 강사들은 EFL 수업에서 선호하는 강사들로 보여졌다. 하지만, 학습 초점이 말하기 능력으로 영향력이 더하여지므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현제 '정확성' 보단 가능하면 '유창성'에 더 많은 관심을 보여 유창하게 영어 말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ELT (영어수업 교실) 상황에서 비원어민 영어 학습자들이 원어민과 비원어민 영어교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또한,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조사하고, 멀티미디어 응용을 통해 비원어민 영어 교사의 말하기 듣기 수업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리듬 및 유창성 지수와 한국 화자의 영어 읽기 발화 청취 평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rhythm and fluency indices and listeners' ratings of Korean speakers' English paragraph reading)

  • 정현성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25-33
    • /
    • 2022
  • 이 논문은 리듬 및 유창성 지수와 한국 대학생이 읽은 영어 발화의 리듬 및 유창성 청취 평가가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17명이 'The North Wind and the Sun' 문단을 읽고 영어 발음 수업 사전, 사후 두 차례에 걸쳐 녹음한 것을, 대학원에 재학 중인 현직 영어 교사 및 예비 영어 교사 7명이 리듬 및 유창성에 대한 청취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 선행 연구에서 언급된 리듬 및 유창성 지수 중 14개 지수를 사용해 각 발화 자료의 지수를 추출하여 지수와 청취 평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지수를 분석한 결과 %V, VarcoV, nPVIV에서는 선행 연구의 영어 원어민 지수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ΔV, ΔC, VarcoC에서는 원어민보다 높았으며, 발화 속도는 원어민보다 느렸다. 한국 대학생들이 일부 리듬 지수에서는 영어 원어민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리듬 및 유창성 지수를 사용하여 리듬 평가 점수와 유창성 평가 점수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모델을 탐색한 결과, 리듬 및 유창성 평가 모두에서 유창성 지수인 휴지 비율, 조음 속도, 발화 속도 등이 리듬 지수들보다 평가 점수를 예측하는데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컨텐츠 및 화상회의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영어 능력 향상 효과 분석 (Analysis of English Ability Improvement Effect through a Hybrid Model using Online Contents and Video Conferencing)

  • 송재신;정성무;이재무;김자미;차현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1-40
    • /
    • 2009
  • 영어 능력 향상에 있어 원어민 교사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농어촌의 학교들은 생활문화 환경의 열악으로 원어민 교사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화상 시스템으로 원어민 교사에 의한 수업을 지원하고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준별 개별화 교육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중도시, 농어촌 소도시의 3개 집단에서 초 중등 2개 학교씩 6개 학교의 15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하이브리드 모델의 적용 전후를 T-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는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영어 교육에 적용 후 분석 결과 이해력은 상위 집단이 쓰기 능력은 하위 집단이 높게 향상되었다. 전체 영어 능력 향상 정도는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