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on the Definition Factors of the Learner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06.04
  • Accepted : 2019.08.12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at the most ideal and appropriate native English speakers-Korean English teacher cooperative class model and the defining factors for organizing effective cooperative classes in the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of our country. To achieve this goal, a total of 165 sixth graders of fi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ubject to the study. For about a month from April 1 to April 30, 2019,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including multiple retur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 analysis, and t/F verification.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recognition of cooperative class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it affected the defining factors in the order of class-related skills, task orientati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Second, based on learner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operative class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was verified, and the perception of native-Korean English teachers' cooperative class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and the type of English cooperative classes currently participating, but the recognition of native-Korean English-Korean English cooperative class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not confirmed. Third,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factors of the learner was verifi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occurred, but the learner-defined factors according to the current type of English cooperative class did not occur.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factors of scholars according to the type of English cooperative classes desir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교육환경에서 가장 이상적이고 적합한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 모형과 효과적인 협동수업을 구성하기 위한 정의적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총 1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한달 간 설문조사와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t/F검증 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 인식 중 수업관련 기술, 과제지 향성, 교수-학습전략, 학습동기유발 순으로 정의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수업형태에 따라,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과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라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원하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성별/수업형태에 따라,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현재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 정의적 요인은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원하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른 학자 정의적 요인의 차이도 발생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철,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협력수업 운영 및 교사수업행동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20-24, 2016.
  2. 교과부, 영어교육활성화 5개년 종합대책, 2015.
  3. 박정혜, 협동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경험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 오숙영, 원어민 교사와의 영어 협동수업 모형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5. 김보경, 협동학습기반 진로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교수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 권현주, "영어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효과적인협력교수 학습방안," 영어어문교육, 제2권, 제2호, pp.31-38, 2017.
  7. 김은하, "초등학교 영어수업의 팀티칭 파트너쉽 사례연구," 초등영어교육, 제3권, 제2호, pp.60-67, 2016.
  8. 정길정, "원어민 영어교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초, 중고등학교 영어협동수업 현황조사 연구," 영어교육, 제54권, 제2호, pp.201-227, 2016.
  9. 차정애, "원어민 교수와의 공동협력수업을 통한 실용영어교육,"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제2권, 제2호, pp.29-37, 2018.
  10. 박정숙, "원어민 영어교사 팀티칭의 교육효과," 초등영어교육, 제2권, 제5호, pp.49-57, 2017.
  11. M. Jeon, "English immersion and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Vol.33, No.4, pp.395-408, 2016. https://doi.org/10.1080/01434632.2012.661438
  12. S. Lee,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end of peace: The US-UN coalition and the dynamics of war-making in Korea, 1953-6,"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18, No.2, pp.183-224, 2016. https://doi.org/10.1353/jks.2013.0018
  13. L. Moussu and E. Llurda, "Non-native English-speaking English language teachers: History and research," Language Teaching, Vol.41, No.3, pp.315-348, 2018. https://doi.org/10.1017/s0261444808005028
  14. P. Medgyes, "Nonnative speaker English teachers: Research, pedagogy, and professional growth," ELT Journal, Vol.65, No.2, pp.190-192, 2016. https://doi.org/10.1093/elt/ccr009
  15. Y. C. Sun, "EFL learners' beliefs about native and non-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Perceived strengths, weaknesses, and preferences,"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Vol.35, No.6, pp.563-579, 2017. https://doi.org/10.1080/01434632.2014.889141
  16. 김남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과 원어민 교사와의 협동수업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조사," 초등교육연구, 제60권, 제4호, pp.25-32, 2016.
  17. 연준흠, "원어민과 협동수업을 통한 의사소통능력향상방안," 영어어문교육, 제2권 제6호, pp.30-37, 2017.
  18. 이미진, "영어 협력수업에서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역할 양상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7권, 제1호, pp.15-22, 2018.
  19. 길인숙, "원어민과의 협동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영미어문학연구, 제20권, 제2호, pp.35-39, 2017.
  20. 최은영, 대학영어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수업경험,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1. 이영경, 대학 교양영어 읽기 수업의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길인숙, "영어집중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등학생의 성취도와 정의적 요인관계," 학습자중심교과연구, 제17권 21호, 2017.
  23. Banke and Medgyes, "Understanding higher education-based teacher educators' identities in Hong Kong: a sociocultural linguistic perspective,"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44, No.4, pp.379-400, 2018.
  24. 방준,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73-82, 2017.
  25. 이석래,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6. 홍순우, 다양한 영어발음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재고,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7. 박준호, 문자언어 영어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어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8. 김동희,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교육 프로그램모형 개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9. 원현주,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영어교육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0. 박수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정책의 딜레마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1. 김나영,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협동수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