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General English Education for English Education Major

영어교육전공 대학생의 교양영어 교육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9.06.11
  • Accepted : 2019.07.16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re efficient ways of teaching English more related to but distinct from major English, based on the needs and awareness of the students of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For this, interviews and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targeting some English Education maj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is relatively low, marking around the score '3'.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classroom environment including the multi-media equipment, and professors' teaching ability, quality and methods is higher compared with other factors, the improvement of English skills and interest-causing levels are lower on average. Besides, this study also includes the surveys on the needs of students for various teaching programs, differentiated classes and qualified instructo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three suggestions as follows; (1) the opening of some specific English classes for English-education majors (2) the development of English-conversation classes related to English-education majors (3)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centered English reading based on English literature.

본 연구는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교양영어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바탕으로, 전공에 특화되나 전공 교육과는 차별화된 좀 더 효과적인 교양 영어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교양 교육의 인식과 요구와 관련된 설문과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 결과, 현 교양영어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3점대로 높지는 않았다. '멀티미디어 시설 등 강의실 환경'에 대한 만족도나 교수진의 전문성, 자질, 교수방법'은 타 항목에 비해서 평균 점수가 비교적 높았으나 '영어실력 향상의 정도'나 '흥미유발 정도'에 대한 항목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이 외에도 본 연구에서 수행한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수준별 수업에 대한 요구, 교수자에 대한 요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 전공자들을 위한 교양영어 교육을 위하여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육 전공자들을 위한 전공특화 교양영어선택 과목을 개설한다. 둘째, 전공과 연계된 교양영어 회화 과목을 개발한다. 또한 영문학을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중심 교양 독해수업을 개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미, "대학영어의 수준별 교육에 관한 실험 연구," 글로벌영어교육학회, 제15권, 제1호, pp.49-75, 2010.
  2. 성기완, 표경현, 이현명,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교육과정 모형개발연구," 외국어교육, 제11권, 제2호, pp.377-406, 2004.
  3. 정동수, 김해동, "대학의 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연구," 영어교육, 제56권, 제4호, pp.265-292, 2001.
  4. 김상수,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 변순용, 김민수,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203-236, 2012.
  6. T. Hutchinson and A. Water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A learning-centered approa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7. 박준언, "원어민교수에 의한 대학생 의사소통 영어교육 운영결과 분석," 영어교육, 제52권, 제1호, pp.161-183, 1997.
  8. 박준언, "외국어 학습의 최근의 흐름과 우리나라 외국어교육에의 시사점," 외국어교육, 제7권, 제1호, pp.1-23, 2000.
  9. 조정순,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현황과 방향성 탐구," 영어교육, 제57권, 제2호, pp.365-394, 2002.
  10. 임정완, "대학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현대영어교육, 제7권, 제2호, pp.130-149, 2006.
  11. 이예식, 임홍미,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중등교육연구, 제53권, 제3호, pp.257-276, 2005.
  12. 박찬규,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언어학연구, 제29권, pp.105-131, 2013.
  13. W. J. Jang, A study on ESP: with special reference to english for cabin attendant,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14. T. Dudley-Evans and M. St. John, Development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5. Mc Kay and Sandra Lee, "Literature as Content for ESL/EFL,"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 Marrianne Celce-Murcia(Ed.), Boston: Heinle & Heinle, pp.319-332, 2001.
  16. 이종복,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문학의 효용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157-16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157
  17. 최정미, 이호선,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 : 문학과 인성을 접목한 융.복합 교양영어 수업 사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536-54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