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어민 영어교육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문화 인식 (Cultural Awareness of Native English Teachers Who Work at Regular Kindergartens in Korea)

  • 윤영순;김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57-3563
    • /
    • 2014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영어교육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90%이상의 유아들이 영어를 배우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정규 유치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수활동의 문화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는 정규 유치원의 원어민 영어교사, 한국인 영어교사와 유치원 원장의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모든 인터뷰 자료들은 근거 이론에 기반하여 전사하고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의 정규유치원에서는 원어민 영어교사들에게 한국의 유아들을 위한 문화적인 준비를 요구하지 않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원어민 영어교사들은 자신의 교육활동에서 유아들의 문화를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이 연구에 참여한 원어민 영어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한국 유치원들 역시 원어민 영어교사들의 교수활동을 정규 교육과정에 잘 통합하고 있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국 유치원의 영어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한국에 근무하는 영어 원어민 교사에 대한 국내 영어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The Perceptions of Korean English Teachers toward Native English Teachers)

  • 강문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615-623
    • /
    • 2013
  • 세계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의 일환으로 공교육에서의 원어민 교사 수업의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질 높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 원어민 수업으로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이 논문에서는 영어교육에서의 원어민영어교사 활용 종합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 연구에서 한국인 협력교사들의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인식은 영어 원어민 교사의 투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설계기반연구방법에 기반한 초등학교 원어민 원격화상수업 설계 원리 (Design Principles for Videoconferencing Using an English Native Speaker Based on Design-Based Research)

  • 오영범;이상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85-19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 영어수업 설계 원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설계기반연구(Design-Based Research)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3개월 동안, 수업동영상을 촬영하였고 수업이 끝난 후에는 한국교사와 원어민 교사로부터 성찰 일지를 수집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원어민 활용 원격화상 영어수업의 과정을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수업이 진행되는 패턴, 오류 빈도, 상호작용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실의 한국 교사와 학습자, 원격지의 원어민 교사를 화상 시스템으로 이어주는 수업은 복잡하기 때문에 수업을 설계할 때 많은 부분들을 고려해야 하다.

  • PDF

EPIK프로그램 분석: 오리엔테이션 및 교육 프로그램에 VR 활용방안의 가능성을 중점으로 (Investigation of English Program in Korea: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VR use in orientation and training programs)

  • 박성만;임희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9-166
    • /
    • 2021
  • 영어 교육에서 의사소통적 접근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한국 학생과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5 년 교육부는 영어 원어민 화자를 모집하여 영어 교사로 활용하는 한국 영어 프로그램(EPIK)을 도입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7개 나라에서 모집된 영어 원어민 교사들은 한국의 공립학교에서 한국인 영어교사와 함께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EPIK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를 통해 EPIK의 효과와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의 현재 상태, 문제점 및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논문은 EPIK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오리엔테이션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VR 사용가능성을 포함한 몇 가지 가능한 대책과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on the Definition Factors of the Learner)

  • 이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72-583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교육환경에서 가장 이상적이고 적합한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 모형과 효과적인 협동수업을 구성하기 위한 정의적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총 1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한달 간 설문조사와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t/F검증 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 인식 중 수업관련 기술, 과제지 향성, 교수-학습전략, 학습동기유발 순으로 정의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수업형태에 따라,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과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라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원하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어민-한국인 영어교사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성별/수업형태에 따라,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현재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 정의적 요인은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원하는 영어 협동수업유형에 따른 학자 정의적 요인의 차이도 발생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대학 신입생의 영어 학습 감정에 대한 융합적 연구: 수준별, 팀티칭, 의사소통활동유형에 따른 차이 (A Convergency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towards English: Difference depending on level, team-teaching & communicative activities)

  • 박옥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69-3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들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 감정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수준별로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의 팀티칭으로 진행되는 의사소통 활동 위주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신입생들의 학습감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은 B대학 신입생 327명을 대상으로 학습감정검사지(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 AEQ)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영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상급반 학생이 초급반과 중급반 학생들보다 걱정과 지루함을 더 많이 느꼈다(P < .05). 둘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원어민 교수의 수업이 한국인 교수의 수업 보다 더 재미있고, 더 만족스럽고, 덜 지루하다는 결과를 보였다(P < .001). 셋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의사소통 활동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게임이 제일 재미있고 만족스러운 반면, 발표하기는 제일 걱정되고 지루하다는 결과를 보였다(P < .001).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 개선을 위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원격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English Class Using Videoconferencing)

  • 오영범;이창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317-3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 원격화상 영어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학년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체 제작한 수업만족도 검사도구와 김강식(2003)의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를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수업만족도는 3학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6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분석 결과, 사전 사후 비교 결과는 전체적으로 사후 검사가 낮게 나타났는데, 3학년의 경우에는 사후 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학년별 비교에서는 3학년이 가장 높았고, 6학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격화상시스템과 원어민을 새롭게 접하는 3학년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ESTs' and NNESTs' Class Management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of an English Camp)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2-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진행한 영어캠프에서의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차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대학교 캠프에 참가한 남 녀 대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캠프 만족도, 두 교수들에 대한 일반적 교수 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 등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진행한 캠프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캠프에 참가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한 캠프에 대해 만족하였지만,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교수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먼저,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수업을 흥미롭게 진행했다고 인식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체계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즉흥적으로 수업을 진행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교재에 의존하며 더 많은 부교재를 제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비원어민 교수들이 원어민 교수에 비해 스피킹과 문법에 더 초점을 맞추어서 수업을 진행하였고, 과제, 시험,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고,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더 원활하게 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육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온라인 컨텐츠 및 화상회의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영어 능력 향상 효과 분석 (Analysis of English Ability Improvement Effect through a Hybrid Model using Online Contents and Video Conferencing)

  • 송재신;정성무;이재무;김자미;차현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1-40
    • /
    • 2009
  • 영어 능력 향상에 있어 원어민 교사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농어촌의 학교들은 생활문화 환경의 열악으로 원어민 교사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화상 시스템으로 원어민 교사에 의한 수업을 지원하고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준별 개별화 교육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중도시, 농어촌 소도시의 3개 집단에서 초 중등 2개 학교씩 6개 학교의 15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하이브리드 모델의 적용 전후를 T-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는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영어 교육에 적용 후 분석 결과 이해력은 상위 집단이 쓰기 능력은 하위 집단이 높게 향상되었다. 전체 영어 능력 향상 정도는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높았다.

  • PDF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모음 발화 연구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by Korean Learners)

  • 이계윤;초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95-503
    • /
    • 2013
  • 21명의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모음 발화와 원어민의 발화를 비교하여 두 집단의 음향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영어 모음의 발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11개의 영어모음([i, ɪ, eɪ, ɛ, æ, ɑ, ʌ, ɔ, oʊ, ʊ, u])을 사료로 하여 발화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원어민과 한국인 사이의 포먼트값(F1, F2)과 모음의 길이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원어민에 비해 전설 모음에서 한국인이 더 앞쪽에서 발화하고, 또한 모음들을 길게 발화한 특징이 보였다. 특히 긴장과 이완모음의 경우, 원어민은 이 모음들을 발화시 음향적인 단서(F1, F2)와 발화 길이를 모두 사용하여서 음향적으로도 두 모음을 구별하여 발화하였고, 길이에 있어서도 긴장모음을 이완모음 보다 더 길게 발화하여 구별하였다. 반면에, 한국인은 긴장과 이완모음을 구별할 때 음향적인 차이로 구별하지 않고, 긴장모음을 더 길게 발화함으로써 길이로써 긴장과 이완모음을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