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현화문제행동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research among maternal propensity for perfection and child misbehavior)

  • 변상해;유영순;정정순;윤연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2호
    • /
    • pp.73-88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예방책을 찾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주시에 거주하는 만 3-5세사이의 유아와 어머니 400쌍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T-TEST, 회귀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에 차이가 있었고, 유아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완벽주의 하위유형에 따라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 유아의 문제행동 중에서 우울과 불안, 공격성, 외현화 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 문상희;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9-89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부정적 정서성과 주의집중성 기질은 직접적인 영향과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활동성 기질은 직접적인 영향과 교사-유아의 친밀 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부정적 정서성 기질의 경우 교사-유아의 갈등과 친밀 관계를 매개로하여 주의집중성 기질의 경우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교사-유아의 갈등 및 의존 관계가,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교사-유아의 친밀, 갈등, 의존 관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외현화와 내재화 문제행동에 교사-유아의 갈등관계는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과 인과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Effects of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Psychological·Behavioral Control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 성혜원;한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1-29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통제 및 유아의 자기통제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368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및 상관,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행동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자기통제는 어머니의 행동통제와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을 애정 및 심리통제와 행동통제로 구분하여 유아의 자기통제라는 내면화과정을 통해 문제행동을 설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PAI-A 증보판의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Factor Structure of PAI-A Revised)

  • 박은영;박은영;홍상황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315-337
    • /
    • 2019
  • 이 연구는 PAI-A 증보판 척도가 청소년기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외현화 분류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AI-A 증보판 하위척도 31개 및 자살관념(Suicidal Ideation, SUI) 척도 점수를 가지고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공통적으로 불안(Anxiety, ANX)과 우울(Depression, DEP)의 하위척도 및 자살관념(SUI) 척도는 내재화에, 반사회적 특징(Antisocial Features, ANT)과 공격성(Aggressive, AGG)의 하위척도는 외현화에 분류되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경계선적 특징(Borderline Features, BOR)의 하위척도에서 정서적 불안정성(Affective Instability, BOR-A), 정체감 문제(Identity Problems, BOR-I), 부정적 관계(Negative Relationships, BOR-N)는 내재화에, 자기손상(Self-Harm, BOR-S)은 외현화에 분리되어 부하되었다. 이후 도출된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가 새로운 표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된 표본을 제외한 350명의 표본을 무선추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의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AI-A의 척도들이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와 이론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해서 향후 학교 장면에서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평가에 PAI-A 증보판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장애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f Child with Disability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hild's Effortful Control through Defense Style of Mother and Child)

  • 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50-56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이 어머니와 아동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이의 체계적 인과구조와 다차원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외현화 행동의 감소를 통한 장애아동 및 장애아동 가족의 순적한 정상화과정(normalization process)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동 및 어머니 1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간 관계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변인으로,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조건부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아동의 외현화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이에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전제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행동지원 등의 효과적 전략 기틀 위에 과보호 행동변화를 위한 직접적 전략, 아동의 의도적 통제성향과의 병행전략, 어머니의 대처전략 적용을 통한 차선적 전략 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중학교 남학생의 과도한 유튜브 이용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Excessive YouTube Usage of Middle School Boy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정지혜;김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76-684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교 남학생의 유튜브 이용실태와 과도한 유튜브 이용이 그들의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유튜브 이용도, 유튜브 중독정도,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척도, 그리고 부모, 교사, 친구의 지지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편이었다. 내재화 문제의 경우 부모의 지지는 사회적 위축과 우울 모두에 있어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교사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는 조절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외현화 문제에 있어서는 교사의 지지가 비행과 공격행동 모두에 있어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였다. 부모 및 친구의 지지는 오직 비행행동에 대해서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중독을 조절하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부모인지 교사인지에 따라 다른 영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사회적지지 수준이 높다고 하더라도 유튜브 중독이 높은 경우에는 보호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유튜브중독이 심각해지기 이전에 조기에 개입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유아의 감각처리가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processing on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preschoolers)

  • 김명선;하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81-19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non-disabled) 유아에서 선별된 감각처리문제군의 적응행동과 내재화/외현화 증상 관련 부적응행동을 대조군과 비교하고 감각처리가 적응/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3-6세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비장애 유아에게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바인랜드 2판을 실시하였고 최종 3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Pearson 상관,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처리는 적응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부적응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적응행동의 상관계수 범위가 적응행동 상관계수 범위에 비해 높았다. t-test 결과 감각처리문제군은 대조군에 비해 적응행동의 의사소통 및 사회성 관련 영역에서 유의하게 평균이 낮았고, 부적응행동의 모든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평균이 높았다. 감각처리 하위요인이 적응/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비장애 유아에서도 발생하는 비정형 감각처리는 적응행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내재화/외현화 증상 관련 부적응행동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 이소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7-127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03명이며,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부모용(K-CBCL)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단계적 중다회귀(Stepwise Multi-Regression)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우울, 거부적, 통제적 양육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 유형별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우울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거부적 양육행동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우울 감소 프로그램 및 거부적 양육행동과 같은 부정적 양육행동의 감소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아동의 내면화·외현화문제행동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적 구조분석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 문대근;문수백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6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problems. A total of 7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family interaction functions, emotional regulation, self-control,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problems.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function of family inter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Moreover, emotional regulation, self-control and internalization of problems had a statistically substantial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ation of problems. Second, family interaction function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of problems, although it may well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of problem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Finally, self-control did not enjoy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internalization of problems.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여부에 따른 동적가족화 연구 (Kinetic Family Drawing According to Preschoolers' External Problem Behavior)

  • 김진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61-72
    • /
    • 2013
  • This study evaluated Kinetic Family Drawing according to preschoolers' external problem behavior. To achieve this, 120 preschoolers who were four or five years old were investigated an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ean, and chi square analysis with the SPSS Win 13.0 program. The preschoolers' family drawings were analyzed by using the method in Kinetic Family Drawing(Burns & Kaufman, 1972). First, regarding characteristics, the preschoolers in the aggression group rotated certain person or drew the figure from behind, the preschoolers in the delinquency group drew long arms, the figure from behind, and angular forms. Second, regarding action depicted, the preschoolers in both aggression and delinquency groups perceived the lower activity level of their fathers, dangerous situations, and excluded family interaction. Third, regarding symbols, the preschoolers in the delinquency group drew objects such as balls. Finally, regarding drawing style, the preschoolers in the delinquency group drew edges and under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