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하 장애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독서역량 강화를 위한 도서관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Library Policy to Strengthen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 이정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9-299
    • /
    • 2022
  • 본 연구는 학령기에 있는 장애 아동·청소년들의 독서 및 도서관 이용과 요구사항을 파악해 보고 국립장애인도서관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서관정책의 개선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대체자료 제작 및 대체자료통합목록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정책과는 다르게 장애 아동·청소년은 주로 종이책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80%가 도서관을 거의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도서관 중심의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장애영역과 학령별 장서 큐레이션을 통한 독서문화 향유 기반 구축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멀티미디어 장서의 국제표준화 개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과의 협력, 특수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장서, 예산 확충을 기반으로 일반학교 특수학급 장애 학생들과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심박변이지표 비교 연구 (Comparisons of HRV Parameters Amo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d Trauma·Stressor Related Disorder)

  • 김지은;박도원;한지연;이정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88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지표를 이용하여,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차이를 비교하고 증상 심각도와의 연관성을 보고자 한다. 방 법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국립정신건강센터 스트레스 클리닉 내원 환자의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총 473명 환자(불안장애 166명, 우울장애 184명,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123명)의 HRV 지표의 진단 군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지표와 전반적 임상 인상 심각도(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의 연관성이 진단군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세 군에서 HRV 지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심박도 간격(normal-to-normal, NN)의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of normal RR intervals, SDNN)와 연속된 NN 간격들의 변이의 제곱 평균값의 루트 값(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N intervals, RMSSD)의 CGI-S와의 관련성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SDNN, p=0.017 ; RMSSD, p=0.034). 불안장애와 우울장애에서는 CGI-S에 따른 SDNN, RMSSD가 음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에서는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세 군의 HRV 지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각 군에서 지표와 임상적 심각도와의 연관성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군은 HRV의 특징 및 임상적 활용이 불안 및 우울장애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Creative Drama Group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신동인;조연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82-497
    • /
    • 2013
  •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직접 적용하여 이들의 사회적 능력에 미친 효과성을 입증하며, 궁극적으로는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제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은 구성주의의 이론과 원리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해서 개발되었으며, 약 6개월간 24회의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후에 양적방법의 유사실험설계와 질적 방법의 제 3자 관찰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지적장애아동=4명)의 사회적 능력을 사전, 사후에 비교해 본 결과는 p=.015로써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집단(지적장애아동=4명)의 사회적 능력을 비교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효과성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교사가 선호하는 행동, 또래가 선호하는 행동에서도 나타났으나 학교적응력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질적 방법으로 사회성기술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첫 번째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관찰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아동들 4명은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의 영역인 사회적 기술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실행방안을 제언하였다.

장애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Disabled's Quality of Life: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Disabled People)

  • 전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0-221
    • /
    • 2018
  • 본 연구는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영향력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1차 연도(2016)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여부는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그밖에 경제적 요인, 사회관계 요인, 신체적 요인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취업 장애인은 취업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과 더불어 인구학적 요인의 성별과 연령, 신체적 요인의 장애 등급과 장애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 간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물인터넷시대에 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조직패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in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s of Family Organization Patterns in the era of IoT)

  • 최장원;장대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7-54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조직패턴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거주하고,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부모 236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가족탄력성 중 가족조직패턴, 양육효능감을 측정하였고, Amos ver. 22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매개효과 검증결과 장애아동 가족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탄력성 중 가족조직패턴은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스트레스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자녀의 장애로 인한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정서적 안정성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또한 장애아동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여 적정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연하장애 위험 여성노인의 노래중재 적용 효과 (The Effect of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ly with Dysphagia Risk)

  • 윤옥종;이영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0-38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isk of dysphagia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ly in community. Methods: One-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29 women over the age of sixty and residing in a local area. A singing intervention consisted of breathing, vowel production and singing. The one hour intervention occurr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variables of dysphagia risk, a swallowing test, and nutritional status were measured. Analysis was done by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 of dysphagia risk (p<.001).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wallowing test scores [modified water swallowing test (p=.032), food test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tional status (triceps skin fold thickness,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at a singing intervention can be helpful in reducing the risk of dysphagia may improve deglutition for the women elder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use of a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s with dysphagia risk.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한국형 근거기반 연하장애 간호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Dysphagia Nursing Care Protocol for Nursing Home Residents)

  • 방활란;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4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dysphagia nursing care protocol for nursing home (NH) residents in Korea. Methods: The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literatures. After testing content validity by experts, the protocol was appli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35) for 4 weeks at one NH in December, 2011, whereas the control group (n=34) received routine care. Results: The protocol was composed of one-page algorithm and detailed guidelines. Algorithm pathway was organized in 3 parts, including screening dysphagia risk, grouping by dysphagia risk level, and assigning nursing care into each group. The nursing care included positioning, oral care, meal time care, diet modification, providing exercise and maneuver, and checking dysphagia signs and symptoms. The expert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Protocol was revised to fit NH practice after the participant observation. Clinical validity was established upon evaluating usefulness, appropriateness, and convenience of the protocol by NH nurses. Dysphagia risk of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Developed protocol will improve the quality of dysphagia care in nursing homes as it can serve as a consistent and integrated standard for nursing care of residents with dysphagia.

연하장애를 가진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캡사이신을 이용한 구인두 감각 자극의 효과 (Effect of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Using Capsaici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배한솔;이은남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3-86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using low-temperature capsaicin on dysphagia, dietary level, aspiration pneumonia, and nutritional status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dmitted to a stroke intensive care unit. Methods :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and 43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21) or control group (n=22). An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intervention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before meals twice a day for seven days and started with the first meal after hospitalization. In the control group, a solution was made using only bottled water without adding capsaicin solution, and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at the same time, method, and number of times as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dysphagia and dietary level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using capsaicin. There were no effects on the nutritional status or aspiration pneumonia.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dysphagia by presenting a theoretical basis that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intervention using capsaicin improves dysphagia and dietary levels.

편친 이염색체성 엔젤만 증후군(Angelman syndrome) 환자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IN A PATIENT WITH ANGELMAN SYNDROME DUE TO UNIPARENTAL DISOMY)

  • 박성희;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5
    • /
    • 2016
  • 저자는 엔젤만 증후군 중 그 발생 기전이 2% 이하인 편친 이염색체성 엔젤만 증후군 증례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근육간대경련발작(myoclonic seizure)의 병력으로, 조절을 위해 항경련제(Valproate)를 복용중이었고, 전반적인 발육 장애와 지적 장애, 언어 장애를 나타내고 있었다. 구내 소견으로는 치간 이개, 하악골 전돌, 거대설과 연하 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잦은 불수의적 운동 때문에 구강 위생 상태는 매우 불량 하였다. 치료 범위가 광범위하고, 환자의 협조도를 얻을 수 없었으며, GABA 수용체의 기능장애로 인해 진정 약물을 이용한 행동 조절은 효과적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를 시행하였고, 성공적으로 치과치료가 가능했다. 엔젤만 증후군 환자들도 정기적인 치과 방문을 통한 구강 위생 교육, 전문가 치면 세마, 불소 도포가 이루어진다면 적절한 구강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치과 방문을 통해 환자가 치과 진료에 적응 한 뒤에는 간단한 치료도 가능하다.

대구지역 택시기사들의 혈중 연농도 (Blood Lead Concentration of Taxi Drivers in Taegu, Korea)

  • 사공준;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3권3호
    • /
    • pp.255-261
    • /
    • 1990
  • 배기가스내 연에 노출될 위험이 가장 큰 직업의 하나인 택시기사들의 혈중연농도를 측정하고 운전경력에 따른 연농도의 분포양상 및 그 상관요인을 규명하여 배기가스내의 연이 택시기사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그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1989년 8월 1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대구시에 소재한 택시회사 2개소의 남자기사 90명과 대구시내에 거주하는 대조군 5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하고 정맥혈을 채취하여 원자화무염광로를 부착한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택시기사들의 평균혈중연농도는 $26.34{\pm}6.53{mu}g/dl$, 대조군의 경우 $20.77{\pm}4.80{\mu}g/d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운전경력에 따른 혈중연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운전경력과 혈중연농도의 상관성은 거의 없었다. 흡연습관과 혈중연농도의 관계에서는 택시기사 및 대조군 모두에서 흡연군이 높은 혈중연농도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