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Disabled's Quality of Life: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Disabled People

장애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명숙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12.20
  • Accepted : 2018.01.05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demographic and dis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that employed and unemployed disabled people, and determin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ose factors between the two disabled group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tilized 1st-year(2016)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Korean Panel Study 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ment is a critical factor that influences the disabled's quality of life. Besides, there are some financial, socio-relational and physical factors on which that quality is heavily dependent. Second, employed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is even more influenced by financial factors, socio-relational factors and health state than demographic factors. Third, unemployed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me demographic factors like gender and age and some physical factors like disability grade and disability period as well as by factors found influencing employed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Thus, the two disabled group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which factors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the disabled's better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영향력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1차 연도(2016)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여부는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그밖에 경제적 요인, 사회관계 요인, 신체적 요인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취업 장애인은 취업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과 더불어 인구학적 요인의 성별과 연령, 신체적 요인의 장애 등급과 장애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 간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계승,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 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2호, pp.375-402, 2014.
  2. 김승호, 박재국, 김은라,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 장애와 고용, 제26권, 제4호, pp.173-195, 2016.
  3. K. H. Schuessler and G. Fisher,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1, pp.129-149, 1985. https://doi.org/10.1146/annurev.so.11.080185.001021
  4. S. E. Iso-Ahola,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1980.
  5. J. Dziura,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Identity Change After the Acquisition of a Physical Disability in Adulthood: A Critical Analysis of an Autobiography," Gallaudet Chronicles of Psychology, Vol.27, pp.31-42, 2015.
  6. 오세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 재활복지, 제10권, pp.38-62, 2006.
  7. 이채식, 김명식,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327-356, 2013.
  8. 김성원, 고령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9. 남희은,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차별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자원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Vol.30, pp.117-143, 2015.
  10. 이동호, 빈성오, "노인들의 질환별 유병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16-22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16
  11.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호, 제10권, pp.255-266,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55
  12. 백은령,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환경요인과 사회통합정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3. 정일교, "사회적 지지가 뇌성마비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9권, 제4호, pp.61-81, 2015.
  14. 황보옥, 박영준,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관관계연구," 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pp.299-324, 2010.
  15. 김희국,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와 편견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pp.63-84, 2010.
  16. 김동화, 김미옥,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2호, pp.209-233, 2015.
  17. 박능후, 구만서,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접근성과 장애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 제19권, pp.79-115, 2016.
  18. 박경수, 이석호,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기초생활 보장 수급탈피 의향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4호, pp.89-110, 2015.
  19. 송섭규, 이훈,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만족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6호, pp.261-280, 2015.
  20. C. D. Ryff and C. L. Keyes,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No.4, pp.149-152, 1995.
  21. K. S. Clayton, and R. A. Chubon, "Factors associated and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1, pp.123-134. 1994.
  22. M. Kreuter, M. Sullivan, A. Dahilof, G. and A. Siosteen, "Partner relationships, functioning, mood and global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spinal core injury and traumatic brain injury," Spinal Cord, Vol.36, No.4, pp.252-261, 1998. https://doi.org/10.1038/sj.sc.3100592
  23. 노승현, 황환, "자기선택과 지역사회통합의 기회가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233-257, 2010.
  24. C. Banfalvy, Quality of life and unemployment : an empirical study about the effects of unemployment on people with disability in hungary, Cambridge Brookline Books, 1994.
  25. 김한성, 이유신, "장애인의 가구소득과 취업여부가 여가활동 유형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4호, pp.146-171, 2014.
  26. 김범규, 남용현, "장애인의 취업상태 변화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 가구균등화 소득을 중심으로," 제5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pp.313-377, 2013.
  27. S. P. Segal and V. Aviram,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 based sheltered care : A study of community care and social integration, NY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78.
  28. 서득문,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9. L. Benson, Image, heroes and selfperceptions, N. J: Englewood Cliffs, 1974.
  30. 이영숙, 김건엽, 박기수, 손재희, 이종영, "대구지역 재가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제31권, 제3호, pp.503-515, 1998.
  31. 박자경,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수시과제보고서, pp.1-31, 2009.
  32. 이병화, 이송희,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227-257, 2016.
  33. 이달엽, "장애인 삶의 질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 장애인고용패널 중심의 세 집단 비교,"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3호, pp.99-122, 2014.
  34. 조경은, 강도명, "지적장애 취업자와 미취업자 특성 관련 변인분석," 지적장애연구, 제14권, 제1호, pp.263-285, 2012.
  35. 권오숙, 장애인가족의 부양부담과 가족레질리언스와의 관계에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매개효과 연구, 중앙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6. 임재현, 장애인가구의 빈곤특성과 빈곤결정요인 연구 : 비장애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7. 보건복지부, 2015년 장애인복지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정책홍보자료, 2015.
  38. 김용탁, 고령장애인의 고용촉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15.
  39. 노승현, "고령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호, pp.51-8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