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행위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of Pregnant Women)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197-20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며, 태아애착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산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88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0.85{\pm}4.71$점으로, 종교 유무,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9.26{\pm}11.32$점으로, 계획된 임신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태아애착행위는 평균 $74.09{\pm}11.62$점으로, 종교 유무, 계획된 임신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태아애착행위는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신체상과는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체상, 종교, 계획된 임신이었다.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신체상, 종교, 계획된 임신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임부의 태아애착증진을 위한 산전교육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증진을 위한 표준화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 이승아;이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20-2028
    • /
    • 2015
  • 본 연구는 Mercer의 어머니되기 이론적 모델에서 제시한 태아애착행위의 영향 변수(임신스트레스, 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를 고려하여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전검사를 위해 산부인과와 보건소에 방문한 임부 140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3일에서 11월 25일에 걸쳐 자가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PSS 2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아애착행위는 30세 이하 임부에서 31세 이상 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t=2.79, p=.004), 초임부에서 경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27, p=.041). 태아애착행위는 임신스트레스(r=-0.22, p=.009)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존감(r=0.45, p<.001), 결혼적응도(r=0.42, p<.001), 자아통제감(r=0.24, p=.005)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존감, 결혼적응도, 나이로 밝혀졌으며, 전체 모형의 26.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관리를 통해 임부의 자존감과 결혼적응도에 대한 이해 및 사정이 필요하고, 고령 임부의 태아애착행위 증진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약손요법이 미숙아 어머니의 애착 및 애착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Yakson Therapy on the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s in Mother of Preterm Infants)

  • 임혜상;박은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04-21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akson therapy conducted by mother of preterm infants on the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 Method: A quasi experimental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05. The participants were 30 mothers of preterm infants hospitaliz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15 in the Yakson therapy group and 15 in control group). Yakson therapy consists of three phases: laying a hand, caressing by hand, and laying a hand again taking 5 minutes for each phase. Yakson therapy was provided to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15-minutes 5 times for 15 day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with x2-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maternal attachment (F=5.54, p=.0258). And the attachment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Yakson therapy can be used to improve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

  • PDF

자폐아동을 위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 이소우;홍강의;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198-208
    • /
    • 2000
  • 자폐아동을 위해 개발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S대학교병원 애착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7쌍, 참여하지 않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4쌍이었다. 6개월 간격으로 2회, 비디오 촬영법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Wilcoxon Rank(Sign) Sum Test로 모-아애착, 양육행위, 자폐적인 행동 특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는 같은 기간 비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일치성을 제외한 근접성, 상호성, 정감성에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p<.05). 접촉유지, 차별적, 애정적 행동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공감적, 일치적, 합동주시 행동의 변화는 적었고 아동간에 개별차가 컸다. 아동의 성장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양육행위도 참여군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그룹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5). 애착행동의 증진은 또한 자폐적 행동 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모-아애착 증진 프로그램이 자폐아동들의 사회적 행동의 증진 뿐만 아니라 문제 행동의 개선에도 유용한 조기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

부아(父兒)애착 : 문헌고찰 및 비평 (PATERNAL INFANT BONDING : A CRITICAL REVIEW)

  • 김혜숙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44
    • /
    • 1992
  • 지난 10년 동안 구미에서는 부모-아동 관계 영역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부모-아동 애착이론의 획기적인 변화로 가족 중심 출산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편이 아내의 출산에 참여하던 것이 타부시되어 왔지만 애착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남편도 출산에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하여 임신에서부터 부부가 함께 이 과업을 완수하도록 모든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애착이론은 다양하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동물 행동학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들을 가지고 아버지-아동의 애착 및 유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여년 이상 되어오고 있다.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어 연구 되어온 것으로는 애착형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는 민감한 시기(Critical period)를 중심으로 애착의 특성인 시각, 청각, 촉각, 상호호혜적 관계, 긍정적 애정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는 부아 애착(Paternal Infant Attachment)의 연구를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상문제와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17편의 연구들을 각각 년도, 표본수, 방법 및 측정, 결과 및 비고난을 비교 분석하여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론적 기틀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과 제언을 한다. 1. 출산전 아버지의 특성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2. 연구자가 집단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구전에 표본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3. 부모와 아버지의 과거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수집이 강조되어야 한다. 4.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대중교육 뿐 아니라 정책 결정에 기여해야 한다. 5. 연구결과 평가와 해석을 위해 정확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로 된다. 6. 간호연구는 부적절한 부아 애착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부아유대와 애착 증진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

  • PDF

분만 직후 어머니의 신생아 접촉이 모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s of Behavior Contact in Early Mother-Infant Attachment)

  • 성미혜;김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42-849
    • /
    • 2005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nursing intervention data base to improve maternal attachment. Method: The first group of mothers( control group), experienced their first physical contact with their infant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second group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early initial mother-infant postpartum contact known as the most sensitive period for founding maternal-infancy attach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gave birth to normal infants at M hospital from Aug.25 to Sept.30, 2004. During the same time, data was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with instruments designed by Cropley et al., to assess the behaviors of normal attachment.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ith an SPSS program. Result: The group practicing initial mother-infant contact, showed a higher degree of physical and functional bonding than the group experiencing the first contact after discharge from the :10spital (control group)(p<.0l). The group practicing initial mother-infant contact, showed higher degrees of bonding attachment assessments than the group experiencing their first initial contact after their discharge from the hospital(p<.01). Conclusion: The group practicing early mother-infant contact, showed more maternal-infant interaction than the group experiencing their initial contact after thei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These results show that maternal attachment behavior increases according with an early initial mother-infant contact.

불안 애착이 기부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일체감에 근거하여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Charity Appeals)

  • 권다은;정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75-68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불안 애착 성향이 사회적 일체감을 강조한 소구방식의 기부광고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과 해당 과정을 매개하는 소속 욕구 요인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각각 개인적 소구 조건의 기부광고와 사회적 소구 조건의 기부광고에 노출된 후 광고에 대한 태도와 기부의도를 보고하였다. 두 차례의 실험 결과, 소비자의 불안 애착 정도가 클수록 사회적 일체감을 강조하는 소구방식의 기부 광고에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불안 애착과 사회적 소구방식의 기부광고 사이에서 소속에 대한 욕구가 매개하는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기부를 촉구하는 광고 메시지를 구성할 때 개인의 불안정 애착 성향을 고려함으로서 소구력을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의 애착 불안이 기부 의도를 이끌어내는 하나의 준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불안정 애착자들이 기부행위에 기대하는 감정적 편익의 가치를 인식하도록 도움으로서 윤리적 소비 분야에서의 경제 주체간 상호 이익관계 구축 이슈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소구 방식의 기부 광고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호의를 점화를 통해 조정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laceness in Public Libraries)

  • 이정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3-278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를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공공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요인, 장소애착, 장소가치 지각, 이용자 행위의도를 연구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각각의 변인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가치 간의 매개 요인으로서 장소애착의 직 간접적인 효과를 규명하였다.

병원근로자의 감성지능이 감정노동전략 및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Hospital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Innovative Activities)

  • 강현진;전현규;김민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87-406
    • /
    • 2015
  • 최근 감정노동은 감정노동전략의 핵심인 표면조절행위 및 심층조절행위와 관련하여 병원근로자들에게 있어 필수불가결한 상황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병원근로자들의 감성지능과 감정노동전략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병원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으로는 PLS 구조방정식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근로자들의 감성지능 즉, 자기감정이해, 타인감정이해, 감정조절 및 감정활용은 병원근로자들의 심층조절행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또한 병원근로자들의 심층조절행위는 조직애착, 지식공유의도 및 혁신활동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