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용 학문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디지털콘텐츠분야 학생역량 평가지수 개발 (Students Competency Assessment Index in Digital Contents Criteria)

  • 여현진;최규혁;김미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4
    • /
    • 2015
  • 디지털콘텐츠 교육은 실용학문 분야로써 게임 프로그래밍, 게임 아트, 특수효과, 3D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직무영역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용학문은 대학교육 기간 동안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여야 하며, 그러한 능력을 역량(Competency)라고 일컫는다. 본 논문은 디지털콘텐츠 분야 학생들이 실용학문으로써 직무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을 받고 있음에 맞추어 디지털콘텐츠 직무분야별 학생들의 평가를 기존의 교과목 기준이 아닌 직무에 맞는 종합역량을 평가하는 지수를 개발한다.

  • PDF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지리학 교육의 개편 방안 연구 - GIS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ography education and employment - GIS sector)

  • 오충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1-171
    • /
    • 2016
  • 사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사회 진출을 위한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학 교육도 순수 학문에서 실용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진출을 고려한 지리학 분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학 관련학과의 취업 특성을 분석하고, GIS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지리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지리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사회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역 사회 수요 분석, 둘째, 신기술 반영을 통한 교과 내용의 지속적 갱신, 셋째, 캡스톤 디자인, 현장 실습 등의 산학 연계를 통한 실무형 교육 강화, 넷째, 교육 과정의 다변화를 통한 융복합 교육 강화, 다섯째, 지리학 교육의 실용적인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PDF

대학 개혁의 새로운 방향

  • 강내희
    • 대학교육
    • /
    • 통권80호
    • /
    • pp.80-89
    • /
    • 1996
  • 국내 대학들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쟁논리의 강화로 인해 대학이 생산할 지식이 기술과 실용 중심으로 치달을 때 발생할 문제가 적지 않다고 볼 때 '리엔지니어링'을 하기 위한 대학 개혁방안을 선뜻 환영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어렵더라도 개혁의 또 다른 방식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새로운 방식은 통합학문 형태여야 할 것이다. 인간 능력의 통합화가 파편화보다는 낫다는 측면에서도 일단 통합 학문적 접근이 분과학문 체제에 비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개별 대학과 국가 차원의 학문 전략 수립, 학문 세계 내부의 민주화가 필요하며 권위주의를 혁파해야 한다.

  • PDF

방산(舫山) 허훈(許薰)의 한문산문(漢文散文) 연구(硏究) (A Study on Bangsan Heo hun's(許薰) Essays in Classical Chinese)

  • 조상우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213-233
    • /
    • 2014
  • 본고에서는 영남에서 인지도가 높았던 방산 허훈의 "방산집"을 중심으로 II장에서는 방산 허훈의 삶과 학문적 연원을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허훈의 산문 중에서 잡저(雜著)에 실려있는 작품 몇몇을 선정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II장에서는 방산의 삶과 학문적 연원을 살펴보았는데, 방산은 평생 정치에는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는 처사적 삶을 살았다. 방산의 학문적 성향에 대해서는 근기와 영남학파, 두 진영을 아우르는 학문을 이룩하고자 노력하였다. 방산의 학문적 계보는 근기학파의 개산지조(開山之祖)인 미수(眉?) 허목의 학문이 곧 한강(寒岡) 정구에게서 나왔고 한강의 학문은 퇴계에게서 나온 것임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방산의 학문에 직접 영향을 준 성재(性齋) 허전(許傳)은 순암 안정복계의 인물이었다. 그리하여 방산은 성재를 통하여 순암계 우파를 퇴계학의 정통이라 생각하여 영남학파보다는 근기학파에 더 가까웠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방산의 저술에는 실용적인 측면이 많다. III장에서는 방산의 한문산문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여 근기학파의 학문 전통 고수와 자주국방의 인식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근기학파의 학문 전통 고수에서는 실증주의, 실용주의에 입각한 서술을 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을 가지고 대의 중심으로 한 글을 쓰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속에 하는 일이라 하더라도 정당하다고 보지 말고 예부터의 일을 상고하여 바로 잡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산의 사고에는 퇴계를 중심으로 하는 근기남인의 학문 성향이 짙게 베어 있다고 하겠다. 자주국방인식에서는 <포설>과 <거설>을 통해 병가들이 마땅히 알아야 할 일이 무엇인지 강조하고 있다. 방산이 여기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새로운 장비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교육과 구축이다. 그러면 조선은 군사력이 강력한 나라가 되었을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서애 류성룡의 학문과 경국제세, 그리고 전쟁관리 (Scholarship, Statecraft, and War Management of Ryu Seongryong)

  • 최연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327-360
    • /
    • 2018
  • 유교 지식인 류성룡과 정치가 류성룡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동전의 양면이다. 유교 지식인의 학문은 경국제세(經國濟世)의 실천을 지향하고, 역사의 선례와 현장에 대한 치밀한 연구는 정치가의 성패를 좌우한다. 류성룡이 위기에 처한 조선의 실질적인 구원자가 될 수 있었던 것도 그가 이론과 현장을 구분하지 않고 양자를 변증법적으로 종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류성룡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류성룡이 주자 성리학에 안주하지 않고 양명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그가 정통 주자학자들과는 다른 실용주의적 경세관을 지니고 있었고, 그 결과 임진왜란이라는 사상 초유의 국란을 맞았을 때도 현실주의적 위기 대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학문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한 류성룡의 삶을 실용주의와 현실주의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역사속 과학인물-호남의 4대 실학자 하백원

  • 박성래
    • 과학과기술
    • /
    • 제28권5호통권312호
    • /
    • pp.20-21
    • /
    • 1995
  •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에만 전념한 조선조 후기 전남 화순출신의 실학자 하백원은 자명종 시계를 만들고 지도도 제작했으며 특히 자승차를 고안했다. 그가 고안한 자승차는 아래에 흐르는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장치로 저서를 통해 발표까지 했지만 실험을 거치지 않아 그 당시에도 실용성엔 의문이 제기되었다.

  • PDF

실용음악 보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cal Curriculum)

  • 조태선;최용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18-227
    • /
    • 2019
  • 실용이란 용어는 배운 그것 자체를 실제 사용 할 수 있는 실제로 사용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그와는 다르게 일부교수들의 특정한 전공 분야에 맞춰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것을 여러 학교를 통해 볼 수 있다. 재즈가 그 대표적인 사례로 대중음악 현장에서 연주할 수 있는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일부 메니아만을 위한 장르가 실용음악을 대표하는 학문으로 포장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입시 학원에 까지 영향을 미쳐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중, 고등학생들도 재즈를 배우고 연주하며 입시를 준비하고 있다. 물론 재즈도 음악의 한 분야이긴 하지만 절대로 대중음악의 주류가 될 수 없음을 볼 때 이는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다. 실용음악과가 4년제 대학에 개설 된지도 2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배출된 졸업생 숫자도 매우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의 역할이 취업과 연관되는 요즘, 과연 그 졸업생들의 취업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음악관련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지도 살펴볼 시기가 되었다. 그리고 학과의 교육과정은 취업과 연결 될 수 있도록 현실에 맞게 합리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도 중요할 것이다. 실용학문은 시장의 변화에 즉각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개설과 운영등도 이에 맞춰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보컬 교육과정과 실제 운영 사례, 그리고 취업으로 연결 될 수 있는 합리적인 보컬 교육과정에 대해 논해 보도록 하겠다.

수학을 왜 배우는가? - 초등학생들의 이해를 중심으로 - (Why Study Mathematics? -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 -)

  • 김상화;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419-436
    • /
    • 2007
  • 학생들이 수학을 왜 배우는지에 대해 알고 실제로 수학의 필요성과 가치를 이해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근본적인 지향점이라고 볼 수 있으나, 그동안 소홀한 연구영역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지 조사와 면담을 통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학 교육의 목적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수학교육의 다양한 목적을 이해하기보다는 실용성, 학문적 가치, 미래를 위한 준비로서의 수학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학문적 가치로서의 수학을 이해하는 정도는 큰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들의 수학교육 목적 이해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점에서 수학 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 PDF

일반대학 군사학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ilitary Studies Curriculum at the Civilian Universities)

  • 김종열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21-131
    • /
    • 2013
  • 일반대학에 군사학과가 개설된 지 약 10년이 되어간다. 군사학이 일반대학교에서 발전해 나가고 우수한 장교를 배출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은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고는 일반대학 군사학과의 학사학위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현실적인 해답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군사학과 교육과정 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첫째 군사학 학위수여를 하는 군 기관의 교육과정 편성이다. 위관급 장교에게 필요한 실무수행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고, 육사는 군사학 과목의 대부분을 필수과정으로 편성하고 있다. 둘째 군사학의 학문영역으로 전쟁과 군사력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헌과 학문분류상의 군사학은 사회과학적인 군사학과 공학적인 군사공학으로 분류하고 있다. 넷째 대학교육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학문성과 실용성이 균형을 유지해야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군사학 석박사 과정과도 연계성을 유지해야 하고, 여섯째 수요자인 육군의 요구도 만족하고, 학생지도는 훈육지도 성격이 가미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일반대학 군사학과 학사학위를 위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기준과목을 도출하였다. 교양으로 3개 분야 5개 과목, 전공으로 3개 분야 14개 과목, 총 19개 과목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