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eography education and employment - GIS sector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지리학 교육의 개편 방안 연구 - GIS 분야를 중심으로

  • 오충원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 Received : 2016.02.26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As social environment has changed, a practical academy for higher employment rates becomes more important in higher education. It is need to have a paradigm shift in geography educ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 practical education in geography. This study propose practical strategy using GIS curriculum. First, the demand analysis in national and regional area is need. Second, continuous renewal reflecting new technologies is need. Third, capstone design and co-operative education with GIS company is need. Fourth, convergence and diversifi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is need. Fifth, publicity for the practical geography education is need.

사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사회 진출을 위한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학 교육도 순수 학문에서 실용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진출을 고려한 지리학 분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학 관련학과의 취업 특성을 분석하고, GIS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지리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지리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사회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역 사회 수요 분석, 둘째, 신기술 반영을 통한 교과 내용의 지속적 갱신, 셋째, 캡스톤 디자인, 현장 실습 등의 산학 연계를 통한 실무형 교육 강화, 넷째, 교육 과정의 다변화를 통한 융복합 교육 강화, 다섯째, 지리학 교육의 실용적인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환, 2009, 공학인증에 대비한 학부 GIS 교육 과정 분석, 한국GIS학회 17(1), pp.145-157.
  2. 교육부 교육통계서비스, 2014.
  3. 교육부, 2014,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 보도자료.
  4. 교육부, 2015, 교육부 업무계획.
  5. 김연준.김화종.이구연, 2014, 국립대학 공과계열의 학과별 입시경쟁률과 취업률의 연관 분석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343-344.
  6. 김영심, 2000, 도서관 명칭변경에 대한 일고찰,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태훈, 2014, 창조경제 패러다임에서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의 개선방향: 대구.경북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45-68.
  8. 김형묵, 2014, 교육부의 대학평가와 체육계열학과의 취업교육 방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3), pp.67-83.
  9. 노영희 등, 2013,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pp.143-167.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143
  10. 대학교육연구소, 2012, 학과변화 분석 보도자료.
  11. 목진휴 외, 2009,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신진화, 2012, 한국 고교생의 대학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23(3), pp.15-37.
  13. 안영진, 2010,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독일 대학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2010 pp.529-546.
  14. 오경희.이지영, 2013. 학부과정 교육학과의 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별화 전략. 수산해양교육연구 25(4), 801-818.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4.801
  15. 이전, 2013, 한국.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2), 288-302.
  16. 임동진, 2006, 외국 대학의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교육, 전기의 세계 55(9), pp.58-61.
  17. 정성훈 등, 201, 산학연관 협력네트워크를 활용한 강원도의 POSCO 유치 전략,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710-726.
  18. 조황희 외, 2002, 과학기술분야 졸업생의 취업 및 산업별 전공-직종 구조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 최경희, 2012, 정부의 산,학,연 네트워크 형성 정책과 기업의 네트워킹 활동-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3), pp.404-423.
  20. 최진무.박선엽, 2012, 대학의 GIS 교육 과정 비교 분석-한국과 미국의 지리학 전공학과, 대한지리학회지 47(6), pp.921-933.
  21. 최화순 등, 2008, 대학졸업생 취업률 향상 방안 연구, 포스텍 산학협력연구소,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중점연구소 연구총서.
  22. 하형주 등, 2013, 교육환경과 주택가격 간 관계와 사회공간적 격차에 대한 함의-서울시의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86-98.
  23. 한국고용정보원, 2012,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2011.
  2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014.
  26.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 2014, http://swiss.kedi.re.kr.
  2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
  28. 형기주, 2005, 숫자로 본 대한지리학회 60년, 대한지리학회지 40(6) 748-761.
  29. 황규희.유한구, 2012, 전공특성을 고려한 대학취업률지표 개선방향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2006, The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Body of Knowledge (GIS&T BoK), GIS&T BoK 2, http://gistbok.org/.
  31. GIS&T oKOnto (GIS&T BoK into a core ontology for the field)WIKI, http://gistbok.org/bokwiki/.
  32. Keith T. Weber, 2011, Assessment of Idaho State University's Geospatial Course Curriculum Relative to the UCGIS Body of Knowledge, http://giscenter.isu.edu/GsCC/pdf/BoK@ISU.pdf.
  33. ISO/TC211 Geographic information/Geomatics, 2003, TR19122 Geographic information-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
  34. John P. Wilson, 2014,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Body of Knowledge 2.0 Project final report, 2014 University Consortium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Symposium, Pasadena, California.
  35. Kemp, Karen. K.(ed), 2008, Encyclopedia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Sage.
  36. Multidisciplinary consortium of U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terested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http://ucgis.orgucgis.org.
  37. NCGIA, 1990, Core Curriculum in GIS, http://www.geog.ubc.ca/courses/klink/gis.notes/ncgia/toc.html.
  38. UCGIS, 2003, Task Force on the Development of Model Undergraduate Curricula, The Strawman Report..
  39. UCGIS, 2006,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ody of Knowledge University Consortium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UCGIS) http://ucgi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