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디자인 이미지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4초

광복로 로드숍 파사드디자인의 색채분석을 통한 지역색 연구 (A Study on Area Color of Gwangbok-ro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ors of the Facade Designs of Stores Along the Road)

  • 여미;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47-255
    • /
    • 2013
  • In this study, the colors and characteristics of Gwangbok-ro of Busan were analyzed in the standpoint of local imag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facade designs of stores along the road of Gwangbok-ro, Busan a main street with massive population flow. To that end, the facades of stores, correlation with the city, color and locality were examined, and after the status of facade designs in Gwangbok-ro were identified through case survey by it, color images were analyzed. For color analysis, Munsell color system was used as basic too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lors in Gwangbok-ro area, the following status could be analyzed on 3 attributes of hue, brightness and chroma: First, analysis results of hue indicated that dominant color that covers 70% or more of the area represented mid brightness and low chroma in GY(36.1%) series, subsidiary color which covers 25% or more of the area mid brightness and low chroma in YR(26.5%) series, and accent color that covers less than 5% of the area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of GY(40%) series. Second, in brightness analysis, dominant color mostly represented mid brightness, subsidiary color mid brightness and accent color high brightness respectively. In particular accent color showed more intensive crowding phenomenon in high brightness. Third, as for chroma, dominant color, subsidiary color and accent color all are gathered in low chroma, however in small number of accent colors, peculiar high chroma appeared notable. In conclusion, the colors of Gwangbok-ro area analyzed based on the facade design of the stores along the road in this study were superficial colors that reflect the life of people in the area, artificial colors by improvement of the local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image of Gwangbok-ro was found through building colors in one part of the city Busan. It is judg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come useful as reference document in planning out environment colors later on.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한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romatic Case for Car Based on Human Sensibility Analysis)

  • 윤형건;정미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205-212
    • /
    • 2002
  • 현대 소비자들은 물질적 풍요와 함께 자신의 취향과 기호에 맞는 소비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기능, 품질, 가격만으로는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 시켜 줄 수 없으므로 소비자의 필요욕구(Needs), 또는 내재욕구(Seed)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개발 기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의 하나의 대안으로 감성공학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선정된 제품은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로 경제가 풍요로워짐에 따라 여유로운 생활을 하게 되면서 생겨난 신 자동차 문화 속에 자신의 내부를 '안락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 기능으로서 실용품이자 액세서리로 등장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 제품에 대하여 감성공학 방법에 의해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감성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향 제시를 가능케 하였다.

  • PDF

공공보건시설 환경색채이미지 어휘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Vocabulary for Public Healthcare Facility)

  • 박혜경;오지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171-180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건강,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의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보건시설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색채환경 구축을 위한 색채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여 공공보건색채 계획 및 지표개발의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였고, 공공보건시설을 유형별로 의료시설(종합병원), 보건시설(보건소), 준치유시설(요양시설)로 구분하였다. 총 18곳의 공공보건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측색기로 환경색채를 측색하여 환경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 및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색채이미지 특성 및 향후 보완할 점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이미지 어휘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편안하고 밝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를 직접 측색한 결과, 대부분 Y계열의 고명도, 저채도 색상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이미지 어휘를 분석한 결과, '내츄럴한' 이미지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그 외 '은은한', '점잖은' 등의 이미지가 나타나고 있는데, 공공보건시설의 색채이미지어휘간의 특성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는 색채과학과 환경디자인 분야의 융합연구로서, 디자인과 관련된 다학제적 연구 범위를 넓혔으며, 사용자 감성 중심의 환경계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공간의 깊이감 지각과정에 나타난 시각정보획득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Visual Attention during Spatial Depth Perception)

  • 김종하;조지영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디자인 과정과 실제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 공간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동일한 공간이라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깊이감에 대한 지각이 달라질 수 있다. 공간의 3차원적인 속성인 넓이, 깊이, 높이 중 넓이와 높이감에 대한 이론과 연구들에 비해 깊이감에 대한 이론이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는 넓이나 높이에 비해 공간의 깊이감이 초래하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원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Computer Graphic으로 제작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깊이감에 대한 지각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44명의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여 마주보이는 벽면에 깊이감을 자극하는 구성요소를 달리한 3개의 이미지를 보며 가장 깊어보이는 공간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이미지간에 주시시간의 차이가 나타났고, 가장 깊어 보이는 공간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도 주의집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깊이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기존 정설에 대한 정량적인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공간의 깊이감을 얻을 수 있는 디자인 방법 개발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공동주택 실내공간 아트월의 구성특성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Art-walls in Apartment Houses)

  • 박영순;김은정;김성아;임준빈;임선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44-154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rt-walls which is a focal point in contemporary interiors of the apartment houses. The factors for the analysis were types of apartments, positions, widths, compositions of elevation, and materials of art-walls. 89 art-wall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ranging from $76m^2$ to $187m^2$. The result shows that wood was mostly applied to art-walls in small types of apartmen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and the composition of elevation was asymmetric. If the width of art-walls became smaller, the elevation was dominantly designed with symmetrical grid using tiles. Tiles turned out to be the general material for the single-applied material. However, if more than two materials were applied to art-walls, wood was chosen as the main material. Regardless of the types of apartment, big-sized art-walls were usually designed in the living room, and two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walls. It reveals that art-walls of apartment houses have been planned and designed with focuses on the living room in the housing space. To make a modular panel for the art-walls, 400mm and 800mm sizes were both suggested, 400mm for the smaller composition, and 800mm for the larger composition of the art-walls. A Wall image is becoming more essential to the living space these days, because it can be both decorative and also supportive to residents' various individual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es on art-walls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also various designs of art-walls based on the modular system ar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수량화 1 류 분석을 이용한 실내색채의 이미지 유형별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y Image Type in Interior Color using HAYASI 1 Program)

  • 이진숙;서정원;조원덕;이선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7호
    • /
    • pp.31-3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by image type in interior color. This experiment is carried out by the evaluation method of color simulation with the color image processor. And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al evaluation is analyzed quantitatively by HAYASI 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 1) In casual and clear images, the most main colors are GY, PB, Y , and N, Casual image has high chroma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hue-contrast or contrast -harmony with white. Also the main colors of clear image are in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with the hues of floor. 2) In romantic, elegant, pretty, and gorgeous images, the most main colors are GY, RP, R , YR and Y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The romantic image of pastel tone is wholly lighter than the pretty image of bright tone. And elegant image is lower in chroma than romantic images, so generally dark. Also gorgeous image is the vivid tone with high chroma. 3) In chic and modern images, the main colors are the hues of B, PB, high value and low chroma with bright tone. Also, the main colors are in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with the hues of floor : BG , B, PB and P. 4) In natural and semiclassic images, the main color is the warm color of Y, YR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Also Semiclassic images is the dull tone with middle value and middle chroma and darker tone than natural image. 5) In dynamic image, the main color is the hue of N, Y, PB and GY and most of color is high chroma.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value-contrast.

  • PDF

현대 상업건축의 브랜드 이미지와 건축적 마케팅에 관한 연구 - 플래그쉽 스토어의 외피디자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Imag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e Brand Marketing - Focus on the skin design of flagship stores -)

  • 이진영;김성욱;전유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18
    • /
    • 2013
  • The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demands companies to emphasize more on the brand marketing that can deliver the brand identitie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competing companies. In today's environment, the meaning of consumption is not only a simple purchase of a product, but also assimilation into images, experience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brand. The flagship stores of brands take the advantage of the tendency seriously and utilize the envelopes of the building as marketing catalysts to establish their brand identiti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architectural envelope as a marketing element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ies, by analyzing the design techniques that enhance the visual effects utilizing innovative application of material, pattern and connection details. it is studied that the function of architectural envelope's change from past to recent date and role of architectural envelope as means of marketing for expression brand image in contemporary commerce space and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on architectural envelope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marketing and brand identity. Also this paper will research about experience elements because the process for consumers to recognize brand image with architecture is the process of visual experience. And through example research, this paper will study interrelationship between visual system of cognition to be expressed on architectural envelope.

우리나라 화훼브랜드 실태 및 몇 가지 제안 (Flower Brand Status and the Some Suggestions of Korea)

  • 김준기;김유선;유병열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336-341
    • /
    • 2009
  • 최근 우리나라의 화훼산업은 농가, 재배면적, 소득의 계속적인 감소로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어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화훼산업의 브랜드 실태조사 및 몇 가지 전망을 하였다. 일본의 화훼브랜드는 체인스토어나 프랜차이즈 형식으로 체계적인 화훼브랜드가 정착되어있으나 우리나라는 화훼브랜드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이미지와 스타일을 아직 가지지 못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10 cm 실내 분화식물, 어버이날 카네이션 상품 및 근조 및 축하용 화환의 성공적인 브랜드가 탄생하여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면 그 효과가 파급되어 브랜드 비즈니스가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필립 스탁의 디자인작 '레몬즙 짜개(Lemon Juice Squeezer)'에 대한 시각형상 구조 분석과 기술 (Analysis and description of the Visual Image Structure of Lemon Juice Squeezer, designed for Italy ALESSI company by Philippe Starck)

  • 조성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405-414
    • /
    • 2003
  • 제품에 대한 이미지 표현은 그것의 시각형상(visual image) 구조가 파악되어야 보다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시각 표현이라는 주관적 문제도 분석을 하지 않고서는 답변될 수 없고, 다루고자 하는 제품의 시각형상 전모가 밝혀져야 그 속에 담긴 디자이너의 사상적 배경도 추론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주방용품 중에서 필립 스탁(Philippe Starck)이 디자인한 '레몬즙 짜개(Lemon Juice Squeezer)'를 대상으로 시각적 표현이 가지는 구조를 분석한 후, 그 제품의 특정 이미지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기술한 것이다. 제품에 담긴 표현이 분석된다는 것은 제품의 구성성분을 밝혀 디자이너와 사용자간에 상호 이해의 폭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햄비치(Hambidge, J) 교수의 'The Elements of Dynamic Symmetry'를 응용한 수리적 모델을 도입하여 레몬즙 짜개 이미지의 부분 내지 전체를 포괄하는 계열체(Paradigm) 분석을 시도하고, 제품공간 내에서 설정되는 범위를 정의해 주는 결합체(Syntagma) 분석을 행한 후, 이를 표기하는 기술은 김복영 교수 의 시각 기호 기술법을 따랐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공간과 소품과의 관계, 제품과 사용자와의 관계, 오브제 자체의 조형 비평 내지는 분석이 감성적으로 흐를 수 있는 소지를 경계하는 차원에서, 그 대안으로 제품에 대한 시각형상의 구조와 성분분석을 수리적 모델을 통해 밝히고, 형식과 내용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분석예술학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주시빈도를 적용한 패션숍 파사드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the Fashion Shops' Images Applying Gaze Frequency)

  • 여미;오선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212-219
    • /
    • 2013
  • This study uses a fashion shop facade design to track human gaze, find gaze frequency for gaze time for the gaze points along the path of sight, and expose the importance of facade design and figure out the value through theoretical systematization. Thus, this study employed the measurement method in physiological psychology which is sight-tracking device with eye-tracking to perform effective data evaluation. To find gaze frequency and study the contents to reflect on the facade, precedent study review, and case study of facade design to collect stimulants to be used in eye-tracking experiment were executed. And the eye-tracking experiment which traces the movement of eye[pupil] was performed. As the result of analyzing gaze frequenc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gaze path formation made the characteristics for gaze frequency even clearer. What was characteristic in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verage value for gaze time' was that only 8 out of 2000 areas showed over 1 second of frequency and, and all other shoed less than 1 second of gaze time. This indicates that human sight endlessly jumps around, and that it 'Stay' where it has interest. This study found the average of the frequency of this 'Stay' in facade design. This study well presents the major points to add value to the design of the space of facade based on scientific measurement/analysis data obtained through visual understanding. Through such, this study is thought to be able to have a positive interaction with marketing by forming a theoretical background bringing utility to purchase environment and assisting in sales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