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 인식

Search Result 1,59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Wearable devices for the visually and aurally handicapped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생활 보조를 위한 착용형 단말기 개발)

  • Kim, Rae-Hyeon;Ha, Seong-Do;Park, Jin-Yeong;Jo, Hyeon-Cheol;Park, Se-Hy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85-590
    • /
    • 2007
  • 최근 IT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의 보조 도구에 활용되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착용형 단말기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tWand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부착하거나 손에 휴대할 수 있는 장치로, 시작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및 색상과 명암 정보 인식 보조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SmarWand는 시각장애인이 보행 시 이용하는 기존의 지팡이로는 감지할 수 없는 전방의 장애물을 초음파 센서를 통해 탐지하여 촉각이나 음성으로 경고해주고, 물체의 색깔이나 주변의 밝기 정도를 측정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청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Watch는 손목에 착용하는 장치로서 아기 울음소리, 노크나 초인종 소리, 물 끓는 소리, 화재 경보 등 가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적인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SmartWatch는 입력 모듈의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문선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 후에 소리의 종류를 인식하고 적절한 제어신호를 다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아 감지된 소리의 종류를 해당하는 진동과 시각정보로 표시해준다. 이런 착용형 단말기들을 통해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일상 생활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증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The Edge Detector Using Wavelet Transform developed for Heavy Noised Images. (심한 잡음성 영상의 경계선 검출을 위한 웨이블릿 변환 이용 검출기 개발)

  • 이혜성;변혜란;유지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464-466
    • /
    • 1998
  • 경계선 검출은 시각 인식 또는 기계 시각 인식의 과정에서 제일 먼저 수행되는 전처리 단계이다. 경계선 검출은 컴퓨터 시각 인식성능에 매우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MPEG-4에서 Model Based Coding 기법이 채택되면서, 경계선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시각 인식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한편, 잡음이 있는 영상의 경계선 검출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었는데, 특히 잡음의 종류가 Additive White Gaussian인 경우에는 Canny Edge Detector가, Impulse인 경우에는 Dual Stack Filter를 적용한 방법이 각각 높은 성능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그러나 Canny Edge Detector의 경우, Canny는 이론적인 Optimal Filter를 구하는 데에 성공하였지만 실제 적용에는, 이 Optimal Filter의 근사로써 Gauss함수의 1계 도함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auss함수보다는 상당히 Optimal Filter와 가까운 Filter를 얻기 위하여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Liao등의 방법과, 각기 다른 Scale에서의 웨이블릿 변환들이 가지는 잡음과의 관계를 고려한 새로운 경계선 검출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의 방법은 기존에 사용되던 Canny Edge Detector나 Stochastic Operator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Currency Recognition System for Blind People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폐 인식 시스템)

  • Dong-Jun Yoo;Sung-Jun Kim;Jun-Yeong Lee;Hyeon-Su Kang;Jun-Ho Son;Se-Jin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57-258
    • /
    • 2024
  • 현재 시각장애인들이 현금을 사용하게 될 시 지폐가 얼마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 불편을 겪거나 금전적 사기를 당할 위험이 잦다. 한국은행에서는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점자 지폐를 만들어 발부하고 있지만 시각장애인 91%가 식별하지 못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화폐를 인식하고 TTS 기술을 사용하여 지폐의 값이 얼마인지 소리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폐 인식을 위해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여 YOLOv5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학습시킨 Weights 파일을 사용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들은 더 안전하게 현금을 사용하고, 금전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Gesture Recognition for Natural Human-Robot Interaction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위한 제스처 인식 기술)

  • Kim, K.K.;Kim, H.J.;Cho, S.H.;Lee,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2 s.92
    • /
    • pp.14-20
    • /
    • 2005
  • 인간과 로봇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하여 시각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의도 및 행위 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제스처 인식은 시각을 기반으로 한 인식 분야에서 핵심 기술 분야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로봇이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해 주거나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고에서는 기존에 제어된 제스처 인식 기술과 최근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을 위한 제스처인식 기술에 대하여 알아본다.

Voice Recognition Home Remote Control Syste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using a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인식 홈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 Lee, Se-Hoon;Choi, Se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39-340
    • /
    • 2015
  • 시각장애인은 주변 인지 장애로 정보 습득이 어렵고, 공간 정보 습득에 있어서 제약이 있는 신체조건으로 이동에 불편을 겪는다. 또한 특정 상황에서 적절한 분위기를 인지하고 그에 맞는 대응을 하기가 어렵다. IoT 시대에 맞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어지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시각장애인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불편을 호소하는 게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각장애인을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해 음성으로 집안의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구글 음성인식 홈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Information Processing by Retinal Cells for Artificial Retina (인공망막 구현을 위한 망막세포의 특성에 의한 정보처리)

  • Je, Sung-Kwan;Kim, Kwang-Baek;Cho,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811-815
    • /
    • 2005
  • 최근 선진 각국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 망막 모델구현을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인공 망막의 여러 기법중 시각피질자극에 의한 방법은 망막손상과 시신경 손상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시피질을 자극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각자극전달의 중간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뇌세포를 자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각피질자극방법에 기반하여 인간시각처리와 유사하게 영상의 압축방법을 부과함으로써 세포의 특성을 고려한 모델을 나타낸다. 실험 데이터로는 자동차 번호판 숫자들이며, 인식기는 SOM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인식모델과 일반적 인식모델과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omparison of Musical and Visual Cues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 Yoon, Yea-U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9 no.1
    • /
    • pp.1-2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accuratel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n = 9) recognized four basic emotions (i.e.,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following musical or visual cues. Their performance was compared to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n = 14).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between the ages of 7 and 13 years. Four musical cues and four visual cues for each emotion were presente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the four basic emo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etween the musical and visual cues. In particular, the AS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ess accurate recognition of the four emotions compared to the TD group. However, the emotion recognition of both groups was more accurate following the musical cues compared to the visual cues. Finally, for both groups, their greatest recognition accuracy was for happiness following the musical cues. In terms of the visual cues, the ASD group exhibited the greatest recognition accuracy for anger. This initial study support that musical cues can facilitate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S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involved in emotion recognition and the role of sensory cues play in emotion recognition for children with ASD.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and Actual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중등 전자기 수업에서 사용하는 시각적 표상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활용 실태)

  • Yoon, Hye-Gyoung;Jo, Kwanghee;Jho, Hunkoo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2
    • /
    • pp.253-262
    • /
    • 2017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and finding out how science teachers use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ir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dealing with those representations. A total of 121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the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ers agreed to the significance of using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classroom but regarded their role as means of simply delivering science knowledge rather than constructing or generating knowledge. For the three visual representations widely used in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in secondary schools (electrostatic induction on electroscope, magnetic field around current carrying wire, structure and principle of electric motor), the teachers preferred teacher-centered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rather than student-centered and teacher's construction of represen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 among four types of use; interpretation, construc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with these three visual representations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factors; teachers,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s, and lack of resources and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s' limited perceptions about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 ways of using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ir teaching.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for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were discussed.

Performance Evaluation of FPN-Attention Layered Model for Improving Visual Explainability of Object Recognition (객체 인식 설명성 향상을 위한 FPN-Attention Layered 모델의 성능 평가)

  • Youn, Seok Jun;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11-1314
    • /
    • 2022
  • DNN을 사용하여 객체 인식 과정에서 객체를 잘 분류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설명성이 요구된다. 시각적 설명성은 object class에 대한 예측을 pixel-wise attribution으로 표현해 예측 근거를 해석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Scale-invariant한 특징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pyramidal features 기반 backbone 구조는 object detection 및 classification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feature pyramid를 trainable attention mechanism에 적용하고자 할 때 계산량 및 메모리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FPN에서 객체 인식 성능과 설명성을 높이기 위한 피라미드-주의집중 계층네트워크 (FPN-Attention Layered Network) 방식을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그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FPN만을 사용하였을 때 객체 인식 과정에서 설명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객체 인식에 미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적용을 통해 낮은 computing 오버헤드 수준에서 multi-level feature를 고려한 시각적 설명성을 개선시켜, 결괴적으로 객체 인식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ip Detection using Color Distribu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 for Visual Feature Extraction of Bimodal Speech Recognition System (바이모달 음성인식기의 시각 특징 추출을 위한 색상 분석자 SVM을 이용한 입술 위치 검출)

  • 정지년;양현승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4
    • /
    • pp.403-410
    • /
    • 2004
  • Bimodal speech recognition systems have been proposed for enhancing recognition rate of ASR under noisy environments. Visual feature extraction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these systems. To extract visual features, it is necessary to detect exact lip position. This paper proposed the method that detects a lip position using color similarity model and SVM. Face/Lip color distribution is teamed and the initial lip position is found by using that. The exact lip position is detected by scanning neighbor area with SVM. By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is method detects lip position exactly and f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