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성향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19초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eaching Mathematics U nderachievers Using the Textbooks of the Previous Grades)

  • 최정현;김상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81-95
    • /
    • 2011
  • 수학적 힘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21세기에 적합한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균등한 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학습 부진아들에게는 이러한 수학 교육이 더욱 절실하다. 본 연구는 각 단계의 최적의 학습 자료라 할 수 있는 교과서를 활용하여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분석하고, 점검하는 활동이 학생의 수학 학습 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 방법이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게 하고 수학적 연결성을 강화시켜 주며, 핵심적인 내용을 스스로 파악하는 습관을 가지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lastic Motivation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

  •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67-184
    • /
    • 2011
  • D대학교 공과대학에서는 2010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충수업 형식의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기초학력평가 성적과 대학수학 성적을 보충수업 비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 중에서도 보충수업에 출석한 횟수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적 성향검사,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 그리고 정규수업과 보충수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은 대체로 수학기초학력이 부족하였고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수학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고 수학적 성향검사와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배경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대학수학 교수 학습은 수학기초학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학습자와 함께 하는 수학게임 및 퍼즐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hematical Game and Puzzles With Learners)

  • 김상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67-58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학게임과 관련한 장 단점, 수학게임 적용 시 유의사항 등을 살펴보고, 몇 가지 수학게임의 적용 실제 또는 수학적 사고 능력 함양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의 발달과 수학적 성향을 개선시키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동료 송환을 활용한 나 자신의 평가 활동이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to the myself evaluation using the peer-evaluation feedback in in-group team teaching)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1호
    • /
    • pp.1-14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and Disposition to the myself evaluation using the peer-evaluation feedback in in-group team teaching.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experimental class and then analyse the students' change in those aspects after applying peer-evaluation feedback made some significant changes on the students attitude in mathematics and Disposition. First,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on regarding the enhancement of mathematical attitude are effective. Second, the results on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Disposition are effective.

학교수학과 어린이의 수학 지식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1학년 덧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Addition in the 1st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연;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3-102
    • /
    • 2004
  • 본 논문은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있는 덧셈의 내용을 살펴보고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덧셈의 학습 이전에 실제로 어린이들이 덧셈에서 사용하며 선호하는 전략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수학 교수 학습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행의 교육과정은 학습 초기부터 표준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지도 하도록 되어 있고, 교사들은 이러한 지식을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무관하게 표준 알고리즘을 학생들에게 암암리에 강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어떤 수 세기와 수 개념 단계에 이르렀는지 파악하고 그들의 수개념과 표준 알고리즘간의 효과적인 결합을 위해서 학생들의 풀이 전략을 좀 더 심층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비형식적인 지식을 형식적인 수학에 유연하게 접목하는 시도를 끊임없이 해야할 것이다.

  • PDF

수학적 의사소통 기반의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Focused on Establis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Based Classroom Culture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 오미희;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수학교실문화 형성을 위한 규범 협의 및 수학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2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고 경청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학교실문화 형성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 교과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실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이 연계된 수학교실문화의 형성을 제안하였다.

  • PDF

핀란드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Finland)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25-23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핀란드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핀란드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년군별로 편성되어 있고, 학년군의 목표와 내용 영역별 목표, 학년군 말에 실시되는 평가의 성취기준 등이 제시되어 있어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형식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이 있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수학적 성향이나 수학적 과정을 성취기준에 포함시키는 등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평가 등이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핀란드의 학년군제 운영의 실제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정의적.정서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eatures of mathematically gifted, scientifically gifted and common students in cognitive, affective and emotional aspects)

  • 김선희;김기연;이종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113-124
    • /
    • 2005
  • In this study, we have analysed and compar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in cognitive, affective, and emotional aspects.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re proved to have better continuous/simultaneous information processing, more positive mathematical disposition, more preference to difficult tasks, and higher EQ than the common students do. On another hand, no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mathematically gif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however, the mathematically gifted have more self-confidence, more curiosity for mathematics, stronger will, and more disposition to monitor and reflect, and more efficient self-control than the scientifically gifted do. In short, the mathematically gifted are superior to common students in mostly all aspects, and better than the scientifically gifted in the affective part.

  • PDF

사회적 연결을 고려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Considering Social Connections)

  • 김정원;김유경;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3호
    • /
    • pp.157-174
    • /
    • 2021
  •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의 3학년 수학 수업에서 해당 교실의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및 관계를 바탕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학기 초반에는 전반적인 사회적 규범의 형성과 함께 생산적인 수학 학습을 위한 여러 가지 기본적인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학기 중반에는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둔 탐구가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르는 것을 정확하게 질문하고 무엇을 명확히 설명해야 하는지 인식하였다. 학기 후반에는 수학적 탐구와 더불어 학생들의 개별 성향을 더욱 고려하고 수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지적 용기, 정직, 배려, 협력 등의 학문적 인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수학적 연결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결을 충분히 고려하여 보다 의미 있는 수학 수업을 구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xtbook Problems Focusing on 'Contextualization')

  • 김민경;박은정;허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5
    • /
    • 2012
  • 본 연구는 Freudental의 수학관에 근거한 RME가 표방하는 현실 속 풍부한 맥락적 상황들로 이루어진 관점으로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 및 미국(3종) 교과서에서 제시된 문제의 맥락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맥락성의 요소를 일상성, 다양성, 수학적 잠재성으로 도출하여 맥락문제를 분류하여 분류된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과서는 미국 교과서에 비해, 맥락문제가 차지하는 비율 뿐 아니라, 과정별 맥락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요소별 성향을 잘 나타내고 있는 문항을 분석, 기술함으로써 추후 교과서 개발 뿐 아니라, 문항 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