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지향적 가치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Public Characters : focused on Site-Specificity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을 중심으로 한 공공캐릭터에 관한 연구)

  • Ryu, Yu-he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7
    • /
    • pp.335-356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character industry, the interest in public characters has also been increased as like the characters of industrial contents. The public character is a non-commercial character implicitly expressing the symbolism shared or directed by members of the specific region, organization, organization, organization, or event. It has been distinguished from commercial design, aiming the profit for a specific person or group, and it has been given the role coincided with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pursuing social value such as citizens' happiness, happiness in the subject and object, aiming value and role of design. Public characters has been grown around the local government character development, but most of the characters were not practically utilized. However, as interest in public characters has been increased, those have been received worm welcome again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the region.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identity of public character by substituting the site-specificity. The site-specificity is referring the art of the time that focuses on the region in contemporary art, a work in which the meaning is created by a specific region and situation. Currently, as a main role of public character is representing the region or the institution, its identity and value can be judged by the community it belong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study the social meaning of the character in the region as a public desig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Innovation in a Knowledge-based Design Service Industry Using DEA-Tier -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 (DEA-Tier를 이용한 국내 지식기반 건축서비스업의 혁신 성과 개선에 관한 연구 - 건축설계사무소를 중심으로 -)

  • Kim, Ji-Sun;Lee, Hoon-Ku;Lee, Yoon-Sun;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2
    • /
    • pp.160-170
    • /
    • 2013
  •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creates added value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ing, and use of knowledge. Comparing to other service industries, it is innovation-oriented business endeavors having the characteristics that exert the great influences on other fields. Meanwhile, however, research efforts thereof are yet insignifica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architectural design office which creates knowledge services, having raised the necessity of innovation of the design office. The innovation performan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efficiency of the architectural design office making use of DEA-Tier analysis, and, for those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we presented the case studies of the firms that were substantial benchmarking targets from short, medium, and long-term perspectives.

The Theory on 'antisocial' of Social Economy (사회적 경제의 '반사회적(antisocial)'인 것에 대한 시론)

  • Hong, Sung-W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2
    • /
    • pp.41-50
    • /
    • 2018
  • In our society, recently,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stands out as an alternative to the mainstream economy in the market.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the social economy has the nature of practical field of civil society, the government has a willingness to actively support the social economy as a means of getting visible result of job creation. The social economy in Korea is being fostered by the government and understood within the framework of a very limited policy goal of providing jobs for the vulnerable. The problem is that the social value and community implications of the social economy are disappearing while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higher policy status and become more and more dependent on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discourse on the social economy should be reconstructed while holding the problem of this situation.

Transforming Traditional Ganggangsulae into Popular Modern Plays (전통 강강술래의 현대화를 통한 대중화 방안)

  • Yoon, Sook;Kim, Jai-Hyun;Lee, Sang-Il;Jung, Seok-Won;Lee, Sang-Don;Choi, Jong-Myung;Cho, Hyun-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4
    • /
    • pp.165-174
    • /
    • 2010
  • Ganggangsulae, a traditional Korean circle-dance play, is valuable as the material for learning the traditional culture. Most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Ganggangsulae as the traditional play. However, school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Ganggangsulae to students since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it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and proper instruction methods. In order to develop these methods, it is required to enforce researches in reinventing traditional Ganggangsulae into modern and popular life sports based on various scientific analys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instruction methods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in teaching Ganggangsulae in the elementary schools. Also the effect of exercise is also analyzed for each play of Ganggangsulae.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esent a model of player-centric Ganggangsulae system which can be reorganized its plays for a specific purpose. The proposed model characterizes Ganggangsulae in terms of the evolutionary variety and modular structure.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ospitality Industry Employee's Job Resources, Burnout, Depersonaliz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환대산업 종사원의 직무자원이 감정고갈, 비인격화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중심으로-)

  • Hong, Sung-Nam;Choi, Byong-Ho;Kim, Min 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1863-187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symptoms of burnout, and depersonalization and its impact on the customer orientation. Using data from hotel frontline employees of Seoul in Korea, it seek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symptoms and depersonalization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resources and customer orientation.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SEM) by of AMOS program. The research advance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resource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s a situational personality trait and the FLE customer orientation in five deluxe star hotel environment. The findings highlight the value of burnout and depersonalization, and suggest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dentification,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hotel employees.

Creative Economy and Region: Three Sources of Creative City (창조경제와 지역: 창조도시의 세가지 원천)

  • Muhn, Mis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4
    • /
    • pp.646-659
    • /
    • 2014
  • Political and academic concerns on creative economy have been increased, despite of the debates on its concepts and socioeconomic implications.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study about the mechanisms and the sources in which creative economy works. Due to ICT revolution and expansion of individual's networking competency, collective knowledge created by networking and city/region in which the collective knowledge has been embedded became the parts and parcels of creative economy. Three sources of creative city is as follows: regional peculiarity and locality from industrial clustering, intensity of urban networks(openness), and value orientations in regional problem solving.

  • PDF

Restructuring the Family Policy from the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 Yoon, Hong-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4
    • /
    • pp.291-319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restructuring of the family policy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examining family policy from the laborer's perspective, the issue of work and family becomes not a gender-related issue but rather an issue for universal people. Second, in order to include the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and to view the issue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the framework for family policy should consider the place of labor. Third, if family policy is divided into family and labor arena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framework, the core content of the policy should gear toward loosening and/or eliminating barriers to fulfill the right to work for pay and the right to care for family. Lastly, family policy should aim at men and women sharing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and caring for the family. By doing so, we may be closer to maintaining work and family together, the ultimate goal of family policy.

  • PDF

Creative Evolution of Digital Leisure Culture, Serious Games (디지털 레저 문화의 창의적 진화, 시리어스 게임)

  • Lee, Hye Rim;Jeong, Eui 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48-61
    • /
    • 2013
  • At the dawn of a new digital era, people's way of spending their leisure time and leisure activity preferences changed. Accordingly, Leisure culture is in the midst of change, such as watching movie and performance, enjoy golf etc. Due to its nature as an interactive medium, the digital game offers uniquely different approaches to the leisure activity. Leisure as state of mind is much more subjective in that it considers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an activity. In that regard, we used the digital games for leisure activity. Digital games are powerful environments for fun, including functional nature. For that reason digital leisure culture keep creative evolving. This paper proposes a serious games as a branch of digital games that meaningful digital leisure,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ious games for a serious purpose other than pure entertainment. Many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the benefits of using serious games in a variety of purposes. Games technology is fun and entertaining for people of all ages. Ultimately, serious games become meaningful and valuable performance tools as the Digital Leisure Culture.

조미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68-91
    • /
    • 2004
  • 조미료란 식품을 조리, 가공, 섭취할 때 맛을 증진시키거나 강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발효, 종합 및 천연계 조미료의 국내외 시장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조미료의 향후 발전방향과 중점 연구 분야, 관련업계의 연구개발 동향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조미료 분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육성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원, 아이미 등으로 대표되는 발효조미료의 내수시장은 성숙기를 거쳐 소폭 감소세를 보이는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MSG에 대한 기피현상이 주 원인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품질 차별화 없이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종합조미료 시장은 1975년 국내에 처음으로 CJ에서 다시다 제품을 출시한 후 대상에서 1982년 맛나, 1988년 감치미를 출시하면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현재 시장규모는 2천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성장세가 완만해지고 있고 가정용은 거의 정체되어 있다. 일본 조미료 시장은 발효조미료, 종합조미료 그리고 다양한 조미식품의 소재로 활용되는 천연조미료로 구분할 수 있다. 발효조미료 시장은 국내와 비슷한 상황으로 전체적인 물량변화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며 생산기지의 해외이전 현상이 뚜렷하다. 종합조미료 시장은 한국과 유사한 풍미조미료 외에도 보다 전문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조미료가 시판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풍미조미료는 정체현상을 보이고 건강지향, 전용화 조미료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조미료 발전 단계는 조금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한국은 종합조미료 시대에서 용도별 조미료 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는 반면, 일본은 이미 메뉴 전용 조미료시대에 접어들었고, 건강, 기능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이들 변화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그로 인한 보다 천연에 가까운 조미소재에 대한 수요, 동시에 맛에 대한 충족까지 요구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필연적 결과로 보인다. 미래의 조미료는 천연계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고, 소비자의 건강, 안전 추구심리에 부흥하여 안전성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소재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와 전용화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미료시장을 주도할 각 현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학계 및 업체의 최근 연구동향과 제품개발 현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기술연구 동향을 보면, 나노 기술에 의한 조미신소재연구, 초미분쇄기술, 미세 캡슐화 기술, 생물공학 기술이 활용된 발효 및 효소분해에 의한 펩타이드계 조미소재 개발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선진업체 연구 및 제품개발 동향은 아지노모트/교와의 ''코쿠미''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일연푸드/동해물산의 천연 엑기스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보조주(주)의 주류 조미료 개발 위주로 살펴보았다. 조미료 시장의 발전 과정과 선진 업체들의 연구, 개발동향을 종합해 보면 첫째는 천연 건강지향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소재 및 기능성 소재 개발이고 둘째는 맛과 편리함의 추구에 대응하는 메뉴 전용화 추세이다. 이를 위한 기술적 연구도 기능성 소재(히스티딘 함유 디펩타이드)개발, 나노기술, 미세캡슐화 기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미료 산업을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R&D 투자확대와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 기업단위에서는 장기적 차원에서 첨단식품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거나, 전문 중소기업, 벤처를 육성하는데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당장의 수익과 회사간 경쟁으로 인해 장기적 투자, 사회적 인프라 육성 등에는 관심을 쏟지 않고 있다. 조미료를 비롯한 식품에 관련된 기술들이 다양한 기초연구와 응용기술, 개발연구 등의 총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상이한 연구 분야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발된 기술의 이전, 확산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간 수평적 네트워크 외에도 국가기관이 참여하는 연구 자원의 효율적 집행 기관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Ga, Hye-Yeong;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43-148
    • /
    • 2019
  •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경력성공의 관점이 변화하고 있지만 다수의 연구들은 창업과 취업을 분리하여 연구되어 왔다. 또한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개인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졌으며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학습의 형태는 기존의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에서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교실 수업의 형태는 팀활동과 미디어 활용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실 밖 수업에서는 자율적인 동아리 활동이나 커뮤니티의 참여 등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의 경력은 인생에 걸친 학습과 일에 관련된 경험 및 행동과 연관된 태도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경력을 이끌어가는 태도는 새로운 환경속에서 즉각적인 요구를 받아들이는 적응학습과 새로운 행동 및 지식을 유발하는 생성학습,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 인식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전환학습을 지속적으로 일으킨다. 또한 이러한 무형식 학습들은 취업과 연계 될 뿐만 아니라 창업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을 척도로 하는 프론티언 경력태도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확인함으로서 기존의 취업역량과 연결시켜왔던 연구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여 변화된 교육형태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더해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하는 능력인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팀 학습을 지향하는 팀학습 선호도를 조절효과로 보아 분석함으로서 스마트미디어활용 학습과 팀학습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 현장의 특성을 함께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교육과 경력 환경의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