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nsforming Traditional Ganggangsulae into Popular Modern Plays

전통 강강술래의 현대화를 통한 대중화 방안

  • 윤숙 (목포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김재현 (서경대학교 산업공학과) ;
  • 이상일 (목포대학교 전자정보공학과) ;
  • 정석원 (목포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이상돈 (목포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최종명 (목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조현경 (전남문화산업진흥원)
  • Received : 2010.03.24
  • Accepted : 2010.04.14
  • Published : 2010.04.28

Abstract

Ganggangsulae, a traditional Korean circle-dance play, is valuable as the material for learning the traditional culture. Most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Ganggangsulae as the traditional play. However, school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Ganggangsulae to students since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it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and proper instruction methods. In order to develop these methods, it is required to enforce researches in reinventing traditional Ganggangsulae into modern and popular life sports based on various scientific analys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instruction methods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in teaching Ganggangsulae in the elementary schools. Also the effect of exercise is also analyzed for each play of Ganggangsulae.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esent a model of player-centric Ganggangsulae system which can be reorganized its plays for a specific purpose. The proposed model characterizes Ganggangsulae in terms of the evolutionary variety and modular structure.

강강술래는 다양한 장단, 반복되는 선율, 놀이를 통한 공동체 의식의 함양으로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은 전통 문화 교육의 소재라 할 수 있다. 전래놀이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인 방식과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지 않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의 경우에도 많은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에 강강술래의 구성을 종전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대중적인 현대적 생활 스포츠로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강강술래의 지도 실태와 아이들의 강강술래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 분석하였고 강강술래를 구성하는 놀이에 대해 놀이를 수행하였을 때의 운동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초 분석을 토대로 특수 목적을 위한 군무로서의 재창조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또한 강강술래에 대중성을 입히기 위한 강강술래가 가지는 진화론적 다양성과 모듈식 구조를 반영한 놀이자 지향 강강술래 구성 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희권, 지역간 문화격차의 명암: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2005.
  2. 이혜영, "교과서 속의 전통문화", 교육학연구, Vol.32, No.5, 1994.
  3. 김혜정, 우리 몸에 새겨진 삶의 노래 강강술래, 민속원, 2004.
  4. 조은숙, "강강술래 놀이요의 지도 단계 및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국악과교육 제20집, pp.315-344, 2002(11).
  5. 이경엽, "단절 위기 공동체놀이의 전승현황과 계승 방향-강강술래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49 집, pp.299-332, 20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