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ublic Characters : focused on Site-Specificity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을 중심으로 한 공공캐릭터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6.0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character industry, the interest in public characters has also been increased as like the characters of industrial contents. The public character is a non-commercial character implicitly expressing the symbolism shared or directed by members of the specific region, organization, organization, organization, or event. It has been distinguished from commercial design, aiming the profit for a specific person or group, and it has been given the role coincided with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pursuing social value such as citizens' happiness, happiness in the subject and object, aiming value and role of design. Public characters has been grown around the local government character development, but most of the characters were not practically utilized. However, as interest in public characters has been increased, those have been received worm welcome again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the region.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identity of public character by substituting the site-specificity. The site-specificity is referring the art of the time that focuses on the region in contemporary art, a work in which the meaning is created by a specific region and situation. Currently, as a main role of public character is representing the region or the institution, its identity and value can be judged by the community it belong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study the social meaning of the character in the region as a public design.

국내 캐릭터산업의 발전과 함께 산업적 콘텐츠로써의 캐릭터와 함께 공공캐릭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공공캐릭터란 특정 지역, 기관, 단체, 조직, 행사 등의 구성원이 공유하거나 지향하는 상징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비영리적 캐릭터이다. 특정의 개인이나 단체의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디자인과 구별되며, 디자인의 주체와 객체, 지향하는 가치, 역할 등에 있어 시민의 안녕과 행복과 같은 사회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공공디자인의 목적과 부합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공공캐릭터는 지자체 캐릭터 개발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나, 대부분의 캐릭터가 활용되지 못했다. 그러나 공공캐릭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캐릭터를 활용하여 지역에 대한 고유성과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시금 환영받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캐릭터가 가지는 지역에 대한 정체성 표현을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에 대입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장소특정성은 동시대미술에서 장소에 초점을 맞춘 미술, 특정 장소 및 상황에 의해 의미가 생성되는 작품을 의미한다. 현재 공공캐릭터는 주로 한 지역 또는 기관을 대표하는 역할을 맡은 바, 어느 공동체 속에 속해있느냐에 따라 정체성과 그에 따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속 캐릭터가 공공디자인으로써 어떠한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시범, 지자체 공공캐릭터활성화 세미나, 한국문화콘텐츠라이선싱협회, 2012.
  2. 박가민, 공공디자인 자원으로서 장소성을 고려한 공공미술영역의 가이드라인: 아와니 원칙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3. 박경윤, "렐프의 장소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 가로경관 장소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10.
  4. 백영주, "현대예술의 연행적 양상과 참여적 환경: 아놀드 벌리언트의 '관여' 개념을 바탕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Vol.11.No.1,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5. 우숙영,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로서의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6. 유성하, 공공미술에 나타난 만화애니메이션 표현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7.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 대한지리학회지 41, no.1 2006.
  8.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32, no. 5, 1997.
  9. 장문정, 박활성, 디자인과 미술, 2007.
  10. 조명래, 공간으로 사회 읽기, 2013.
  11.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 다니엘, 문혜진 역, 테마현대미술노트-1980년 이후 동시대 미술 읽기-무엇을, 왜, 어떻게, 두성북스, 2011.
  12. 차민영, 장소특정성 미술의 대안적 장소 생산에 관한 연구 : 장소성 재생의 담론과 실천을 중심으로, 2016.
  13. 한주영,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논문, 2012.
  14. Kevin Melchionne, "Rethinking Site-Specificity: Some Critical and Philosophical Problems", Art Criticism 12, no. 2, 1997.
  15. KOCCA, 대한민국 캐릭터 변천사 연구, 2016.
  16. KOCCA, 2016캐릭터산업백서, 2017.
  17. Miwon Kwon, "One place after another, " The MIT Press, 2002.
  18. Miwon Kwon, 장소 특정적 미술, 김인규, 우정아, 이영욱 역, 2013.
  19. Relph. 장소와 장소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