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의 지지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8초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발명가 3인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 Factors, Family Backgrounds and Parenting Styles of Korean 3 Inventor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through Narrative Inquiry)

  • 채동현;조대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6-210
    • /
    • 2020
  •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발명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능력은 미래 사회에 필수적인 능력이므로, 이러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발명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하는 3명의 한국 발명가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 방식을 특정하고, 3명의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발명가들은 모두 지적 호기심, 독창성, 생산적 사고능력, 정교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대부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가정에서 태어났고, 자신을 지지해주는 사람이 있었다. 또한 이들은 부모들은 자녀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가졌고, 자녀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녀의 창의성을 가장 먼저 발견하였다.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지지 측정을 위한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Part II의 타당도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PRQ PART II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 FOR ADOLESCENTS)

  • 이은영;탁영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36-243
    • /
    • 1999
  • 방법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메타 분석의 결과 사회적 지지의 연구 결과는 측정된 도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RQ Part II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이론검증연구에서 건강 관련 행위와의 예측 타당도 검증은 이루어 졌으나, 한국에서의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PRQ-Part II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정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다면적인 개념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방법론의 향상을 위해서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청소년을 대상으로 PRQ-Part II 25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15문항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에 해당하는 5가지 항목은 2개의 지도/정보(assistance/guidance), 3개의 정서적지지(intimacy)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요인 1을 '정서/지도/정보 지지'라고 명명하였다. 15문항의 PRQ-Part II한국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로 나타났다. 4가지의 요인 추출로 구성된 15문항의 PRQ-Part II가 부모-자녀 관계, 또는 대처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로 구성 타당도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정신 건강의 완충 및 중재 변인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에 관심을 둔 이론 검정 연구 및 청소년 평가와 진단에서 15문항의 PRQ-Part II가 구성 타당도면에서 적절함을 제시한다.

  • PDF

미국 한인 조기유학생 홈스테이 가디언의 경험 (Experiences of Korean Homestay Guardians of Early Study Abroad Students in the U.S.)

  • 김현주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99-22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한인 조기유학생 홈스테이 가디언들의 경험을 알아보고, 홈스테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홈스테이 가디언 12명을 심층 면접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인 홈스테이 가디언들이 홈스테이 경험을 하게 된 원인으로 '이해관계로 시작함'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하위범주는 '주변에서 권함', '경제적으로 도움 필요함', '갑자기 시작함'으로 나타났다. 홈스테이 가디언의 핵심경험은 '중간자로 조율함' 이었고, 가디언 개인 차원의 '부모 역할 함', '이해타산 함', 가족 차원의 '자녀에게 미안함', '가족의 자유가 제한됨', '자녀와 학생들과의 관계가 생김'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또한, 학생과의 관계에서 '독립을 원하지만 관심에 목마름', '상처받기 쉬움', '자유와 통제가 과제임', '소통 부재시 섭섭함', 부모와의 관계에서 '성적 기대함', '일방적 대화가 됨', '부모학생의 요구 사이에 끼임', 학교차원에서 '학교의 지적 받음'이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중간자로 조율함'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문화적 차이', '학생과 부모의 준비도', '가디언 자녀와 학생의 연령차이', '가족의 지지', '성격이 통함', '가디언의 동기', '부모의 태도' 범주가 도출되었다.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 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Connection with Parents, Social Support, and Isolation on Unmarried Mothers' Child-Rearing Efficacy)

  • 문정숙;김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6호
    • /
    • pp.109-12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connection with parents, social support, and isolation on unmarried mothers' child-rear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unmarried mother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test of the theoretical model was performed with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al matrix in the AMOS 7.0 package for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unmarried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een mothers. Most unmarried mothers had a in low monthly income-, were unemployed, and received economic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s a major source of their income. Their decision to have a child were for the following reason: the desire to have a child, fear of having an abortion, belief that abortion is a crime, and uncertainty about which decision to make, etc. Second,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isol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isolation. Iso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Fourth, social support mediated by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had an indirect effect on isolation and child-rearing efficacy. Isolation mediated the women's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aring efficacy.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o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 한진숙;문영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3-13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behavioral problems between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and others from broken families.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 children from dispersed families who were housed in a social-welfare agency in the city of Daejeon. Out of them, 22 children were grouped into an after-school educated group, and the others were selected as a uneducated group.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statistical data on real number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Besides, $x^2$-test and T-test were employed as well. Resul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intergroup gap between the after-school educated group and uneducated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elf-esteem intergroup ga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ird, the delinquent behavior intergroup ga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Fourth, as for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behavioral problems, perceived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self-esteem in the educated group(r=0.62, p<.01), and self-esteem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internalizing problems in that group(r=-0.59, p<.01). The correlation of those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 of broken familie child is very important in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PDF

후기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지지 및 대처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Coping in Late Adolescents)

  • 이은영;탁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58-36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of female in late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s.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based on internal working cognition affect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77 female students of colleg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Parker, Tupling & Brown. 1979), Personal resources questionnaire : PRQ-part II (Weinert ' Brant, 1987), and Way of coping (Folkman & Lazarus, 198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ie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t-test. As a result. perceived social suppor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arental care and negatively with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ping. Perceived social support differed according to parent-child relationship type. The group of 'affectionate constraint' high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reported high perceived social support, but 'affectionless control'(low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reported low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group of high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higher parental care and higher coping than low one. The group of high coping showed higher parental care, lower parental overprotection and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than low one. Findings from this study linking retrospective accounts of early parental relationships to current working models concerning the nature of supportive relationships are consistent with attachment theory that individual who, as children, experienced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that were independent-encourage. affectionate, and not overprotective developed working models of others as available to provide social support.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related to coping in dealing with stress.

  • PDF

저체중출생아 어머니와 정상신생아 어머니의 정서와 지지 비교 및 보건소 저체중출생아 가정방문간호의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omparison of Emotion between the Mothers with Low-birth Weights and Normal Infants and the Effect of Home Visiting for the Low-birth Weights)

  • 방경숙;김용순;박지원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motional state between the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and mothers with normal infa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home visiting for the low-birth-weights in one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51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and 90 mothers with normal infants to compare emotional state, and from 26 mothers with low-birth weights to evaluate the effect of home visiting care. Summaries of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social support form 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others with normal infant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have more stress and child rearing burden, and less maternal self-esteem than those of mothers with normal infants. 2.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the more burden,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less husbands' support they felt. When they had lower maternal self-esteem and lower husbands' support, child rearing burden was higher. Also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lf-esteem and postpartum depression. 3. In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the score of post-intervention stress, care-giving burden,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somewhat decreased, and maternal self-esteem was increased than pre-intervention data, although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Mothers' satisfaction on the home-visiting care was considered to be high. In summary, mothers with low-birth-weights had lower social support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more stress than mothers with normal infants. Therefore, public health nurse in community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m.

  • PDF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 관계: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School Level)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구조적 관계의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497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t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조손 가정보다는 양부모 가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보다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의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가 되었다. 셋째, 가족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유형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경로 모두 한부모/조손 가정보다 양부모 가정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급에 따른 경로계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초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중/고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부모 및 자녀 특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Gender Role Attitud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Lee, Ji-woo;Choe, Eun-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27-235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있는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며, 아동기 학대경험의 예방적 방안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에서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3년마다 실시하는 가정폭력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2019년도 전국 9,060 표본가구내 만 19세 이상 가구원 총 9,060명 중 참여자 여성 4,546명, 남성 4,51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이 성역할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도 부(-)적인 영향을 나타나났다. 이는 향후 아동기 학대예방과 아동보호 인식개선이 생애초기부터 강화될 필요성이 있고, 아동의 부모사전교육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충분한 방안 마련을 제언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시하고자 한다.

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배우자 지지,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 (Multi Group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Six-Month-Year Old Infants)

  • 정미라;조혜영;이순행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9-5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lliance and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indicators were the same for mothers and fathers. Methods: A sample of 228 parents (114 mothers and 114 fathers) of 6 month old infants in Gyeonggi Province completed measures of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and Parenting Stress Inventory-Short Form.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ing alliance produced its e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Using multiple group SEM analyses, it revealed that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mediated by parenting alliance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pathways was stronger for fathers than for mot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ing alliance can improve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e differential predictors of mother and father efficacy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