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건의료전문직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사회 융합 보건의료 전문직 여성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 체험: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 방법 적용 (Experience of Job Stress among Female Community Convergence Health Care Experts: Applying Parse's Human Becoming)

  • 김한솜;최성열;이예은;유지연;박지현;변주영;양가영;곽은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9-234
    • /
    • 2020
  • 한국은 고령화에 따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보건의료 전문직 여성이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의료 전문직 여성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 체험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여 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보건의료 전문직 여성의 직무 수행을 지지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arse의 인간되어감 질적 연구의 수행을 위해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보건의료 전문직 여성 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너와 나의 관계 형성 이후 진솔한 대화를 통해 참여자의 고통 체험 현상을 녹음하였다. 참여자의 구술은 추출-종합, 발견적 해석 과정을 통해 인간되어감 이론의 구조로 전환하고, 개념적 해석을 통해 체험의 구조를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보건의료 전문직 여성 참여자는 열악한 근무 여건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직장과 가정의 역할 갈등으로 고통 받지만 변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능력 및 소통 강화를 통해 현실을 극복하려 노력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보건 의료 전문직 여성의 근무 여건 개선을 통해 이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복지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보건행정학 전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융합적 접근 (Convergence Approache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s of Health Administration Students)

  • 김희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3-111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행정학 전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의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에 소재한 10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250부를 SPSS Ver.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 보건행정학 전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수준은 평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세부 영역에서는 모두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 세부 영역 중 전문직 실무이다. 따라서 보건행정학 전공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 전 충분한 실습지의 점검과 사전실습 지도교수와의 상담, 그리고 이에 맞는 임상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임상실습 기관과의 상호 협력체계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국내 간호연구 현황 분석 (Current Statu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related Research within Korean Nursing Literature)

  • 안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75-82
    • /
    • 2021
  • 본 연구는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국내 간호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전문직 간 교육 연구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의 확장성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논문은 총 5편이었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간호연구가 시작된 것은 2017년이었고, 전문직 간 교육 개념에 대한 정의가 확립되지 않은 실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 대상 논문들의 주요 결과는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 중재로서의 전문직 간 교육의 효과, 전문직 간 교육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도구의 타당화로 분류되었다. 간호사와 타 전문 인력의 협력은 양질의 보건의료 제공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전문직 간 교육 개념에 대한 정의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와 이를 간호교육과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한국어판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erception Scale(K-IEPS))

  • 박현정;강희선;강민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48-157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어판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K-IEP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 측정 원도구를 세계보건기구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번안된 도구를 활용하여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월까지 4개의 대학 보건의료전공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 수렴타당도, Cronbach's alpha, 급내 상관계수(ICC)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IEPS는 2개의 하위요인(역량과 자발성에 대한 인식, 실제적인 협력에 대한 인식)과 10개 문항이 적합하였다. 또한 K-IEPS의 전체문항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87이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3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K-IEPS는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데 타당도와 신뢰도가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에 K-IEPS는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도 (Self-Efficacy,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 김남희;김경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1-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which might influen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78 nursing students in U city. Date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7, 201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PASW 18.0 statistics program.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r=.595, p<.001)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396, p<.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is most influential factor explained 21% of variance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o develop a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curriculum and teaching program for enhancement of students'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수행능력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박인순;김란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05-1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91 nursing students in Gwangju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02 to 16,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0.0 vers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competence. The variable predicting clinical competency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4.1% of the vari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linical competence was professional self-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fessional self-concept through effective education program.

AHP를 이용한 고령사회 약국약사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ies in the Roles of Community Pharmacists in Aged Society Using AHP)

  • 강은정;장선미;길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02-41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층적분석과정(AHP)을 사용하여 고령사회에서 약국 약사역할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FIP/WHO 지침서 등으로부터 선별된 19개의 약사 역할들로 AHP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127명의 약사들이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엑셀 스프레드시트에 입력하여 표준적인 AHP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약사들은 약물치료관리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였고, 약의 준비, 구입, 보관, 공급, 투약, 조제, 폐기를 그 다음 우선순위로, 그리고 보건의료체계 및 공중보건의 효율성 증진에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19가지 역할들 중에서 약물치료결과의 모니터링, 팀 기반의 보건의료, 전환기 의료 등 기존에 없던 새로운 역할들이 비교적 높은 우선순위를 얻었다. 고령사회에서 약사들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약사들과 보건의료체계 모두의 변화 노력이 필요하다.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 직무만족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 권경자;주민선;김정아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2-19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ll 329 clinical nurses were obtain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3 National or public hospitals, 3 university hospitals, and two private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ntained four instruments and question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rom April 21st to September 1st, 200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SPSS Win 16.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The nursing professionalism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 The strategies to promote and enhanc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clinical nurses, in this era in which the nursing shortage become more and more problematic issue, are needed to design and be integrated into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in nursing organizations.

  • PDF

수술실 간호사의 의료기술에 대한 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cal Technology,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Operating Nurses)

  • 김정옥;김현주;조규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n medical technology,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ion of OR nurses. The data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164 OR nurses in 13 secondary hospita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beginning Apr. 12th to the 24th of 2010,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n medical technology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ion show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at r = .222.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n medical technolog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t r = .197.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ion was r = .609, showing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e have observed that the perceptions of nurses on medical technology and their self 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professional self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ograms that increase self-efficacy and followed by policies to maintai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