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문구강보건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2초

치면세균막관리와 구강보건교육에 관한 국내문헌고찰 (Reviews of Literature on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Hygiene Education in Korea)

  • 최문실;김동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7-98
    • /
    • 2017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PMPR과 구강위생교습을 시행한 문헌 22편을 대상으로 아동과 성인의 구강위생관리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MPR을 하는 데 있어서 1~2주 간격으로 4~5번의 방문이 가장 효과적이고, 구두교육이나 모형교육보다는 치면착색제를 사용하고 OHE와 전문가 칫솔질, 치면세마, SRP 등을 병행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춰 반복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실제 임상적으로 치주와 부착수준의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특성에 맞는 규칙적인 프로그램과 정기적인 일정으로 반복적 PMPR이 필요하다. 분석에 포함된 PMPR, 칫솔질 교습의 중재효과에 대하여 구강위생관리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OHE와 함께 시행되면 구강건강 증진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 최근 시행되는 성인대상 치석제거술의 건강보험 급여제도와 더불어 교육수행에 관련해서도 급여범위에 포함이 된다면 구강병 발생이 감소되고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되어 국민구강증진에 더욱 시너지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속적으로 복지정책에 필요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가 시행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경남지역 보건소의 효율성 평가 (An Efficiency Evaluation of Gyeongnam Public Health Center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 장동민;양종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63-3571
    • /
    • 2011
  • 본 연구는 경남지역 20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2007-2009년 까지 3년 동안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비효율 보건소의 투입 및 산출변수의 목표량을 규명함으로써 운영의 효율성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효율성 평가방법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의 CCR, BCC 모형을 이용하여 보건소 전체 효율성과 사업 영역별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투입변수로는 인력(의료직, 간호 및 기술직, 사무직)을, 산출변수로는 보건소 사업(진료실적, 구강보건, 예방접종, 노인보건, 모자보건, 방문보건)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효율성(TE)의 경우 2007년 평균은 0.912, 2008년 0.877, 2009년 0.917이었으며, 순수기술효율성(PTE)의 2007년 평균은 0.961, 2008년 0.946, 2009년 0.964, 그리고 규모의 효율성(SE)의 2007년 평균은 0.944, 2008년 0.925, 2009년 0.952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보건소의 효율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국가 및 경상남도에서 그동안 보건소의 공공 보건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추진한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경남지역 공공보건사업의 체계적인 기획, 수행 및 평가체계의 구축은 물론, 전국의 다른 지역 보건소에 대해서도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맞춤형 방문구강보건사업 현황조사 (A study on the state of customized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 정재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06-619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ustomized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in a bid to help facilitate the unified operation of the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required guidelin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 dental hygienists who were professionals responsible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s across the nation. Results : 1. Regarding the form of employ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investigated many contract and daily workers. 2. As to the possession of equipment necessary for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denture cleaners(12.2%) were most widely possessed in some regions, followed by mobile scalers(10.2%) and mobile suctions(8.2%). In terms of expendable devices and materials, dental mirrors, pincettes and explorers were the most widely possessed dental checkup devices, and the most widely possessed oral hygiene supplies were toothbrushes, interdental brushes and denture cleaners. Those devices and materials were in more possession than the other types of devices and materials. The most widely possessed equipment for educational purpose was laptop computers, followed by beam projectors and screens. The most widely possessed teaching materials were dentiform, followed by CD-ROMs. 3. Those whom they visited the most for oral health care service were elderly people, followed by the disabled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e dental hygienists who went out to visit those people outnumbered the others who stayed at public health centers. Concerning the types of visiting oral health care service, the most prevalent service provided to the elderly included denture cleaning/management, oral massage and preventive treatment against dental caries. The most dominant service provided to the disabled involved education of the oral health care act, preventive treatment against dental caries and toothbrushing by professionals. The most common service offered to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education of the oral health care act and oral health education. The dental hygienists paid a visit to a mean of 5.8 households a day. The average weekly number of households cared by the dental hygienists was 27.3. It took a mean of 37.1 minutes for them to take care of each household. 4. As fo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they expressed the greatest satisfaction at teamwork with professionals($3.56{\pm}0.94$), followed by the professionalism of their work($3.21{\pm}0.94$) and workload($3.08{\pm}0.94$).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work conditions required for creative job performance($2.75{\pm}0.98$) and partnership with other institutions($2.64{\pm}1.03$) was below 3.0. In regard to the impact of their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satisfaction level with workload. The unmarried dental hygienists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workload than the married ones(p<0.05). 5. As to needs for education fo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they asked for education about visiting oral health care skills the most, followed by education about oral health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education of planning/evaluation and education of oral health care for the disabled. Conclusions : The top priorit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programs was the procurement of budget, followed by the procurement of equipment and educational media and the procurement of human resources.

  • PDF

방문구강보건사업 여성노인 대상자의 구강관리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oral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of the Visiting oral health care)

  • 이윤희;이성국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65-377
    • /
    • 2012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Visiting Oral Health Care Program by examining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this Visiting Oral Care Program.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of 2011 to February of 2012, in Chilgok-gun in the Kyeongbuk Province, South Korea. One hundred and twenty five (125) elderly women among the beneficiaries of the Visiting Oral Care Program within the area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subjects would regularly visit the area senior citizen center,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64 of them belonging to a control group, and the rest (61 people) belonged to a intervention group. The research subjects were examined for their dental health condition,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Visiting Oral Care Program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 1. When they were asked about how many times they wash their dentures, the majority of the control group, 57.4% of them answered that they do it "once" a day. The majority of the intervention group answered "more than 3 times", with 35.2% of group mentioning that they wash their dentures more than 3 times a day(p<.001). 2. When the research subjects were asked to scale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Visiting Oral Care Program, the control group had rated 49.3 before the Service and 56.8 after the Service (p<.01), and scores for the individual factors to determin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has significantly improved as well (p<.01, p<.01, p<.01, p<.01, p<.01, p<.01, p<.01). 3. The oral hygiene condition after the Visiting Oral Care Program has shown improvement as well. The control group scored 64.2 for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of dental plaque before the dental care, and scored 46.8 after the dental care (p<0.1). The control group was diagnosed for the symptoms of coated tongue, and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were scaled as 3.7 before the Program and 2.0 after the Program (p<.01). Furthermore, the overall functionality of the oral cavity was improved as well. The control group showed 1.0 time increase in repetitive voluntary swallowing test (p<0.1), increased amount of sublingual saliva from 0.8mm to 1.4mm, and from 1.6mm to 2.0mm in dorsum linguae(p<0.1). Also,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mouth opening as well, increased from 3.9 to 4.0cm after the oral care program (p<.05). When compared the result with the examination after the Visiting Oral Care Program,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intervention group(p<.01, p<.01, p<.01, p<.01, p<.05). 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al hygiene condition and the functionality of oral was made for the result of examining the beneficiaries for Visiting Oral Care Program. The amount of saliv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dental plaque (p<.05),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petitive voluntary swallowing count (p<0.1). Also, mouth open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petitive voluntary swallowing count (p<.05). Conclusions : After the Visiting Orall Care Program, the beneficiaries of the program experienced improvement in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overall oral hygiene and functionality of oral.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Perception Level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Adolescents)

  • 박지영;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7
    • /
    • 2016
  • 이번 연구는 생애 과도기이자 입시 스트레스를 비롯한 여러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장 높은 스트레스 유형은 학업 스트레스로 $3.09{\pm}0.89$를 보였고, 그 다음은 가정(가족) 스트레스가 $2.85{\pm}0.84$로 나타났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치과의료기관을 이용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는 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이 규칙적인 식사를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p<0.01).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식성 식품을 섭취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성적이 중위권인 학생들이 우식성 식품을 섭취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p<0.01), 상위권인 학생들은 우식성 식품의 섭취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학교 내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 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병원 내원 환자의 금연에 관한 건강행위 동기요소 (Health Behavior Motivators about Quit-Smoking in Some Outpatients of University Hospitals)

  • 궁화수;유승미;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4-320
    • /
    • 2013
  •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과 충남대학교 병원 심혈관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본 연구에 대해 자발적으로 동의한 40대 이상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흡연 여부와 관련된 동기요소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1. 흡연자율은 성별, 최종학력, 월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자, 고등학교 졸업자, 월수입 200만원대인 대상자의 흡연율이 높았다. 2. 흡연군은 비흡연군이나 금연군에 비해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은 유의하게 낮고(p=0.021) 지각된 장애성은 더 높았다(p<0.001). 흡연군은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생활방식, 건강습관 등을 실천하지 않으며(p<0.001), 변화단계에서는 비흡연군과 금연군이 행동단계 이상이나 흡연군은 준비단계에 위치하였다(p<0.001). 3. 흡연 여부에 따라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치은출혈 여부, 1일 잇솔질 횟수, 치과방문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4.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장애가 평균 미만인 군이 OR이 0.378 (p=0.039)이고 변화단계가 평균 미만인 군은 OR이 4.746 (p=0.002)이었다. 남성이 흡연할 OR은 12.743 (p<0.001)이었고, 경제상태에서는 월수입이 200만원대인 군이 300만원 이상인 군에 비해 OR이 3.271 (p=0.045)이었다. 따라서, 금연에 대한 동기요소를 변화시키기 위해 건강행위에 대한 유익성, 장애성, 실천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금연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구강보건관련인력도 흡연과 연관된 구강건강 관리뿐 아니라 동기요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금연 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용해야 할 것이다.

치위생과 학생 및 비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이경희;권현정;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1-127
    • /
    • 2007
  • 현 대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관심 및 치위생과 및 비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인식을 비교 분석할 목적으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조사를 실시하고,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보건에 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경로는 학교수업이 80.0%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TV 또는 라디오의 건강프로그램이 42.7%로 가장 많았다. 구강위생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치아우식증 예방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0.9%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치주질환 예방이 52.4%로 가장 많았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2. 치아우식증에 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법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 규칙적인 잇솔질이 가장 많았고, 치아우식증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 불충분한 잇솔질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3. 불소에 관한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불소인지 여부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들은 불소를 알고 있는 경우가 93.6%로 나타났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은 55.3%로 나타났으며, 불소의 치아우식 예방인지 여부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들은 예방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85.5%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은 잘 모르겠다가 51.0%로 가장 많았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4.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본인의 치아 상태에 대하여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본인의 치아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조금 있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본인의 치아우식 발생 원인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불충분한 잇솔질, 당분 과다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5. 구강진료의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진료 시의 동통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견딜만한 정도와 극도로 아프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과 진료시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비용, 두려움, 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치과방문 시의 느낌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다소걱정이다, 두렵다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우식치아수의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Number of Decayed Tooth)

  • 최준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5-63
    • /
    • 2006
  • 본 연구는 향후 치아우식증 예방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김포시 면단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남 녀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학교 구강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우식치아수 및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식치아가 전혀 없는 경우가 응답자의 37.7%로 가장 많았고, '2-3개' 23.9%, '4개 이상' 21%, '1개'는 17.4%이였다. 2. 최근 1년동안 치과의료기관 방문횟수는 1-2회가 52.2%로 가장 많았고, 23.9%는 1년 동안 치과의료기관을 한번도 방문하지 않았다. 3.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에서 2회는 71.7%였고, 54.3%는 잇솔 외 구강관리용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86.9%와 71.3%는 각각 치면열구전색과 불소도포 경험이 전혀 없었고, 66.9%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세치제에 불소 배합여부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4.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사회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모친 연령, 모친 최종학력, 모친 취업여부, 하교 후 돌봐주는 사람이었다(p > 0.05). 5.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구강건강행위 요인으로는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잇솔 외 구강관리용품 사용, 불소도포 경험이었다(p > 0.05). 6.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간식섭취요인으로는 치아보호식품과 우식성식품 섭취 횟수였다(p >0.05). 7.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구강건강신념항목은 감수성으로 나타났다(p > 0.05). 8. 회귀분석 결과 모친이 미취업이고,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가 많으며, 치아보호식품 섭취횟수가 많고, 우식성 식품섭취가 적으며, 감수성이 낮을수록 우식치아수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9.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많이 발생되는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고 조기치료를 하기 위하여 학교 내 구강보건실 설치를 확대하며, 집단 구강검사를 통해 구강병을 초기단계에서 발견하여 치료로 연결시키고, 잇솔질 교습 및 불소용액 양치, 식이조절 등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성인의 우식예방 인식과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조사: 한국갤럽자료분석 (Degree of Interest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Child's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Gallup Survey)

  • 진혜정;황윤숙;진명욱;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12
  • 우리나라 성인의 우식예방 관심도와 지식에 따른 본인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와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갤럽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으며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비례 할당으로 표본 추출을 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총 1,014명(남자 502명, 여자 512명)의 자료를 수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우식예방 관심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 연령에서 40~49세군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수준은 대졸 이상인 경우, 주부인 경우, 자녀가 있는 경우, 지역크기가 읍면지역에 비해 대도시, 중소도시 거주자가 우식예방 인식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2.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교육 여부 및 우식예방 실천행위인 정기적인 치과방문, 스케일링 여부, 잇솔질 빈도,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3. 자녀의 우식예방 관심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부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학령기 시기인 경우 부모의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기적인 구강건강 검진,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과 같은 실천행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4. 부모의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본인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와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론을 통해 우식예방 관심도와 지식수준은 우식예방 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본인의 우식예방 지식과 실천행위는 자녀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식예방을 통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보건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지역 사회 기반의 구강건강 교육을 강화해야 되며, 부모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녀들이 건강한 치아를 보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경산시 일부 초등학교 학생들의 치아우식증 경험 및 비만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 of Student's in Gyeongsan)

  • 최성숙;정홍섭;최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9-436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치아우식증경험 및 비만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1년 7월1일 부터 7월 30일까지 경산시 소재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폐쇄형 설문지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응답이 불충분한 5부를 제외한 최종 235부와 구강검사결과 치아우식경험 유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아우식경험도는 낮았다. 2. 어머니의 직업유무, 교육정도, 주관적 경제수준과 치아우식증 경험 및 비만도는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 3. 간식섭취량, 식습관 및 생활습관은 치아우식경험도와 상관성이 없었고, 비만체중(21.5%)이 정상체중(9.4%)보다 주간운동횟수에서 0번이 높게 나타났다. 4. 지난 1년간 치과방문 경험이 있는 학생이 치아우식 비경험이 높았으며(OR=0.498), 치아우식증경험 유무와 비만도는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사회인구학적 편차와 상관없이 가정에서 이루어 지지 못하는 학생들의 구강 및 건강관리가 학교보건 측면에서 어느 정도 관리가 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치아우식경험도와 비만도의 연관성이 없음을 알았다. 추후 점차적으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을 확대하여 체계적인 구강관리 및 건강관리가 국가 정책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