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two styles of Yoo(; ) Sang(;裳) in Koryo Women. One they wore the Snag(;裳) over the Yoo(; ), the other wore the Yoo(; ) over the Sang(;裳). In the Yoo(; ), Double breast styly was used for the adjustments of these clothes, Neckline and hem line were substituted by rectangular collar (;목판깃). Knot-button, Coat-string(;Okgolum), White straight collar (DongJung), side slit were used. In the Sang(;裳), Chimaheri(;치마허리)was mades of another fabric and Chima-string was dropped.
Mokpan-dangkogit was one pattern of collars normally attached to female clothing in Lee Dynasty and it was very rare that a collar of Mokpan-dangkogit was found in male clothing particularly under the Confucianism-dominated society. The detailed procedur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summarize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n collar of Lee Dynasty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collar in literature review; To exam various types of Mokpan-dangkogit found in male clothing in the era of Lee Dynasty through relics of the past; and To analyze a period of time which Mokpan-dangkogit first appeared in the process of clothing history of Lee Dynasty and those who wore it. In conclusion, a relationship between female Mokpan-dangkogit and male counterpart was discussed.
In Koryo Dynasty Pyonbokpo(便服抱) was worn by both sexes. There were four styles that was Yosunchollic, Dappo, Pol, Poll, of the men's Pyonbokpo(便服抱). Double breast style (重据形) was used for the adjustments of these clothes. Neckline and he-m line were substituted by rectangular collar (목판깃). The width and length of sleeves in Yosunch-ollic was tighter and shorter as general Po. Coat-string (Okgolum), side slit were used. Feminine Pyonbokpo (便服抱) had usually same style of men's one. There was one was back longer than front length. They wore it with or without a belt. Knot-button, Coat-string (Okgolum), White straight collar (DongJung), side slit were used.
This thesis is mainly about the changes of Garment's collar(옷깃) and outer collar (옷섶) which indicate the identification of dress history. Through the observations of some reports about important folk materials and genuine object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and rearranged them focusing on Yi-Dynasty. (1400-1900) For the shape of the outer lapels(겉깃) of Korean Jacket(저고리) were used together Squar-Tray-Collar(목판깃), Sharped-Collar(칼깃), and Dang ko-Collar(당코깃) and coming to the end of inner lapels(안깃) formed squar-tray-collar. Squar-tray-collar and sharped-collar were mainly used together for the shape of the outer lapels of Korean overcoat(포). Dang ko-collar was seen only in two overcoat. Coming to the 18th centry, the outer lapels became round-edged like those of jackets, while the inner lapels formed squar-tray-collar. In the process of positional changes of the collar and outer collar of Korean jacket and overcoat, the outer lapels positioned outside the outer collar, or a part of width of collar's positioned upon the outer collar, or the whole outer lapels positioned inside the outer collar. And through these chang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uter lapels became settled in the end of the 19th centry. But the inner lapels did not undergo many changes compared with the outer ones, and their position was mainly outside the outer collar like those of current lapels. And the garment's collar and outer collar of jacket and overcoat became small while the width and length of breast-tie(고름) became large.
This study is on the classification of Chchori forms in Korea in the 16 th and 17 th Centuries by investigating the patterns an construction of excavated clotho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Chchori in the period are as follow. 1. The Chchori shows forms. The diversity is accomplished by varing the components pattern is Chchori, such as collar, sleeve, and bodice. The divertification in Chchori pattern represents an attempt to advance the simple Chchori pattern in the 4 th and 5 th Centuries to the mordern one. 2. Mokpankit (목판깃) has a straight construction line but Kalkit (칼깃), Dangkogit(당코깃) have curved one. This suggests a trans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line of Chchori. 3. Among Chchori pattern, some Mokpankit and Kalkit Chchori show two kinds in size ; 40-50 cm and 60-70 . However, Dangkokit Chchori has only one size of 40-50cm.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body size between man and woman , Mokpankit Chchori and Kalkit Chchori are jueged to be for man and woman commonly, and Dangkokit Chchori is for woman only. After the period , woman wears only Dangkokit Chchori, whichis thought to come from the sex discrimination. Consequently on the viewpoint of rinsiple of Adaptation to Environments, forementioned facts prove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in the 16 th and 17 th centuries on the historical basis of costume.
This study is about the three pieces of jackets with a symmetric collar that was used to fill in the empty spaces in coffin excavated in 2004, from Seok-nam-dong, Nam-gu, Incheon. The similarities of these three jackets are that the collars are symmetric, there are seops(the outer bodies to overlap the front sides of a jacket) with pleats, and openings on the side seam. The No.2, and No.6 seem to be jegori to wear over others, and the fabrics used for No.2 is damask with cloud pattern, and damask with lotus flower pattern. For the No.4, satin was used and there is peacock pattern weaved on satin using golden thread. No.41 is unlined clothes made with Suk-cho, and the distinctive feature about this clothes is that the collar, and the neckline are very narrow. The three jackets are similar with the recently reported clothes of Kim clan of Gang-leung (deducted to be buried in 1520), the collection of Seok Joo-sun Memorial Museum. Through this report,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some aspects of upper class women's cloth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women's Jangui in 17th centuries. As we observed, Jangui in seventeenth century was shown the same style. They were not headdress but coat.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are Mokpankit, double-seop, straight sleeve, triangle moo, sam-su(which is attached to the end of sleeves) and a little coat string etc. There is no specific mode difference with the change of times. However, the straight sleeve is shown straight lin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Jangui in seventeen century are all oblique line sleeve except Jangui of Jin-ju Ha's family. Jangui put on coat do not seem clear-cut difference with the change of times. From Jangui of Yang-chun Hu's family in 14th centuries till An-dong Kim's family, the special features of Jangui are the same style. In addition, The double-seop in 17th centuries was not completely symmetry. However, after 19th centuries, Jangui for headdress was shown perfectly symmetry.
This study is about single-layered $Chog{\breve{a}}ri$ excavated from SongHyosang(宋效商, 1430-1490, SHS hereafter), SongHeeJong(宋喜從, the late 1500s, SHJ hereafter) tombs. There are 7 single-layered $Chog{\breve{a}}ris$ for men. We focus on comparison of their design and sowing method. 1. Design: Investigating collar, $Chog{\breve{a}}ris$ from SHS have MokpanGit and $Chog{\breve{a}}ris$ from SHJ have KalGit. KalGit has been seen from SHJ to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After the late 1500s, there is no MokpanGit single-laTered $Chog{\breve{a}}ri$ for men. Side panel under arm has various shapes(triangle, trapezoid, triangle+trapezoid) in 15th century. After the late 1500s, It changes into no side panel. Two $Chog{\breve{a}}ris$ with no side panel from SHJ reveals that the late 1500s is a period of transition. 2. Sewing method: First, researching lengthwise grainline of the fly, the left fly has lengthwise grainline outside In four, inside in three. The right fly has lengthwise grainline outside in just one, the others have lengthwise grainline inside. Compared with today's way,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ut in those times there isn't an established rule. This is true of side panel under arm. The sewing method are backstitch, running stitch, and hemming. Research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seam, in putting two selvages together, open seam and plain seam are used. In putting selvage and bias, bias and bias together, flat felled seam and french seam are used. This study shows that single-layered $Chog{\breve{a}}ri$ far men from 15C. to 16C. has changes of design such as collar(Git) and side panel undo. arm. But there is little change in sewing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garments excava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efore 1592. The study sorts out headgear, jacket, skirt and trousers, and coats from the historical tex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excavated women's wears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and analyzes their textiles and patterns. The Joseon women's garments convey several features. They are wide across the chest and square shaped collar with virtually straight sleeves. While their breast-ties are extremely little for the size of clothes, they do not have any inner-tie. They have broad and short dongjeongs which seem to be hard to be adjusted. There are a variety of headgear. Jang-Jeogori slit down in both sides. The Jeogori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transformed a more practical form of a fitting dress to an individual body in comparison with the sixteenth jeogori. It is identified that the fabrics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woven more diversely and colorfully than the late Joseon period. Most of the excavated fabrics in the sixteenth century were in silk. Materials for adornments before 1592 were not much diverse and their designs mostly contained patterns of lotus flowers, patterns of cloud and treasures with oblique lines. The colors are mainly brown, navy and green. The Joseon women's clothes were comprised of skirts with folded hem, coat with round collars, wide leg pants, Jangot, long-sleeved coat with folding collars, and quadrangular pieces of cloth in various sizes, or mu and so forth. Joseon women's clothes, like men's wears, partake of active functions in their headgears, wide leg pants, styles in short front and long back, and coat with round collar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