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kpan-Dangkogit which was appeared on Male Clothing in the Lee Dynasty

조선시대 남자복식에 나타난 목판당코깃 연구

  • Ku Nam-Ok (Dept.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Jeonju University)
  • 구남옥 (전주대학교 전통패션문화전공)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Mokpan-dangkogit was one pattern of collars normally attached to female clothing in Lee Dynasty and it was very rare that a collar of Mokpan-dangkogit was found in male clothing particularly under the Confucianism-dominated society. The detailed procedur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summarize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n collar of Lee Dynasty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collar in literature review; To exam various types of Mokpan-dangkogit found in male clothing in the era of Lee Dynasty through relics of the past; and To analyze a period of time which Mokpan-dangkogit first appeared in the process of clothing history of Lee Dynasty and those who wore it. In conclusion, a relationship between female Mokpan-dangkogit and male counterpart was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朝鮮王朝實錄' 世祖 2年 3月 丁酉 一禁服妖 着衣常之制 所以別男女貴賤也 .... 今國中女子 喜着長衣 若男子然 或以長衣於衣常之間 成爲三層 ... 卽史文所謂服妖者也
  2. 고복남 (1986). 한국전통복식연구, 일조각, p. 29
  3. 김미자 (1979). 민서 편복포의 옷깃에 대한 연구. 가정학회지, 14(1),p. 29
  4.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p. 95
  5.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p. 215
  6.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익정 유물연구. 한국복식, 19, p. 104
  7. 백영자, 최혜율 (2000). 한국의 복식문화. 경춘사, p. 289
  8. 박성실 (1998).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이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6, p. 38
  9. 이은주 (1998). 김흠조 분묘 출토복식 자료분석. 판결사김흠조선생 합장묘 발굴보고서. 영주시, p. 247
  10. 안명숙 (2000). 출토복식의 종류별 특징. 하천고운 출토유물. 광주민속박물관, p. 74
  11.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p. 223
  12. 고복남 (1986). 한국전통복식연구, 일조각, p. 381
  13. 김동욱, 유송옥 (1979). 충북 청원군 전박장군 출토유물. 중요민속자료보고서, 83, 문화재관리국
  14. '朝鮮王朝實錄'太宗 16年 1月 丙午
  15. '朝鮮王朝實錄'世宗 8年 2月
  16. 유희경, 김문자 (1999).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 211
  17. 김미자 (2001). 의원군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 박물관, pp. 213-214
  18. '朝鮮王朝實錄'世祖. 2年 3月 乙亥
  19. 黃態馥 外 l人. 앞의 책. p. 260.
  20. 高麗史 列傳 卷第十
  21. 김동욱 (1983). 임난 전후기의 출토복식, 임난전후 출토복식 및 상제. 충북대학교 박물관 조사보고서, 8, p. 68
  22. 유희경, 김문자 (1999).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 238
  23. 장인우 (1995). 조선중기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pp. 78-79
  24. 임영자 (1990). 한국의 종교복식. 아세아문화사, p. 19
  25. 이은주 (1998). 도포형태의 전래와 발전양상에 관한 실증적 고찰. 복식, 36, p. 22
  26. '朝鮮王朝實錄'宣祖 40年 4月 癸巳 '草綠裌道袍'
  27. '朝鮮王朝實錄'孝宗 8年 1月 癸丑 '道袍之制 亦自壬辰後有之矣'
  28. 이은주 (1998). 도포형태의 전래와 발전양상에 관한 실증적 고찰. 복식, 36, p. 8
  29.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p. 115
  30. '增補文獻備考' 卷79 禮考26 章服 1 자료출처: 한국학데이터베이스 http://k5000.nurimedia.co.kr/intro.asp?Book=증보문헌비고
  31. '增補文獻備考' 卷79 禮考26 章服 1
  32. 김성환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묘역의 피장자와 행략.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 84
  33. 유송옥 (1991).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서울: 수학사, p. 363 참조
  3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이 북한의 문화재 와 문화 유적(V) 서올대학교출판부. p. 69
  35. 석주선 (1996). 의. 서울: 고려서적주식회사, p.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