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men's Excavated Jangui in 17th Centuries -Mainly on the Jangui from KyungJu Lee's Tomb in Young-am-

17세기 여자 출토 장의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영암출토 경주 이씨~1684) 장의를 중심으로-

  • 안명숙 (광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women's Jangui in 17th centuries. As we observed, Jangui in seventeenth century was shown the same style. They were not headdress but coat.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are Mokpankit, double-seop, straight sleeve, triangle moo, sam-su(which is attached to the end of sleeves) and a little coat string etc. There is no specific mode difference with the change of times. However, the straight sleeve is shown straight lin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Jangui in seventeen century are all oblique line sleeve except Jangui of Jin-ju Ha's family. Jangui put on coat do not seem clear-cut difference with the change of times. From Jangui of Yang-chun Hu's family in 14th centuries till An-dong Kim's family, the special features of Jangui are the same style. In addition, The double-seop in 17th centuries was not completely symmetry. However, after 19th centuries, Jangui for headdress was shown perfectly symmetry.

Keywords

References

  1. 안명숙 (2001). 17세기 여자 출토복식의 일례. 한국복식학회지, 51(4)
  2. 세조실록 권3 세조2년(1456) 3월 28일, 今國中女子喜 着長衣男子然或以長衣着於衣裳之間成爲三層
  3.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 38
  4.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73
  5. 박필순, 박윤미, 정복남 (2005). 의령 전의이씨묘 출토복식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13(1), 복식문화학회, p. 103
  6. 안명숙 (2001). 17세기 여자 출토복식의 일례. 한국복식학회지, 51(4), p. 7
  7. 교부자, 박승원 (2003). 조경묘 출토유의. 역사박물관, pp. 130-134
  8. 박진영 (2000). 조선시대 복식 유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9. 고부자, 박성실 (1990). 여주출토 동래정씨 출토유물 소고. 석주선기념박물관, p. 74, pp. 112-116
  10. 고부자 (1999). 일영 출토 고령 신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7, 석주선기념박물관, p. 86
  11. 이주영, 권영숙 (2004). 직령의 부위별 형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4(5), p. 109
  12. 권영숙 (2000). 조선 초 중기 여자 장의제도, 전통복식, 한국전통복식연구회, p. 34
  13. 이은주 (2003). 장기 정씨(1565-1614) 묘의 출토복식. 한국복식학회지, 53(3)
  14. 송미경 (2003), 여흥 민씨(1586-1656) 묘 출토복식. 한국복식학회지, 53(4)
  15. daum 사전, '무'의 국어사전 뜻.(2007. 5. 10 검색)
  16. 박필순, 박윤미, 정복남 (2005). 의령 전의이씨묘 출토복식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13(1), 복식문화학회, p. 105
  17. 장인우 (1995). 조선 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9-103
  18.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73
  19.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 41
  20. 장인우 (1995). 조선 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6
  21. daum 사전, '형태'의 국어사전 뜻.(2007. 5. 15 검색)
  22. 한국전통복식연구회 (2000). 전통복식. 경춘사, p. 142
  23.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2) 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p.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