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cultural Research on Visual Values of Korean and Japanese Private Girl's High School Uniform -Focused on Private Girl's High School Uniform in Seoul and Tokyo-

한.일 사립 여고생 교복의 조형성에 관한 비교 문화 연구 -서울과 도쿄의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복을 중심으로-

  • Yun, Su-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Ha-J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culture includes every possible objective forms created by humans and their shared aspects of ideas, feelings, and behaviors, beliefs and etc. The dress and its ornaments are part of the culture that expresses the relationships in objective ways and in formless immaterial ways. The school uniform represents significant meanings to the students in their school years, and it is the way of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and full filling their needs for self-present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youth culture means understanding students' school uniform along with fast changing twenty first century civilization. Korea and Japan are very close nations to each other. Both Korean and Japanese girls' school uniform style were adopted western clothing style and went through many changes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They are affected by different peculiarities between two nations and youth cultures from different c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on analyzing how different visual values of girl's high school uniforms in Seoul and Tokyo and understanding youth cultures through macro-analysis. The youth cultures in Korea and Japan are mostly similar but there is special development on animation in Japan and possibly can find many styles of girl's high school uniform. Both nations are varying to be opened to sexual culture of adolescents but Japan is more uninhibited than Korea. In Japan, sailor-uniform can be found in fetish way in public culture. On one hand, because of most private girl's high schools in Tokyo takes an entrance examination, top-ranking students are very proud of their school uniforms and even students from other public high schools get private high school uniforms to attend school festival. This analysis showed that private girl's high school uniform in Seoul appealed as slim fitted silhouette which is close to modem woman's suit style while in Tokyo appealed as boxy style matched with short pleated skirt or sailor-uniform style. Comparing that to school uniform photos taken on the street, we can find that alikeness or more extreme styles as examples. These are influenced by different youth cultures in Seoul and Tokyo and cultural differences stands for different aesthetic norm being accepted or rejected.

Keywords

References

  1. Roach & Eicher (1973). Dress, Culture and Society, p.33
  2. 고부자 (2001). 우리 생활 100년.옷, 서울: 현암사, pp. 132-189
  3. 이유경, 김진구 (1995). 우리나라 양복수용 과정의 복식변천에 대한 연구-문화전파이론을 중심으로. 복식, 26, pp. 123-143
  4. 임주희 (2004). 여중고등학생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하는 교복 디자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5. Sharon Kinsella (2002). What's Behind the Fetishism of Japanese School Uniform? Fashion Theory. 6(2), pp. 215-216 https://doi.org/10.2752/136270402778869046
  6. Japanese school uniform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retrieved 2006.09.30. from http://en.wikipedia.org/wiki/Japanese_school_uniform
  7. 행정정보,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06, 10. 13, 자료출처 http://www.seoul.go.kr
  8. 서울의 기후. 자료검색일 2006, 10. 13, 자료출처 http://www.daum.net 신지식
  9. 도쿄. 자료검색일 2006, 10. 13, 자료출처 http://www.naver.com 백과사전
  10. 김순전 (2006). 일본의 사회와 문화. 서울: 제이엔씨, p. 17
  11. 우리나라 경제통상. 외교통상부 자료 2006년 7월
  12. 세계은행그룹. http://ddp-ext.worldbank.org/ext/DDPQQ/showReport
  13. 교육통계정보시스템. 한국교육개발원. 자료검색일 2006. 10. 15, 자료출처 http://cesi.kedi.re.kr/jcgi-bin
  14. Education at a Glance 2005. OECD. retrieved 2006, Nov. 1, from http://www.oecd.org/edu/eag2005
  15. 루소. 민희식(역) (1992). 에밀. 서울: 육문사, pp. 276-277
  16. 박진규 (2003). 청소년문화. 서울: 학지사, p. 41
  17. 조혜영, 김민, 방은령, 최원기, 박선웅 (2005). 청소년 문화론. 서울: 교육과학사, pp. 37-275
  18. 김광웅 (1998). 한국 청소년의 가치관. 변화와 연속
  19. 조혜영, 김민, 방은령, 최원기, 박선웅 (2005). 청소년 문화론. 서울: 교육과학사, pp. 43-44
  20. 조혜영, 김민, 방은령, 최원기, 박선웅 (2005). 청소년 문화론. 서울: 교육과학사, pp. 56-62
  21. 윤경철, 전경숙, 김경준, 최원기, 주동범 (2001). 새천년 청소년 의식의 국제비교-한국.미국.일본.프랑스 청소년의 비교-.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pp. 176-177
  22. 이원희 (1957). 현대 일본의 이해.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m pp.93-97
  23. 홍진희 (2004). 일본의 문화와 생활. 서울: 도서출판 보고사, p. 142
  24. 홍진희 (2004). 일본의 문화와 생활. 서울: 도서출판 보고사, p. 267
  25. 윤상인, 김경균, 김기수, 김봉석, 김응교, 김정례, 염혜정, 한창완 (2006). 일본 문화의 힘. 서울: 동아시아, pp. 105-107
  26. 김순전 (2006). 일본의 사회와 문화. 서울: 제이엔씨, p. 259
  27. 세일러문. 네이버 이미지 검색. 자료검색일 2006, 10, 15, 자료출처 http://imagesearch.naver.com/
  28. 박진규 (2003). 청소년문화. 서울: 학지사, p. 244
  29. 박진규 (2003). 청소년문화. 서울: 학지사, p. 247
  30. 김태영 (2005). 일본 문화의 산책. 서울: 도서출판 보고사, pp. 154-155
  31. 김태영 (2005). 일본 문화의 산책. 서울: 도서출판 보고사, pp. 192-198
  32. 이은영 (1998). 패션 마케팅. 서울: 교문사, pp. 326-344
  33. 이은영 (1998). 패션 마케팅. 서울: 교문사, pp. 336-337
  34. セ-ラ-服大好きっ!. TOK2. retrieved 2006. Nov 3, from http://www52.tok2.com/home/megrin/resalt/resalt06.htm
  35. 구정화 (1997). 청소년 소비문화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36. 맹영임, 구정화 (2003). 청소년 생활문화와 소비에 관한 연구 I: 청소년 의복문화와 소비.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p. 29
  37. 이은영 (1998). 패션 마케팅. 서울: 교문사, pp. 334
  38. 세라복<192> 남자 애들이 좋아하는 교복. 자료 검색일 2006. 10. 05, 자료출처 http://newkoman.egloos.com
  39. 조혜영, 김민, 방은령, 최원기, 박선웅 (2005). 청소년 문화론. 서울: 교육과학사, pp. 237
  40.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서울: 교문사, p. 147
  41. 명문고 <18> 시라유리(白百合) 학원 고등학교. 자료검색일 2006, 11. 06, 자료출처 http://newkoman.egloos.com/300544
  42. Sharon Kinsella (2002). What's Behind the Fetishism of Japanese School Uniform? Fashion Theory. 6(2), pp. 215 https://doi.org/10.2752/136270402778869046
  43. Sharon Kinsella (2002). What's Behind the Fetishism of Japanese School Uniform? Fashion Theory. 6(2), pp. 218-223
  44. Jennifer Craik (2003). The Cultural Politics of Uniform. Fashion Theory, 7(2), p. 143
  45. 세라복 <103> 사립 리리안 여자고등학교 교복. 자료검색일 2006. 11. 06. 자료출처 http://newkoman.egloos.com/1035452
  46. 길거리 여고생의 교복 착용 사진. 자료 검색일 2006. 10. 11,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
  47. 일본 여고생 교복 사진. 자료 검색일 2006. 10. 11, 자료출처 http://newkoman.egloos.com/
  48. 한국 여고생과 일본 여고생. 로이월드. 자료검색일 2006. 10. 23, 자료출처 http://www.roiworld.com/
  49. Anne Hollander (1994).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America, Inc., pp. 40-62
  50. 박진규 (2003). 청소년 문화. 서울: 학진사, pp. 16-23
  51. 맹영임, 구정화 (2003). 청소년 생활문화와 소비에 관한 연구 I: 청소년 의복문화와 소비.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p. 5
  52. 교복, 고교. 자료 검색일 2006. 10. 11, 자료출처 http://newkoman.eglo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