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족도 수준

검색결과 3,476건 처리시간 0.033초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Baby-Boom Generation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

  • 박서영;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66-674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관적 기대감(생활수준 및 정부정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이며,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1년생 1,7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소비수준이 미치는 효과는 주관적 기대감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주관적 기대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조성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5-72
    • /
    • 2023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참여한 679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및 여가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a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

  • 조윤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83
    • /
    • 2019
  • 본 연구는 돌봄 관련 변수가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와 여가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 건강 만족도에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월 가계 총 소득, 돌보는 손자녀 수,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여부가 영향 변수였다. 즉,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돌보는 손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성인 자녀와 돌봄 갈등이 없는 경우,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가 높았다. 여가 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 여부가 포함되어, 조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의 돌봄 갈등이 없을 때, 이들의 여가 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 전명숙;태명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23-33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노인 여가참여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한국고령화 연구패널조사(KLoSA)" 4차 조사에 참여한 총 7,4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노인의 여가참여라는 매개변수의 효과를 통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노인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높을수록 여가참여 수준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elf-Reliance of Unmarried Mothers on their Life Satisfaction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 김지혜;조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78-490
    • /
    • 2020
  • 본 연구는 미혼모들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 대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총 207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의지와 사회자본,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높을수록, 사회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이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혼모들이 같은 수준의 자립의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높은 수준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더 큰 삶의 만족 수준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혼모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이 카지노정보시스템의 보안신뢰와 직무만족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uccess Factors of Information System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ecurity Reliability of Casino Informa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 이대근;황찬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81-198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카지노 이용자를 위한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성과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조직 신뢰와 직무만족을 통하여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 품질은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 품질은 보안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은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안신뢰는 직무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은 경영성과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 방향은 본 연구의 각 변수들을 확장하여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경영 성과를 다 방향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탈세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과 우울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Depression -)

  • 김동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519-526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인의 심리적 기제인 우울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주관적인 건강수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구체적인 실천적 개입 전략과, 정책적 제도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제4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의 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장애수용, 우울, 일상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만족도는 주관적 건강수준과 장애수용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우울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주관적 건강수준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수용 및 우울의 매개효과에서는 주관적 건강수준은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우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을 위하여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 윤희정;신혜리;김영선
    • 정보화정책
    • /
    • 제27권4호
    • /
    • pp.85-100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을 파악하고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서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55세 이상 중고령자에 해당하는 1,662명이다. 분석자료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높고 사회적 자본 수준, 연령이 높으며, 여성, 비독거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더불어 사회적 자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도의 서비스수준과 보행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 of Service of Sidewalk and Satisfaction of Pedestrian)

  • 권완택;김상엽;최재성;김태호;장영수;김진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9-1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보행량이 많은 서로 다른 6개 지역에 위치한 도로의 보도 서비스수준을 측정하고 보행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를 위해 각 분석 대상 지점에서 기하구조 조사, 교통량 조사 및 설문조사와 동영상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보도의 서비스수준과 보행자 만족도, 도로 이용자의 보행특성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수준과 보행자 만족도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보행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결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보행자 만족도 변화에 따른 보행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서비스수준 평가에서는 기존의 방법보다 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기 위해 MMLOS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MMLOS를 이용한 평가 방법이 실제 보행자 만족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보다 발전한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요인을 감안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공되는 결과는 향후 보도 설계에 있어 보행자 만족도를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

호텔기업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차이 분석 (Comparison between Regular Workers and Contingent Worke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Hotel Industry)

  • 한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503-51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기업의 고용형태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호텔기업의 경영자 및 인사담당자들에게 고용형태를 기준으로 한 기업성과의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2011년 11월 1일부터 2011년 11월 30일까지 30일간 강원지역 특1급 호텔 3곳(A,H,I)에 재직 중인 식음료부서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원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OCOM 13(나는 진정으로 직장문제가 나의 문제로 생각된다) 항목이 5% 수준(t=2.140)에서, OCOM 8(나는 이 직장에서 오랫동안 근무할 생각이다)이 10% 수준(t=-1.88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각 집단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JSATI 8(교육 및 훈련의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진다) 항목이 5% 수준(t=2.1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기업의 고용형태에 따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 직원의 경우 지속적 몰입요인이 개인적성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몰입은 개인적성 만족에 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안정적인 고용을 위한 장기적인 정책과 직원들의 능력에나 노력에 대한 보상을 통해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가지게 하여 몰입수준을 높이고, 이것이 또한 직무만족수준에도 영향을 미쳐 고객만족도를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