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Baby-Boom Generation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 검증-

  • Received : 2016.03.02
  • Accepted : 2016.04.11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nsumption leve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 generation and further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standard of living and government policy). This research uses the panel survey to explore ageing society in 2012 made by Korean Labor Institute, which studied 1,756(born in 1955~1961). SPSS 21.0 Package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e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as the consumption level in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boom generation goes up. Second, the findings reveal that subjective expectat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s of consumption leve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 generation. This study further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direction properties on baby-boomer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관적 기대감(생활수준 및 정부정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이며,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1년생 1,7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소비수준이 미치는 효과는 주관적 기대감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주관적 기대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주연, 김숙,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노인의 가족 내 역할과 지위에 관한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2호, pp. 185-206, 2013.
  2. M. Carrigan and I. Szingin, "The Representation of Older People in Advertisements," J. of the Market Research Society, Vol. 41, No. 3, pp. 311-326, 1999.
  3. 부경희, "'젊은 오빠' 인식, 인지 연령이 노인의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광고정보, Vol. 299, pp. 38-41, 2006.
  4. 양정혜, "TV광고가 재현하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7권, 제1호, pp. 72-105, 2011.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KOSIS국가통계포털. 2010.
  6.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KOSIS국가통계포털. 2014.
  7. 이수진, "베이비붐세대 은퇴 봇물, 여가소비문화 활성화해야," 경기개발연구원, GRI정책제안, 2012.
  8. 최인영, 최혜경,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81-109, 2009.
  9. 백학영, "빈곤지위와 가구유형에 따른 노인가구의 소비특성 차이 분석,"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 911-931, 2010.
  10. 유태균, 반정호, "중고령자 삶의 질 변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 349-372, 2012.
  11. 유재학, "SVM을 이용한 신노년층의 생활 만족도 예측 모형,"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6권, 제1호, 2009.
  12. 오민정, 정진철, 전상철, "고령소비자의 소비패턴과 브랜드선택에 영향을 주는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동향," 경영컨설팅 리뷰, 제2권, 제2호, pp. 27-49, 2011.
  13. 남승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 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제7권, 제3호, pp. 433-453, 2006.
  14. 최혜경,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통한 한국 노인들의 소비자 욕구 탐색," 소비자교육정책연구, 제7권, 제2호, pp. 23-38, 2011.
  15.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 61-76, 2000.
  16. 정운영, 정세은, "저소득 노인가계와 고소득 노인가계의 소비지출구조 및 결정요인의 비교," 사회보장연구, 제26권, 제4호, pp. 21-48, 2010.
  17. 김기향, 김용민, 정태영,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 행태, 건강상태, 의료이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의료경영학연구, 제7권, 제1호, pp. 1-12, 2013.
  18. R. J. Havighurst,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The Univ. of Chicago Press, 1968.
  19. 김미령,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51호, pp. 7-34, 2011.
  20. 한석태,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3호, pp. 441-461, 2008.
  21. 김희숙, 유광자,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pp. 461-470, 2013.
  22. 김영근, "고령친화 용품의 소비와 관련된 노인 소비자 행태 특성-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 21-35, 2009.
  23. 최옥금,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영향 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통권51호, pp. 277-296, 2011.
  24. 김지열, "고령친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인 소비지출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1권, 창간호, pp. 45-63, 2008.
  25. 서정희, "노인소비자의 구매문제 인식 유형과 관련변수-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pp. 365-376, 2011. https://doi.org/10.5934/KJHE.2011.20.2.365
  26. 이소정, "노인가구의 소비실태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Issue & Focus, 통권25호, pp. 1-8, 2010. https://doi.org/10.1103/PhysRevFocus.25.1
  27. 정순둘, 김성원,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 237-256, 2013.
  28. 신학진,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노후준비의 매개효과와 취업, 출생코호트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 161-18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