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압력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청소년의 부모친밀도, 부모감독, 또래압력, TV술광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parental intimacy, parental supervision, peer pressure, and TV alcohol advertising on drinking)

  • 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63-375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친밀도, 부모감독, 또래압력, TV 술광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 8개 중학교 1~3학년 602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일부터 5월 28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또래압력, TV술광고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은 음주행위 정도를 14.4% 설명하였다. 둘째, 부모친밀도는 또래압력과 TV술광고를 통한 음주행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감독은 TV술광고를 통한 음주행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부모감독과 또래압력, 부모감독과 TV술광고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음주행위를 줄이기 위해 또래압력으로부터 대처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과 건강한 음주문화를 유도할 수 있는 TV 술광고, 부모와 자녀 관계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 등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여중고생의 혁신과 또래압력이 색조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on Color Make-up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남헌일;송기유;이재의
    • CRM연구
    • /
    • 제3권2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특성상 획일적인 유행현상으로 인한 동조소비나 독특한 집단문화의 확산 등을 볼 때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서도 그들만의 특성을 지닌 영향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들의 개인적 특성 및 사회적 준거집단에 대한 영향력을 통해 화장행동의 고도화 및 일탈행동으로 이어지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여자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색조화장을 하는 정도와 동료 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총 29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혁신과 또래압력 수용정도에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또래압력에 부(-) 영향관계를 예측하였으나, 정(+)의 관계를 나타내 또래집단의 특성상 자신에 대한 확신이 높다하더라도 집단에 동조하는 등의 여중고생의 심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은 혁신과 또래압력정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이 높은 타인의 눈에 쉽게 인식되는 정도이더라도 새로움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가시성은 또래압력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또래집단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혁신과 또래압력이 화장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행동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혁신보다는 동료 압력에 의한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나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은 또래 압력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의 고도화는 화장만족과 일탈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아동과 청소년의 수치심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또래압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Shame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on Peer Pressure)

  • 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119-1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and effects of sham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peer press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9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from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2nd grade in middle school (187 boys, and 172 girls) in Daejeon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gender and age played a significant role on the effects of sham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eer pressure.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ys' peer pressure, whereas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boys' peer pressu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shame and open-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mothers worked differently on peer pressure across gender and age. Interaction effects of sham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mothers were significant for boys, but not for girls. Interaction effect of sham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significa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의 구조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Career Maturity)

  • 김정은;김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633-640
    • /
    • 2024
  • 본 연구는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또래애착, 부모성취압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관계와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아동패널 13차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 총 1,357명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또래애착과 부적상관관계, 부모성취압력과 정적상관관계, 진로성숙도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각 변수들은 모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또래애착과 부모성취압력을 매개로하여 진로성숙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래압력, 부모감독과 음주기대 및 청소년 음주행동의 변화추이 -청주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Study on Peer Pressure, Parental Supervision, Alcohol Expectancy and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s of 2001 & 2006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of Cheong Ju-)

  • 류나미;윤혜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1-90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peer pressure, parental supervision, alcohol expectancy and adolescent drinking behaviors between year 2001 and 2006. Three hundred high school students were given questionnaires each year on their drinking behavi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irst, a adolescent drinking and the amount drinking has increased during the years. adolescent drinker ratio as adolescent drinkers were 91.3% in 2006 compared to 75.9% in 2001. The average drinking amounts were 40.82 units in 2006 and 24.9 units in 2001. Second, differences were found in adolescent drinking behaviors such as th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drinking frequency, & problem drinker ratio by gender, and grade. Male students over female students. Third, peer pressure, parental supervision, alcohol expectancy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adolescent drinking behaviors through 2001 and 2006. Students who lack parental supervision with much higher drinking-related peer pressure along with a higher level of positive alcohol expectancy were observed to be heavy drinkers and problem drinkers. Especially, students who showed belief in alcohol's tension-relieving function and sociability function tended to over-drink, drink more frequently and as a result, experienced more drinking problems.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scussed.

  • PDF

청소년의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 이창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341-348
    • /
    • 202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 관계와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아동패널 14차 연구에 참여한 중학생 총1280명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아동의 또래애착은 자아탄력성과 정적상관관계, 학업스트레스와 부적상관관계, 스마트폰 중독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자아탄력성과 부모성취압력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기 위해서는 또래애착을 통해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 음주 및 비행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 School-Based Alcohol and Delinquency Prevention Program)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353-379
    • /
    • 2007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대표적인 청소년 문제행동인 음주와 비행을 동시에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사회영향모델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청소년 문제행동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들로 또래 및 부모관련 요인들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또래 및 부모관련 요인들에 대한 탐색과 대인관계 기술에 대한 교육과 훈련, 음주 및 비행에 대한 인식변화, 음주 및 비행과 관련된 또래 압력에 대처하는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프로그램은 서울 OO중학교 2학년 1개 학급에서 2개월 동안 주 진행자 1인과 보조 진행자 2인에 의해서 운영되었다.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의 음주행동, 음주에 대한 태도, 그리고 비행 수준을 양호한 방향으로 변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와 실천을 통하여 실천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더욱 완성된 프로그램과 일반화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낳기를 기대한다.

  • PDF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Exploration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Runaway)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73-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행동 개입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가출의 의미와 원인, 최근 조사결과에 근거한 실태와 특징 등을 분석하고, 청소년 시기에 가출을 야기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출로 인한 문제행동을 완충 또는 중재하는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먼저, 청소년 가출에 대해 이를 더 이상 청소년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부적절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입시 스트레스 등이 가출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면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중재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적극적 대처전략,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자기 존중감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가출의 예방은 물론이고 가출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행 및 재 가출을 차단할 수 있는 처치 가능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Study on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Highschool Students: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조수현;이민영;이장희;이상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요구와 학업자원이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바탕으로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서울, 인천, 경지 소재의 정규 교과과정 중에 있는 8개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총 9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노력, 학업과몰입, 교사압력으로 구성된 학업요구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또래지지, 교사 자율성지지, 부모 학업적지지로 구성된 학업자원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포함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