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생 진로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7초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Competence)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81-18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결정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창원시 소재 K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의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효능감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결정효능감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 진로결정효능감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계획수립, 자기평가의 변화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 하정윤;김정민;강지연;차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80-89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 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 진단도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확인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등의 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대학 유형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의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보다 지방 전문대 학생들이, 자원 정보 기술활용역량과 글로벌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이 더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변인들은 대학 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 변인은 수도권 4년제 대학생들이 지방소재 4년제 및 전문대 학생들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 상위집단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보였고, 낮은 진로장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진로 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발달 수준을 고려하여한 진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진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분석 (Analytical Results of Panel Surve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이수영;이영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73-7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7년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원자료 중 연구 질문에 따라 해당 연구대상을 2, 3년제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 이공계 학생 298명으로 제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성별, 출신 고등학교, 대학 유형, 전공계열 등과 무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직업세계의 이해 측면은 남성 이공계 대학생이 여성 이공계 대학생보다 미래직업 업무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탐색 계획과 활동 측면에서는 대학유형별로 2년제, 3년제 대학보다 4년제 대학의 이공계 대학생들이 미래직업 계획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저학년 초기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대학생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 김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73명에게 진로결정 여부와 진로 관련 변인들의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성별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이 아니었다. 둘째,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학년, 전공만족도, 진로개발역량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적응, 진로적응성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아니었다.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2배 이상 컸으며, 전공만족도가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1.9배 커졌고 진로개발역량이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진로를 결정할 확률이 5.1배 커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진로개발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 및 교과내용 제안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Proposal for College Student-athletes)

  • 권형일;최미화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9권2호
    • /
    • pp.109-119
    • /
    • 2020
  • 일반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정책과 연구가 생성되고 있는 반면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에 대한 대책은 딱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대학생 학생 선수들에 대한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대학생 학생선수라는 특수한 모집단의 진로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콘텐츠가 충분히 개발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학생선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교과목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대학 스포츠 전문가, 스포츠 심리학자와 진로교육 전문가들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생성되었으며 6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현실적으로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적용가능한 수업의 구조를 결정하고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필요한 내용의 진로교육 내용을 결정한 후, 그 내용들을 16주의 교과과정으로 설계하였다.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 그릿과 진로 적응의 순차적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dap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areer Adaptation)

  • 전향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15-624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 진로 적응의 매개 효과를 순차적으로 검증하여 대학생의 학업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소재 4년제 대학 3개 대학의 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학업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각각 그릿과 진로 적응이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진로 적응의 순차적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 적응은 성장마인드셋, 그릿, 진로 적응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의 학업 적응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과 상담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동기의 순차적 매개 효과 (Effect of Career Stres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 이혜란;김현;현병환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241-249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 자신과 대학교 진로 관계자가 성공적으로 진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자 했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대학생이 성공적으로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도출했고, 변인 간 관계의 유의미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전국 4년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를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가 순차적으로 매개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이 성공적으로 진로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개인적 변인을 찾고, 변인 간 관계를 확인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대학교 진로 관계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를 높일 수 있는 진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했다.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golf majors)

  • 이경민;범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65-27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215명의 골프전공 대학생을 표본으로 추출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골프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 이후정;박지연;조경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4-33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서울 소재지역의 대학생들로 총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이 미치는 영향과 정도에 따라서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이라는 그룹도 그 안에는 개인별로 서로 다른 내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 박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유연성을 제외한 계획된 우연기술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강화를 위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