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교 생활적응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Convergence Major in Lifelong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on Restaurant Employment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6-14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에 대한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세 명의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단일대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 및 식품영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식당취업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을 비롯한 성인생활적응에 효과적인 콘텐츠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요인, 정서요인, 부모요인, 사회·환경 요인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Emotion Factors, Parents'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n Career Decision Making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 조옥선;석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55-164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정서·부모·사회·환경적 요인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자는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아버지가 한국인인 다문화청소년 1,146명을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7차 자료에서 추출해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개인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환경적 요인인 학교생활적응 및 다문화 수용이 진로미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요인으로 우울증과 부모요인인 방임이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미결정을 사전에 예방하고 진로미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회균형 선발전형 학생들의 대학만족도와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 최윤희;임준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88-803
    • /
    • 2022
  • 본 연구는 H대학교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들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기회균형 선발전형 수립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들의 입학성적과 대학성적간의 관계를 상관분석하였다. 둘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과 재학생들간의 만족도 비교를 위해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 및 진로에 대해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고교 내신 성적과 대학성적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통해 학업수준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대학만족도가 전체 재학생 만족도 보다 높음을 통해 대학이 학생들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실천 행동이 양극화되어 있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성향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다면 대학만족도 등을 고려할 때 기회균형 선발전형에 대한 확대가 대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비수술적 요법을 받는 척추관협착증,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요통 경험 (Experience of spinal stenosis,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k patients with low back pain under non-surgical treatment)

  • 강명미;김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85-39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수술적 요법을 받는 척추관협착증과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요통 경험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비수술적 요법을 적용받는 척추관협착증, 추간판탈출증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orbin과 Strauss(2015)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결과 핵심 범주는 고통의 늪에서 내 몸과 타협하기로 도출되었고, 인과적 조건은 과도한 육체적 활동과 부적절한 자세이었으며, 상황적 맥락은 노화와 운동 부족으로 확인되었다. 중심 현상은 극심한 통증으로 위축된 삶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전략을 조절하기 위한 중재적 상황은 지지체계, 꾸준한 관리, 경제적 여건이 확인되었다. 작용/상호전략으로 의학적 치료, 바른 신체선열 유지, 운동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생활 양식의 변화와 삶의 의미를 생각함이었다. 요통의 경험 과정은 인식기, 대처기, 적응기 3단계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통 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단계별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코로나19 감염병에 대한 위험인식과 예방행위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s of COVID-19 in University Students)

  • 한숙정;이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83-29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위험인식과 예방행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S대학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대학생 228명에게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위험인식은 5점 중 2.5점, 예방행위는 4점 중 3.1점으로 확인되었고, 예방행위는 회복탄력성, 위험인식, 자가격리 유무, 미디어의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의 신종감염병 예방과 포스트 코로나 적응 및 회복을 위해 재난교육과 함께 미디어의 순기능을 활용하여 개인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방법들도 모색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임상실습교육 전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및 간호사 이미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Nurse's Image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al Education)

  • 김미영;박혜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1-259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nurse's image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al education. Methods : The study surveyed 20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in the city of B for the period of April through May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to deter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rati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jors was 3.88±.50, the average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3.26±.47, and the average of the nurse image was 3.90±.51. The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e for choosing a department (F=3.70, p=.003) and the thought of a nursing job (F=2.95, p=.004).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F=3.50, p=.001),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F=2.69, p=.022)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rse im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ence type (F=6.00, p=.001) and nursing job thinking (F=2.11, p=.03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college life (r=.51, p<.001) and nurse image (r=.54, p<.001). It was found that adjustment college lif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rse image (r=.32, p<.001). Conclusion :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nursing students prior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need to intervention studies that can improve the image of positive nursing.

인공지능을 활용한 앱인벤터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App-Inventor-Software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박미희;허경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3-23
    • /
    • 2021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도래와 COVID-19 팬데믹이라는 뉴노멀한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는 SW교육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회에서 필수품이 되어버린 작고 강력한 스마트기는 좋은 교구로 앱인벤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생활 속 유용한 앱이나 데이터로 학습시킨 인공지능 모듈을 장착한 앱을 만드는 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대면과 비대면 방식이 혼합된 블랜디드 방식으로 수업을 실시한 후 효과성 측정으로 인공지능의 기술적·인지적 성숙도와 블랜디드 소프트웨어 수업에 대한 장·단점에 대한 의견을 설문 질의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앱인벤터 소프트웨어 수업 전·후 미래의 국가발전 차원에서 많은 수요가 필요한 SW관련 인재 직업군을 탐색하고자하는 의향인 진로지향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하위 요소 중 3개가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달하였다. 비대면 상황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앱인벤터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이 실제 현장에 제공되길 기대한다.

  • PDF

혁신적 대학교육을 위한 학생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advance the student management system for innovative university education)

  • 김민수;민현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9-94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새로운 산업과 사회의 빠른 변화로 인한 교육적 수요의 변화와 급속히 감소하는 학령인구로 인한 생존경쟁에서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즉 혁신적인 대학교육을 위한 고도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대학 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적응진단을 통해 학생상담 및 지도 관리를 위한 시스템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각 대학에서는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과정 연계형 통합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호학전공 분야를 바탕으로 혁신적 대학교육을 위한 학생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성격과 감각처리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 이춘엽;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7-246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We conducted a survey study on 251 college students from March to May 2023. Personality, sensory process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measured through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ensory process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s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impact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sults : Correlations of all five personality factors, except openness to experience, were observed with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avoidance, poor registration, and sensory sensitivity. The variance of college life adaptation explained by each factor (based on R2) were 46% by personality and 26% by sensory processing. Among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greeableness and extroversion had positive effects, and low registration during sensory processing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e provision of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on of an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low sensory registration and neurotic traits to encourage positive chang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design a program that helps college students adapt to occupational therapy majors.

면접교섭과 양육비 이행이 이혼한 양육모와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sitation and Child Support on the Adjustment of Divorced Mothers and Adolescent Children)

  • 신영미;진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565-583
    • /
    • 2023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s of current single-parent family policie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family members in single-parent homes, while also confirming that visitation and child support are indeed in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in such cas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2021 for divorced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11 to 19) living in metropolitan regions (Seoul, Kyunggi, and Incheon). A total of 171 dyads, comprised of single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sitation with father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aggression, or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articipating adolescent children. On the other hand, when child support was paid,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was lower than when child support was not paid. Second, neither visitation nor child suppo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ingle mothers' level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enforcement of child support guarantees the welfare of children and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promoting the best interests of minor children. Therefore, child support should be continuously encouraged and supported by agencies in accordance with current law. In order for the implementation of visitation to be in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the amount and quality of visitation should be secured so that the child can still recognize their non-custodial parents as "careg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