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적 경력정체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정체가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plateau on IT service engineers'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withdrawal intention)

  • 박경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15-130
    • /
    • 2011
  • 본 연구는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정체(구조적 정체, 내용적 정체)가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61명의 IT서비스 기술인력으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는 각각 경력만족에 부의 유의한 상관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내용적 정체는 경력변경의도와 정의 유의한 상관을 갖고 있었으며, 구조적 정체는 이와 유의한 상관을 갖고 있지 않았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상대적 영향력 분석 결과 구조적 정체 보다 내용적 정체가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에 더 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정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외식서비스기업종사원의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the Career Plateau of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 이미정;심지현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17-13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식서비스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개인이 지각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로 구분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경력동기와 조직경력개발지원이 경력정체와 상호작용하면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총 350명의 외식서비스기업종사자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5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종업원이 지각하는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 모두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정체와 이직의도간 관계에서 공식적 지원과 비공식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비공식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외식서비스 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구조적,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기업의 비공식적 지원은 이직의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업차원에서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areer plateau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 김유미;이종률;강향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59-469
    • /
    • 2016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경력정체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J시, C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내용적 경력정체(${\beta}=-.45$, p<.001), 구조적 경력정체(${\beta}=-.39$, p<.001) 순이었고, 총 설명력은 55.0%였다. 또한,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적 경력정체(${\beta}=.42$, p<.001), 현 병원 근무경력(${\beta}=-.39$, p=.002), 내용적 경력정체(${\beta}=.14$, p=.012), 근무부서(${\beta}=-.13$, p=.016) 순이었고, 총 설명력은 43.0%였다. 이와 같이 병원간호사의 내용적 경력정체를 감소시키는 것은 직무만족을 높이고, 구조적 경력정체를 감소시키는 것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직무재설계, 직무충실화 등을 통해 내용적 경력정체를 보완하고, 숙련된 유능한 간호사의 보유율을 높이고, 질적으로 우수한 조직성과를 달성하고, 간호사의 경력성공을 위해 경력사다리제도의 도입 및 활용 등을 통해 구조적 경력정체를 보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개발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R&D인력의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 : 연령과 창의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Professional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ge and Creative Behavior)

  • 차종석;박오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4호
    • /
    • pp.122-145
    • /
    • 2018
  • 본 연구는 R&D인력이 경험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직무내용 정체로 구분하여 조직몰입과 관계를 규명하면서, 추가적으로 개인의 연령 및 창의적 행동특성이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근무하는 418명의 R&D 인력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구조적 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주니어 R&D인력일수록 구조적 정체가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내용 정체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창의적 행동특성이 강한 R&D인력의 경우에 직무내용 정체와 조직몰입의 부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R&D인력의 경력정체 이슈에 관한 이론적인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 인식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 of HR Practice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Plateau)

  • 송민영;김승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53-464
    • /
    • 2019
  • 본 연구는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내용적 경력정체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독립변수인 교육훈련제도와 평가보상제도,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간의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 모형을 실증하기 위해 보건의료업종의 근로자 442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평가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성은 교육훈련제도 인식도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간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관리하는데 있어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그 관리 방법으로서 조직 내 인사제도들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충분히 검토하여 제도 설계와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예비사서의 경력 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Career Indecision for Prospective Librarians)

  • 최정희;최병우;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5-283
    • /
    • 2006
  • 본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경력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외생변수로는 인적특성, 학교 조직적 특성 그리고 제도적 특성으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인적특성이 경력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조직특성 및 제도적 특성은 경력 미결정 수준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는 예비사서로서의 경력 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적 자아정체감 및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교과과정, 현장 사서가 갖추어야 할 실무능력, 사서자격제도 개선 등의 학교 조직적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근속연수, 구조적 경력정체 및 대인 일탈행동간의 관계: 간호사를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Focusing on Nurses)

  • 박오원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3호
    • /
    • pp.103-11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for nurses. Moreov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moderating role of proactivit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structural career plateau.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tilized 448 nurses working at three different types of hospital.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Findings -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tenure is positively related 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structural career plateau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ity is not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Nurses are critical to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manpower and the role of nurse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crease the motivation of nurses is structural career plateau. This study analyzed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were provided.

창업기업 QFD 교육 훈련 학습자 특성이 학습 전이의도에 미치는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Moderating Effects of 3 years over Startup QFD Training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n Transfer Intension)

  • 황보윤;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35-48
    • /
    • 2018
  • 본 연구는 대기업, 중견기업에서 주로 사용되어온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창업기업에 접목하여 초기성장기의 창업 기업들의 성장 도태, 매출 정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QFD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창업 벤처기업들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QFD 교육 훈련과정에서 임직원들이 배웠던 내용을 현업에 실제로 접목하고자 하였는지 즉 교육 훈련 성과가 있는지에 관하여 연구하는 과정에서 학습전이 의도 영향 요인과 그 경로 구조에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이 조절 기능을 하는 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학습자준비상태와 훈련내용의 타당성인지가 자기 효능감을 통해 학습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조절효과는 성별이 부분 조절효과, 직급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학력수준, 창업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현실에 접목하기 쉽게 실천중심으로 설계된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프로그램 결과가 그 기업에 직접적으로 성과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창업기업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대표이사가 참석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 훈련 프로그램의 성과를 높이는데 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이를 통해 창업기업대상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집행 기관의 교육 기획 단계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