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지각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5초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 척도의 재검증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Reexamination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cale and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in P·E Class)

  • 최헌혁;허진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5호
    • /
    • pp.229-241
    • /
    • 2012
  •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체육수업의 상황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행동활성화와 행동억제척도(최헌혁, 허진영, 2010)를 재검증하고, 이것이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소재 고등학생 65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첫째, 행동활성화의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교사행동, 정서전환, 긍정적수업태도가 높을 수록 자기결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억제의 하위요인인 획일적수업구조, 부정적교사태도, 처벌, 유능감부족은 낮을수록 자기결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행동활성화와 억제요인이 앞으로 체육수업 수업상황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적용연구의 가능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칫솔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Toothbrus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ed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윤수길;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4-562
    • /
    • 2014
  • 본 연구는 TPB 모형을 기본으로 자기효능감 변수를 추가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초등학생의 칫솔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443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18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PASW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칫솔질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자기효능감이 칫솔질 행동의도와 칫솔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TPB 모형에 따라 변수를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칫솔질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규범(${\beta}=0.343$)이었고, 다음으로 자기효능감(${\beta}=0.171$), 지각된 행동통제(${\beta}=0.163$), 칫솔질에 대한 태도(${\beta}=0.135$)의 순이었다. TPB 모형에 따라 칫솔질 행동을 종속변수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칫솔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칫솔질 의도(${\beta}=0.355$)와 자기효능감(${\beta}=0.113$)이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는 제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에게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부모와 교사 등이 관심을 가지고 칫솔질 지도를 수행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아동이 칫솔질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하고, 스스로 칫솔질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줄 필요가 있으며, 아동이 칫솔질을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구승신;정옥희;장성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25-2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 K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 각 2개 학교의 중학생 169명, 고등학생 178명으로 총 347명을 대상으로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에서 정신건강의 하위변인 중 강박증과 친구지지, 적대감 및 공포증과 교사지지, 신체화와 미래확신성, 친밀성, 교사지지, 친구지지, 우울증과 미래확신성, 정신증과 미래확신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부모지지, 친밀성, 주체성 순으로 나타난 반면, 미래확신성, 주도성,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친밀성, 주체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과 부모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이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성취를 예측하는 학생과 학교 및 ICT 요인 : 다층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Student-, School-, and ICT-Factors Predicting Computer-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cusing on Analyses of Multi-level Models)

  • 임효진;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57-471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142개 학교의 4863명)의 PISA 2015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에 미치는 학생, 학교 수준의 배경요소와 ICT 요인을 설정하여, 설명 변수가 없는 기초모형(모형1)부터 모든 변수가 투입된 최종모형(모형5)까지 2수준 위계선형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이하 HL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협동지수는 CPS 점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던 반면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불공평함은 CPS 점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목적의 ICT 사용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오락 목적의 ICT 사용빈도와 학교에서의 ICT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PISA 2015에서 최초로 측정된 ICT 태도 중 ICT에 대한 흥미가 높고 ICT 기기 사용에 대한 자율성이 높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으며, ICT를 사회적 상호작용(SNS, 채팅)을 위한 도구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CPS 점수가 낮았다. 셋째, 학교 수준 변수에서는 학교의 학습 분위기를 저해하는 학생 행동이 적을수록, 교사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 당 이용가능한 컴퓨터 수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소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ICT에 대한 흥미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의 ICT 기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ICT 활용이나 SW 교육과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 이강훈;조은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5-83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The Servant Leadership Scale, Teaching Flow Scale and Happiness Scale were used. As for data analysis, SPSS & AMOS 21.0 and PROCESS macro were utilized. Results: First,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and happiness of the teachers were all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total scores of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and happiness. Second, The teaching flow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ort to promot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ing flow is needed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happiness.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사이버 가정 학습 서비스의 학습자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 Satisfaction Factor of the Cyber Home Learning Servi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유정수;이금옥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을 교사가 교실 수업과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영함에 있어 어떤 요인이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Y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월간 운영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들에게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는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결과보상기능은 사이버가정학습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유용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던 교육적 효과, 콘텐츠 품질은 만족도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키는 본질적인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학습지원기능, 시스템 안정성 및 편리성, 상호작용 등 시스템적인 기능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단지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 효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습을 지원하는 기능, 시스템 안정성 및 편리성, 선생님과 학생 또는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모든 시스템적인 기능은 수강생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PDF

Wertheimer의 평행사변형 구적 문제와 대안적 지도 방안 (The problem of mensuration of parallelogram raised by Wertheimer and alternative strategies)

  • 김수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485-493
    • /
    • 2003
  • 본 연구는 Wertheimer가 제기한 평행사변형 구적 문제가 오늘날의 지도 방식으로도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음에 착안하여, 현재의 지도 방식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몇 가지 아이디어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된 것이다.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7명 중 18명만이 초등학생에게 호소할 수 있는 지도 아이디어를 제시하였고, 나머지 59명은 무 응답 혹은 부적절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이로써 Wertheimer가 제기한 평행사변형 문제가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도 여전히 어려운 문제가 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적절하게 응답한 18명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Wertheimer가 제기한 평행사변형을 직사각형이나 전형적인 평행사변형으로 등적변형 하는 7가지의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아이디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형식적인 증명보다는 자르고 붙이고 옮기는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지각에 호소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응용하면 초등학생들을 위한 지도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 이영란;박선남;이미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9-26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Data were from a convenient sample of 169 child care teachers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5th to 30th,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18.0. Results: Child care teachers had upper-medium level of perceived health status,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job stress and above medium level of job satisfaction. Affect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included depression, and job stress ($Adj.R^2=.58$, F=78.60,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ment of emotional supportive program and supportive system are neede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Exploration of strategies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job stres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예비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개발 및 효과-시지각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media Utilization Ability for Pre-Kindergarten Teachers-Focusing on Visual Perception Interface)

  • 홍수현;강성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13-1128
    • /
    • 2017
  • This study was practiced in order to develop a textbook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required by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its effects. First,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multimedia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was done along with looking through their attitude and anxiety. The expertise and the multimedia education was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urriculum. As a result, 15 categories and 50 subcategories under 4 themes were drawn through the procedures of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related to the tasks required in kindergartens is needed instead of the common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multimedia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multimedia education based on visual theory for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common features-centered multimedia education, is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Finally,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will be a chance to provide children with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유아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의 친밀감이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eacher-child Intimacy Perceived by Children on Peer Acceptance :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이주연;유영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5-84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imacy perceived by children and peer accepta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4 five-year-old children(71 boys, 63 girl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Children were interviewed to measure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acceptanc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ee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f teacher-child intim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acceptance. Seco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acceptanc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s links between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peer acceptance,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o improv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at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