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mong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

  • 이강훈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조은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Received : 2016.12.15
  • Accepted : 2017.01.26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The Servant Leadership Scale, Teaching Flow Scale and Happiness Scale were used. As for data analysis, SPSS & AMOS 21.0 and PROCESS macro were utilized. Results: First,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and happiness of the teachers were all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total scores of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and happiness. Second, The teaching flow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ort to promot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ing flow is needed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happi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석, 정남숙 (2007).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4(3), 1-24.
  2. 강수정, 이지연, 장진이 (2014). 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 열린교육연구, 22(1), 257-277.
  3. 강진숙, 이경님 (2015).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321-342.
  4. 강현경 (2014). 유아교육분야 행복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9, 1-28.
  5. 고경미, 이선경, 심성경 (2014).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와 행복감 및 전문성 발달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69-94.
  6. 고영미, 김종훈, 김성주 (2015). 어린이집 교사의 내적통제소재가 삶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5(5), 499-514.
  7. 고현 (2015).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1), 5-28.
  8.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권귀염 (2002). 유치원 교사 효능감과 관련된 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권기남, 민하영 (2009). 유아교육기관 시설장의 변혁적리더쉽과 거래적리더쉽,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및 조직헌신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9(4), 857-867.
  11. 권석만 (2015).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12. 김미진, 김병만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경로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99-120.
  13. 김시연, 오재연 (201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변인과 외적변인들간의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3-50.
  14. 김신혜 (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영은 (2014).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행복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319-340.
  16. 김용학 (2010).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주환, 홍세희, 김민규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8. 김혜정 (2002). 유치원의 조직풍토, 교사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영신 (2013). 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몰입과 자기결정성 및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609-629.
  20. 배수희 (2009). 교사의 행복감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백영숙, 오현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293-311.
  22. 송미선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49-169.
  23. 송주연, 황해익 (2014). 유아교사 교수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65-290.
  24. 양난미, 이지연 (2008). 교사들의 내적 외적 동기, 교수몰입과 행복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9(1), 1-14.
  25. 예남희 (2014).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 냉소주의, 임파워먼트 간의 구조적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예남희, 민하영, 최인화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적 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장의 서번트 리더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2(2), 112-125.
  27. 오승현 (2016).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및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우문식 (2010). 긍정심리가 리더십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원지현 (2015).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51-73.
  30. 원지현, 이순복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166-193.
  31. 이경애 (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새별, 홍성희, 황희숙 (2015).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345-367.
  33. 이수진 (2016). 원장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감성리더십에 따른 유아교사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정희, 안효진 (2016). 유치원교사의 교수몰입과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427-447.
  35. 이종림 (201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행복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호주 (2013). 유치원의 조직문화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란 (2011). 학교조직풍토,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 (201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39. 전은주 (2014).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정서지능 및 직무만족도와 행복감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정민정, 김유진 (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65-74.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65
  41. 최윤정, 이경민 (2010). 유아교사의 교직만족에 영향을 주는 생활만족과 몰입경험의 관계분석 연구. 유아교육연구, 30(3), 195-215.
  42. 최혜진, 이호필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515-537.
  43. 탁정화 (2015).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235-264.
  44. 홍지명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인문사회21, 6(3), 591-607.
  45. 황신덕 (2004). 상사의 리더십 및 상사에 대한 신뢰와 구성원태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황해익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47. 황해익 (2016).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35-159.
  48.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1), 341-363.
  49. 황해익, 이강훈 (2016, 11).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교수몰입, 행복플로리시 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트랙발표 논문, 서울.
  50. Argyle, M. (2001). The psychology of happiness (2nd ed.). East Sussex, England: Routledge.
  51. Barbuto, J. E., & Wheeler, D. W. (2006). Scale development and construct clarification of servant leadership.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1(3), 300-325. https://doi.org/10.1177/1059601106287091
  5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4. Cumming, G. (2014). The new statistics: Why and how. Psychological Science, 25(1), 7-29. https://doi.org/10.1177/0956797613504966
  55. Greenleaf, R. K. (2002). Servant leadership: A journey into the nature of legitimate power and greatness. NJ: Paulist Press.
  56. Greenleaf, R. K. (2003). The servant-leader within: A transformative path. NJ: Paulist Press.
  57. Hart, P. M. (1999). Preductuing employee life satisfaction: A coherent model of personality, work and non-work experience, and domain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4(4), 564-584. https://doi.org/10.1037/0021-9010.84.4.564
  58. Hayes, A. F. (2014). Comparing conditional effects in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Implementation using PROCESS for SPSS and SAS. Retrieved August 5, 2013, http://www.afhayes.com/public/comparingslopes.pdf
  59. Hayes, A. F. (2015).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이형권, 옮김). 서울: 신영사(원판 2013).
  60. Hoggard, L. (2006). How to be happy, 행복(이경아 옮김). 서울: 예담(원판 2005).
  61. Holmbeck, G. N. (1997).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4), 599-610. https://doi.org/10.1037/0022-006X.65.4.599
  62. Hoyle, R. H., & Smith, G. T. (1994). Formulating clinical research hypotheses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 conceptual over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3), 429-440. https://doi.org/10.1037/0022-006X.62.3.429
  63. Hunter, J. C. (2013). The servant: a simple story about the true essence of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 내안의 위대한 혁명(김광수, 옮김). 서울: 시대의 창(원판 1998).
  64.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Y: Basic Books.
  65. Csikszentmihalyi, M. (2004).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최인수 옮김). 서울: 한울림(원판 1990).
  66. Dave, B. (2013). Teach like a pirate: Increase student engagement, boost your creativity, and transform your life, 무엇이 수업에 몰입하게 하는가(강순이 옮김). 서울: 도트(원판 2012).
  67. Meyer, J. P., & Allen, N. J. (1997).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8. Noddings, N. (2008). All our students thinking. Educational Leadership, 65(5), 8-13.
  69. Peterson, C., & Seligman, M.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0. Preacher, K. J., & Leonardelli, G. J. (2006). Calculation for the sobel test: An interactive calculation tool for mediation tests.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unc.edu/-preacher/sobel/sobel.htm
  71. Seligman, M.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마틴 셀리그만의 플로리시(우문식, 윤상운 옮김). 경기: 물푸레(원판 2011).
  72. Seligman, M. (2014). Authentic happiness.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김인자, 우문식 옮김). 경기: 물푸레(원판 2004).
  73.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ed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Francisco: Jessey-Bass.
  74. Wasserstein, R. L., & Lazar, N. A. (2016). The ASA's statement on p-values: Context, process, and purpose. The American Statistician, 70(2), 129-133. https://doi.org/10.1080/00031305.2016.1154108

Cited by

  1. The medit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organization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and flourishing in kindergarten teachers vol.37, pp.5,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5.004
  2. A Longitudinal Study between Directors’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Teachers’ Efficacy and Young Children’ Happiness vol.28, pp.1, 2018, https://doi.org/10.21024/pnuedi.28.1.201803.147
  3. 유아교사와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고찰: 옹호 리더십 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vol.39, pp.6,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04
  4.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5, pp.6,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