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구승신 (세계사이버대학 청소년복지상담과) ;
  • 정옥희 (세계사이버대학 사회복지과) ;
  • 장성화 (세계사이버대학 상담심리과)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08.23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47 adolescents composed of 169 middle school students, 347 high school students in Kyung-gi Do. The data was conducted by using a correlations coefficien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measured subordinate variable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on subordinate variables of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ere significant. except compulsiveness and support of friend, hostility, phobia and support of teacher, somatization and confidence of one's future, intimacy, support of teacher, support of friend, depression, psychosis and confidence of one's future. Second,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ed mental health are ranked in the order of self-acceptance, aim for goal, support of parents, intimacy, independence. while confidence of one's future, leading, support of teacher, support of friend are not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dolescents of high level of self-acceptance, aim for goal, intimacy, independence and perceived highly support of teacher are high level of mental health.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 K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 각 2개 학교의 중학생 169명, 고등학생 178명으로 총 347명을 대상으로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에서 정신건강의 하위변인 중 강박증과 친구지지, 적대감 및 공포증과 교사지지, 신체화와 미래확신성, 친밀성, 교사지지, 친구지지, 우울증과 미래확신성, 정신증과 미래확신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부모지지, 친밀성, 주체성 순으로 나타난 반면, 미래확신성, 주도성,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친밀성, 주체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과 부모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이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순복, 김수진, "일 도시 중학생의 가족기능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0권, 제3호, pp.352-367, 2001.
  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2006.
  3. 최장원, 김희진,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제18권, 제1호, pp.73-103, 2011.
  4. 육영숙, "지속적인 운동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5. 장성화, 진석언, "기독교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 비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7권, pp.179-202, 2009.
  6. B. C, Waters, "Emerging issues in adolescent mental health", behaviral Medicine Conference, Sydeny: University of Sydeny, 1991.
  7. 엄태완,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8권, pp.36-66, 2008.
  8. 강승호, 정은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적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3권 제4호, pp.20-32, 1999.
  9.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친구에 대한 애착에 대한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27권 제5호, pp.143-157, 2006.
  10. 윤혜미, 남영옥,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심리정서적 특성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23권, pp.127-153, 2007.
  11.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 1968.
  12. 한상철, 김혜원, 설인자, "청소년 문제행동: 심리학적 접근", 학지사, 2006.
  13. 홍봉선, 남미애,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2006.
  14. 허정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9권, 제8호, pp.433-44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433
  15. 이지민, "자아정체감과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8권, 제4호, pp.1593-1603, 2007.
  16. 신민섭, 소준현, 홍강의,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 민감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7권, 제1호, pp.61-67, 1996.
  17. D. Offer, E. Ostrov, K. Howard and R. Atkinson, "Normality and Adolescence,"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13, No.3, pp.377-388, 1990.
  18. 조아미, "학생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제1권, 제1호, pp.115-126, 1999.
  19. H. B. Kaplan, C. Robbins, and S. S, Martin,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s: Self-rejection deprivation of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1, pp.93-115, 1983.
  20. L. Cohen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gg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1. N. Krausse, "Social Supprot, Stress, and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1, No.4, pp.512-519, 1986. https://doi.org/10.1093/geronj/41.4.512
  22. 김판희, 김희숙, "일 도시지역 주민의 스트레스 지각, 정신건강 및 사회적지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97-210, 2010.
  23. 김영운, 이혁, "에어로빅 참여 주부들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0권, pp.843-852, 2010.
  24. A. Vaux,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ew York: Prager Publishers, 1988.
  25. E. F. Dobow and D. G. Ulman,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pp.52-64, 1989.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1_7
  26. 윤혜정,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관계망 지지 지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27. D. Buhrmester and W. Furman, "The development of companionship and intimacy," Child Development, Vol.58, No4, pp.1101-1113, 1987. https://doi.org/10.2307/1130550
  28. M. F. DeRosier and J. B, Kupersmidt, "Costa Rican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 Psychology, Vol.27, No4, pp.656-662, 1991. https://doi.org/10.1037/0012-1649.27.4.656
  29. 박미자, 이창식, "조손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0권, 제1호(1), pp.93-114. 2008.
  30. 정동화,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31. 황윤경, "청소년 또래 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32. D. L. Dubois, R. D. Felner, S. Brand, A. M. Adan, and E. G. Evans,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Vol.63, pp.542-557, 1992. https://doi.org/10.2307/1131345
  33. N. Gamefski and R, Diekstra,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school, and peers; Relationship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35, No.12, pp.1657-1664, 1996. https://doi.org/10.1097/00004583-199612000-00018
  34. M. Windle,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buffering for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development Psychology, Vol.28, No.3, pp.522-530, 1992. https://doi.org/10.1037/0012-1649.28.3.522
  35. 김애경,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원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외현적 문제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3호, pp.31-50, 2002.
  36. 김형훈, 이철원,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3-133, 2010.
  37. 이은희, 정순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행동 및 친구관계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2호, pp.213-239, 2006.
  38. 이승국,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39. P. Nolte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in, pp.1-2, 1994.
  40. 이미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훈구, "1986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및 정신건강에 대한연구", 연세상담연구, 제49권 제1호, 1986.
  42. 정욱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지위와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 신일전문대학 논문집, 제10권, 제1호, pp.300-318, 1996.
  43. 오은정, 장성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정체감 및 휴대전화 중독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3호, pp.25-44, 2009.
  44. 배경의, 김은하,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건강성, 가족 기능,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57-366, 2007.

Cited by

  1. Relationship of Active Duty Soldiers' Military Life Adaptation, Self-esteem, Anxie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vol.11, pp.1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94
  2.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vol.12, pp.1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225
  3.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s of Alcohol Drinking vol.13, pp.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59
  4. Effects of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of High School Boy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vol.23, pp.4, 2017, https://doi.org/10.4094/chnr.2017.23.4.429